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지] 1

목차 2

세션 A. 소셜미디어 7

01. 지역캐릭터를 활용한 소셜미디어 지역관광홍보 연구 / 주예진 ; 남윤재 8

토론 / 윤영삼[내용없음] 2

02. 마케팅 도구로서 국가 기관의 소셜 미디어 활용 분석: 국가별 관광 페이스북의 게시물에 대한 내용분석 / 임지은 ; 정태영 ; 황장선 14

토론 / 전홍식[내용없음] 2

03. 숏폼 사용이 일상과 소비의 충동성에 미치는 영향: 시간 왜곡 경험과 왜곡된 미래 지향을 바탕으로 / 김가람 ; 오승재 ; 성용준 18

1. 연구 목적 18

2. 이론적 배경 19

3. 연구 방법 20

4. 연구 결과 21

5. 결론 및 제언 22

토론 / 정창원[내용없음] 2

세션 B. 디지털미디어 24

01. 검색어 특성과 제품 인지도가 검색광고의 구매 전환에 미치는 효과 / 강윤희 ; 조단비 ; 김용환 ; 부수현 25

토론 / 전종우[내용없음] 2

02. SNS 광고콘텐츠의 윤리의식에 관한 유형 연구 / 이제영 28

I. 문제의 제기 및 연구목적 28

II. 이론적 논의 및 연구문제 29

III. 연구방법 및 설계 30

토론 / 최일도[내용없음] 2

03. 실집행 데이터 기반 디지털 미디어믹스 추천 알고리즘 구축: 이론적 알고리즘과 경험적 알고리즘 간의 차이를 중심으로 / 이찬솔 ; 이인성 ; 김서희 ; 정진완 32

1. 연구 배경 및 관련 연구 검토 33

2.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33

3. 미디어믹스 최적화 알고리즘 상세 34

4. 분석결과 35

토론 / 김헌[내용없음] 2

세션 C. 법제도·정책 37

01. 광고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과 EPQ의 중재효과 변화: 1994~2023년 동안 매 7년마다 조사 결과를 기준으로 / 박현수 ; 권영빈 38

01. 이론적 배경 38

02. 연구문제 39

03. 연구 결과 40

토론 / 정혁준[내용없음] 2

02. 정부 정책광고에 대한 메시지 수용과정 및 효과지수 개발 / 김병희 ; 손영곤 ; 최일도 ; 박한나 ; 최지혜 44

1.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44

2. 이론적 논의 44

3. 연구방법 45

4. 연구결과 45

5. 요약 및 논의 47

토론 / 박세진[내용없음] 2

03. 광고 심의 규정과 심의의 실제: 주류광고를 중심으로 / 조재영 48

1. 서론 49

2. 법률의 명확성 원칙, 언어의 모호성 그리고 해석 50

3. 국내 주류광고 규제 체계 51

4. 주류광고 심의규정의 적용 55

5. 결론 55

토론 / 남철우[내용없음] 2

04. 스타트업 ESG 사례 연구 / 백지희 56

1. 연구의 필요성 57

2. K-스타트업 사례- 서비스 디자인 58

참고문헌 62

토론 / 이진균[내용없음] 2

세션 D. AI/빅데이터 64

01. 인공지능 에이전트와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이 개인정보 공개 행동에 미치는 영향 / 김정원 ; 이예주 ; 박지연 ; 성용준 65

1. 연구 배경 및 목적 65

2. 연구 방법 67

3. 연구 결과 67

4. 결론 및 논의 68

토론 / 성윤희[내용없음] 3

02. 너의 주인은 나: GAI를 사용하는 소비자의 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 / 김경연 ; 강윤희 ; 부수현 69

1. 연구 목적 69

2. 이론적 배경 70

3. 연구 방법 72

참고 문헌 73

토론 / 최지혜[내용없음] 3

03. AI 생성형 광고의 수용 촉진 방안: 소비자 저항감 해소를 중심으로 / 송윤서 ; 전홍식 75

1. 연구 주제 및 필요성 76

2. 연구의 필요성 77

3. 선행연구 77

4. 가설 및 실험 설계 78

토론 / 강한나[내용없음] 3

04.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for Generative AI in Marketing and Strategic Communication: Evidence from BERTopic of Industry News / 박영은 ; 손현상 80

토론 / 이소영[내용없음] 3

05. 소비자-AI 에이전트 간의 언어 형상화 개념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 전주언 81

