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개회사 / 황옥경 2
축사 / 권혜진 3
축사 / 김지홍 4
축사 / 전명욱 5
축사 / 정익중 6
한국 영유아 교육ㆍ보육 패널 연구 / 배윤진 14
[기조강연] 아이들에게 전해줄 행복 지혜 / 서은국 24
[주제강연] 한국 영유아 교육ㆍ보육 패널 자료를 이용한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와의 협력 연구 / 임병찬 35
1. 영유아 교육ㆍ보육 패널 조사자료 분석 36
2. 협력연구를 위한 제언 45
[세션 1] 부모의 삶의 질과 정책지원 50
[발표 1] 출산 전후 산모의 우울 변화궤적 유형과 양육 스트레스의 관계: 육아지원정책의 조절효과 / 천연미 51
Ⅰ. 서론 51
Ⅱ. 연구방법 52
Ⅲ. 연구결과 53
Ⅳ. 논의 및 결론 54
[발표 1 토론] 「출산 전후 산모의 우울 변화궤적 유형과 양육 스트레스의 관계: 육아지원정책의 조절효과」 토론문 / 김유미 55
[발표 2] 잠재계층모형(LCA)을 활용한 육아지원제도 이용 여부의 유형 분류: 어머니의 일ㆍ가정 양립을 위한 정책의 필요성 차이 / 정혜린;장경환;문민권 58
Ⅰ. 서론 58
Ⅱ. 연구방법 59
Ⅲ. 연구결과 및 정책적 시사점 60
[발표 2 토론] 「잠재계층모형(LCA)을 활용한 육아지원제도 이용 여부의 유형 분류: 어머니의 일ㆍ가정 양립을 위한 정책의 필요성 차이」 토론문 / 서영민 62
[세션 2] 후속출산계획 64
[발표 1] 머신러닝을 활용한 후속출산의도를 예측하기 위한 모델 구축 및 네트워크 분석 / 엄연용 65
Ⅰ. 서론 65
Ⅱ. 연구방법 65
Ⅲ. 연구결과 66
Ⅳ. 논의 및 결론 68
[발표 1 토론] 「머신러닝을 활용한 후속출산의도를 예측하기 위한 모델 구축 및 네트워크 분석」 토론문 / 김나영 69
[발표 2] 아버지 시간 관련 육아지원제도, 양육 참여가 어머니 후속출산 계획에 미치는 영향 / 라지영;허가영 71
Ⅰ. 서론 71
Ⅱ. 연구방법 72
Ⅲ. 연구결과 72
Ⅳ. 논의 및 결론 74
Ⅴ. 정책적 제언 및 시사점 75
[발표 2 토론] 「아버지 시간 관련 육아지원제도, 양육 참여가 어머니 후속출산 계획에 미치는 영향」 토론문 / 박윤현 76
[세션 3] 영아부모의 양육특성 78
[발표 1] 기계학습을 통한 양육 스트레스 관련 변수 탐색 / 권순보 79
Ⅰ. 서론 79
Ⅱ. 연구방법 79
Ⅲ. 연구결과 80
Ⅳ. 논의 81
Ⅴ. 정책적 제언 및 시사점 82
[발표 1 토론] 「기계학습을 통한 양육 스트레스 관련 변수 탐색」 토론문 / 김은정 83
[발표 2]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초산모의 부모 전이기 양육 경험 유형 분류 및 예측 요인 탐색 / 김민정 85
Ⅰ. 서론 85
Ⅱ. 연구방법 86
Ⅲ. 연구결과 86
Ⅳ. 논의 및 결론 87
[발표 2 토론]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초산모의 부모 전이기 양육 경험 유형 분류 및 예측 요인 탐색」 토론문 / 기쁘다 89
[발표 3] 어머니 산전ㆍ후 우울이 아버지 양육 참여에 미치는 영향: 부부동반 자녀 양육 교육으로 조절된 아버지 산후 우울의 매개효과 / 김다영 92
Ⅰ. 서론 92
Ⅱ. 연구방법 93
Ⅲ. 주요 연구결과 93
Ⅳ. 논의 및 결론 95
[발표 3 토론] 「어머니 산전ㆍ후 우울이 아버지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 부부동반 자녀양육교육으로 조절된 아버지 산후 우울의 매개효과」 토론문 / 노보람 96
[세션 4] 부모의 우울 98
[발표 1]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한 임산부의 우울 증상 변화 유형 및 양육 특성 분석 / 임정하;최은경 99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99
Ⅱ. 연구방법 100
Ⅲ. 연구결과 100
Ⅳ. 논의 및 결론 102
[발표 1 토론]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한 임산부의 우울 증상 변화 유형 및 양육 특성 분석」 토론문 / 김증임 104
[발표 2]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사회적 지원이 초산모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그릿과 양육 스트레스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권유정 106
Ⅰ. 서론 106
Ⅱ. 연구방법 107
Ⅲ. 연구결과 108
Ⅳ. 논의 및 결론 109
[발표 2 토론]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사회적 지원이 초산모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그릿과 양육 스트레스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토론문 / 김경은 110
[발표 3] 밀레니얼 세대 어머니의 출산 전후 우울궤적과 예측요인 탐색 / 정부민;김미애 112
Ⅰ. 서론 112
Ⅱ. 연구방법 113
Ⅲ/Ⅳ. 연구결과 114
