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1
복지국가포럼 소개 2
[행사일정] 3
목차 4
축사 / 박주민 5
개회사 / 남인순 6
개회사 / 소병훈 8
개회사 / 강선우 9
개회사 / 서영석 10
개회사 / 이수진 11
개회사 / 정태호 13
개회사 / 김남희 15
개회사 / 김선민 16
개회사 / 박희승 17
개회사 / 서미화 18
개회사 / 장종태 19
개회사 / 전진숙 20
인사말 / 박일규 21
기조발제 : 한국 복지국가의 현재와 미래 : 저성장과 개발국가 복지체제의 지속 / 윤홍식 22
두 개의 대한민국 24
지난 10년 간 한국 사회는 더 괜찮은 사회가 되었을까? 25
지난 30~40년을 되돌아보기 25
교육불평등 26
한국 복지체제의 현재 26
일인당 국민소득과 소득불평등 27
1962~2022, GDP 대비 사회지출과 소득불평등 27
조세와 공적 이전 소득의 불평등 감소 효과 29
역진적 선별성: 사적자산축적 30
세입 확대와 세입에 걸맞는 복지지출 확대 32
한국 복지체제의 위기와 도전 33
기업 규모에 따른 고용비중과 부가가치 창출비중 34
기업규모에 따른 임금과 생산성 격차와 악화되는 노동시장 이동성 35
7. 무엇을 해야 하나? 다시 고도성장? 35
대기업, 수출 중심의 성장체제의 위기 36
생산(분배)구조의 지속과 재분배에 대한 암묵적 합의의 해체 : 1987년 체제의 이념적 합의 해체(한국 보수, 본래의 자리로) 37
복지국가 전환을 통한 성장방식의 전환 37
87년 체제 이데올로기의 약화와 한국 보수의 자기자리 찾기 : 정치적 구성물이라는 관점에서 본 한국 사회의 위기 38
정치적 구성물이라는 관점에서 본 대안? 39
스웨덴과 독일의 성장방식 39
GDP 대비 사회지출의 구성과 공교육 지출 40
무엇을 해야 하나? 생산과 분배를 바꾸는 분배정치 40
기조발제 : 복지국가 운동의 가치와 철학, 사회복지사의 역할 / 이명묵 42
복지국가 운동의 가치 : "헬조선 우리가 바라던 사회인가?" 43
복지국가 운동의 철학 : "복지국가와 같은 이름인 인권국가, 대동사회" 44
복지국가 운동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역할 : "사회복지사의 정체성이 우리를 부른다." 45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