토론 / 김정원[내용없음] 3

06. 광고 기획 및 평가를 위한 패널빅데이터 활용 사례 / 이경택 84

토론 / 조준혁[내용없음] 3

07. 이미지 생성형 AI의 현황과 광고 활용방안 / 김효규 ; 박승배 ; 엄남현 ; 이희복 ; 지준형 85

토론 / 박한나[내용없음] 3

세션 E. 소비자심리 91

01. 75%를 위한 광고 메시지 전략: 온라인 장바구니 이용과 광고메시지 효과 연구 / 김도경 ; 김동후 92

1. 연구배경 및 목적 93

2. 이론적 배경 93

3. 연구모형 및 가설 설정 95

4. 연구 방법 95

5. 연구 결과 96

6. 결론 및 논의 97

토론 / 이소영[내용없음] 4

02. 티 내긴 싫지만, 알아봐 주었으면 하는 심리: 친환경 소비 장면에서 자기의식과 개념적 유창성의 효과를 중심으로 / 김민지 ; 부수현 98

1. 서론 98

2. 이론적 배경 99

3. 연구방법 102

4. 참고문헌 102

토론 / 김은실[내용없음] 4

03. 소셜 미디어 이용자의 FOMO 경험과 광고 평가 연구 : Research Grant Track 소셜 미디어 광고 연구회 발표 / 노환호 ; 윤태웅 ; 임혜빈 ; 이병관 103

토론 / 박영은[내용없음] 4

04. 대체육 구매를 결정하는 심리적 요인 탐색 연구 : 일반 연구회 Track 친환경 소비 행동 연구회 발표 / 노환호 ; 이병관 ; 이진균 ; 김가은 ; 임혜빈 108

토론 / 강윤희[내용없음] 4

05. 온라인 쇼핑상황에서 사회적 증거의 효과: 사회적 영향력에 의한 불확실성과 지불고통 완화를 중심으로 / 박태희 ; 안정태 ; 유동호 113

1. 연구목적 113

2. 연구배경 113

토론 / 고영지[내용없음] 4

06. 가격할인이 바람직성-실행가능성 이진집합(binary set) 내 선택에 미치는 효과 / 김재휘 ; 소지원 117

1. 문제상황 117

2. 이론적 배경 118

3. 연구 방법 및 절차 120

4. 예상 연구 결과 121

참고문헌 121

토론 / 부수현[내용없음] 4

세션 F. 브랜드 123

01. 브랜드 레버리지 리뷰가 추론된 의도에 미치는 영향 / 김희수 ; 강한나 ; 전홍식 124

토론 / 김하나[내용없음] 5

02. 한류 중심의 공공외교에 대한 국민의 인식과 제3자 효과: 문화, 지식, 정책 공공외교를 중심으로 / 이현주 ; 차희원 132

토론 / 정해원[내용없음] 5

03. Differences of City Visual Identity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 전종우 135

1. Introduction and Hypotheses 135

2. Methodology and Results 136

Discussions and Conclusion 137

토론 / 문장호[내용없음] 5

04. 정체성 메시지 유형이 혜택 시점이 먼 프로모션 참여의도에 미치는 효과: 시간 지평의 변화를 중심으로 / 조단비 ; 김재휘 139

1. 연구 목적 139

2. 이론적 배경 140

3. 연구 방법 및 결과 142

4. 종합논의 143

참고 문헌 143

토론 / 천정원[내용없음] 5

05. 도시브랜딩에서 효과적인 스토리텔링에 관한 탐색적 연구: 부산시 세븐브리지 브랜딩 캠페인을 중심으로 / 정해원 ; 지원배 ; 유현중 ; 차경심 ; 이성용 146

1. 연구배경 147

2. 선행연구 - 스토리텔링의 분야별 활용 147

3. 스토리와 스토리텔링 148

4. 세븐브리지 스토리텔링 사례 149

5. 시사점 및 향후 연구과제 151

토론 / 남윤재[내용없음] 5

06. 브랜드 액티비즘의 인지 부조화가 보이콧에 미치는 영향: 도덕적 분리와 충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홍다예 ; 성윤희 152

토론 / 김동후[내용없음] 5

07. Branded Meme Marketing on TikTok / 김정수 ; 백태현 158

토론 / 윤태웅[내용없음] 5

특별세션 : 지능정보사회 이용자 패널 데이터를 활용한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 전략 164

01. 지능형 기기와 서비스의 이용과 이용자 신념이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전종우 165

토론 / 최일도[내용없음] 6

02. 광고 산업에서의 지능정보 기술: 신뢰, 기술 기대치 및 디지털 역량을 기반으로 한 이용의도 분석 / 임한솔 ; 정창원 173

ABSTRACT 173

1. 연구 목적 174

2. 이론적 논의 175

3. 연구방법론 176

4. 연구결과 180

5. 결론 및 한계점 181

References 183

토론 / 김태용[내용없음] 6

03. 인공지능 추천서비스의 인지된 유용성과 프라이버시 우려가 인공지능 추천서비스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강한나 ; 전홍식 185

토론 / 김소정[내용없음] 6

04. 인공지능 알고리즘이 제공하는 맞춤형 콘텐츠 서비스 만족이 이용자들의 사용 경험에 미치는 영향 : 광고 콘텐츠 분야에서의 활용을 중심으로(지능정보사회 이용자 패널조사) / 박경국 190

토론 / 엄남현[내용없음]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