Ⅳ/Ⅴ. 논의 및 결론 115
[발표 3 토론] 「밀레니얼 세대 어머니의 출산 전후 우울궤적과 예측요인 탐색」 토론문 / 안숙희 117
[부록] 2024년 제2회 한국 영유아 교육ㆍ보육 패널 학술대회 포스터발표 논문 119
[포스터발표 1]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가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영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 홍지은 120
[포스터발표 2] 초기 영아기 가정환경 잠재프로파일 유형과 영아 발달: 쌍둥이 가구 여부에 따른 차이 / 최지혜;이선우 124
Ⅰ. 서론 124
Ⅱ. 연구방법 125
Ⅲ. 연구결과 126
Ⅳ. 논의 및 결론 127
Ⅴ. 정책적 제언 및 시사점 128
[포스터발표 3] 어머니의 임신 중 스트레스와 영아의 기질 및 수면특성 간의 관계 / 이효림;김민솔 129
Ⅰ. 서론 129
Ⅱ. 연구방법 129
Ⅲ. 연구결과 130
Ⅳ. 논의 및 결론 131
[포스터발표 4] 배우자의 스마트폰 과의존, 양육스트레스,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 분석 : 영아기 자녀를 둔 부모를 중심으로 / 윤지선 132
Ⅰ. 서론 132
Ⅱ. 연구방법 132
Ⅲ. 연구결과 133
Ⅳ. 논의 및 결론 134
Ⅴ. 정책적 제언 및 시사점 134
[포스터발표 5]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심리ㆍ정서적 특성, 양육특성이 후속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 / 윤준호;조해연 136
Ⅰ. 서론 136
Ⅱ. 연구방법 137
Ⅲ. 연구결과 137
Ⅳ. 정책적 제언 및 시사점 138
[포스터발표 6] 영유아 주양육자의 사회적 지원 정도 척도에 대한 라쉬 분석의 적용 / 김민정;진연주;홍지원;신호빈 139
Ⅰ. 서론 139
Ⅱ. 연구방법 139
Ⅲ. 연구결과 140
Ⅳ. 논의 및 결론 142
[포스터발표 7] 모아의 조기접촉이 모유수유에 미치는 효과 / 이상윤 143
Ⅰ. 서론 143
Ⅱ. 연구방법 143
Ⅲ. 연구결과 145
Ⅳ. 결론 146
[발표 1] 머신러닝을 활용한 후속출산의도를 예측하기 위한 모델 구축 및 네트워크 분석 / 엄연용 66
〈표 1〉 집단별 출산 의도 66
[발표 1]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한 임산부의 우울 증상 변화 유형 및 양육 특성 분석 / 임정하;최은경 101
〈표 1〉 임산부 우울 수준 분포 101
〈표 2〉 임산부 우울 및 양육 특성 기술통계 101
〈표 3〉 잠재계층별 분류비율과 모수추정치 102
〈표 4〉 잠재계층에 따른 양육 특성 차이 검증 102
[발표 3] 밀레니얼 세대 어머니의 출산 전후 우울궤적과 예측요인 탐색 / 정부민;김미애 113
〈표 1〉 연구도구 113
〈표 2〉 어머니 우울의 6가지 잠재성장모형의 분석결과 114
〈표 3〉 어머니 우울의 다변량 잠재성장모형 경로계수 115
[발표 1] 머신러닝을 활용한 후속출산의도를 예측하기 위한 모델 구축 및 네트워크 분석 / 엄연용 67
[그림 1] 예측요인 중요도 67
[그림 2] 네트워크 요인 분석 67
[발표 1]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한 임산부의 우울 증상 변화 유형 및 양육 특성 분석 / 임정하;최은경 99
[그림 1] 연구모형 99
[그림 2] 잠재계층별 추정된 변화 형태 102
[발표 2]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사회적 지원이 초산모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그릿과 양육 스트레스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권유정 108
[그림 1] 연구모형의 경로와 표준화 계수 108
[포스터발표 2] 초기 영아기 가정환경 잠재프로파일 유형과 영아 발달: 쌍둥이 가구 여부에 따른 차이 / 최지혜;이선우 127
〈표 1〉 초기 영아기 가정환경 잠재프로파일별 영아발달 비교 127
[포스터발표 3] 어머니의 임신 중 스트레스와 영아의 기질 및 수면특성 간의 관계 / 이효림;김민솔 130
〈표 1〉/〈표 2〉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영아의 외향성, 부정적 정서, 지향/조절 차이 분석 결과 130
〈표 2〉/〈표 3〉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기질과 영유아 수면 패턴 간의 경로 분석 결과 130
[포스터발표 2] 초기 영아기 가정환경 잠재프로파일 유형과 영아 발달: 쌍둥이 가구 여부에 따른 차이 / 최지혜;이선우 126
[그림 1] 잠재프로파일별 가정환경 요인의 평균 126
[포스터발표 6] 영유아 주양육자의 사회적 지원 정도 척도에 대한 라쉬 분석의 적용 / 김민정;진연주;홍지원;신호빈 141
[그림 1] 4점 평정 척도 확률구조 도표 141
[그림 2] Wright Map 14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