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모시는 글 5
[주제발표] 학령인구감소 시대 학교 교육력 제고 방안 / 박남기 9
1. 학교교육력 10
2. 당면과제: 전남 작은학교 사례 11
3. 교육력 제고를 위한 연구 방향 13
4. 정책제언 15
[사례발표 1] "학생 성장을 다시 쓰다" 대구미래학교 이야기 / 이소라 25
소규모 학교의 학교 교육력 제고 25
대구미래학교, 그 시작은 26
대구미래학교의 변화 26
「학생 성장을 다시 쓰다-실천서」 개발 27
대구미래학교의 정의 29
대구미래학교 운영 체제 30
4대 실천 영역과 12개 실천 원칙 30
실천 원칙 및 지표 31
실천 지표의 활용 31
영역별 실천 지표 34
[사례발표 2] 부산광역시교육청 학교행정지원본부: 든든한 지원으로 학교를 학교답게 / 김영호 49
기본방향ㆍ조직 49
「학교 교육 활동」 지원 50
「학교 인력 채용」 지원 53
제안 54
[사례발표 3] 모든 정책을 학교 중심으로, 학교 지원 중심의 교육지원청 역할 변화 / 고희점 56
Ⅰ. '선생님을 아이들 곁으로~~' 56
Ⅱ. 교육현장의 미래교육체체로의 전환, 학교행정의 대전환 56
Ⅲ. 변화의 중심, 창원학교통합지원센터 61
Ⅳ. 미래를 위한 한 걸음 더 64
[사례발표 4] 학교 조직 혁신으로 교육력 제고 / 방기용 65
학교업무전담팀의 시작 65
학교 조직을 바꾸다 66
업무팀 운영 66
수업팀 운영 67
교내 인사 규정 정비 67
업무의 디지털 전환 68
'6년의 배움' 교육과정 운영 68
'6년의 배움' 기초 소양 69
'6년의 배움' 핵심 역량 교육 70
업무지원조직에 대한 만족도 71
설문조사 결과 분석 75
정책 제언 75
소규모학교 적용 방안 76
참고자료 76
판권기 78
〈그림 1〉 2020년 교육지원청의 역할 조사 설문 결과 57
〈그림 2〉 2020년 학교업무적정화 관련 설문조사 결과 57
〈그림 3〉 학교통합지원센터 주요 업무 59
〈그림 4〉 바로지원팀 지원 절차 60
〈그림 5〉 학교통합지원센터 만족도 조사 61
〈그림 6〉 거점통합돌봄센터 늘봄 62
〈그림 7〉 인력풀 운영 및 교육복지 지원 사례 63
〈그림 8〉 학교시설 지원 사례 63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