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1
[행사일정] 2
목차 3
개회사 / 김예지 4
개회사 / 남인순 6
축사 / 추경호 9
축사 / 조규홍 11
축사 / 정기석 13
축사 / 이수구 15
축사 / 황윤숙 17
환영사 / 박태근 19
환영사 / 이중근 21
주제발표 23
주제발표 1. 장기요양 어르신 구강관리가 왜 필요한가? - 대한민국의 현주소와 전망 - / 진보형 23
주제발표 2. 한국의 방문구강관리 프로그램 사례 - 일본의 요양시설 구강관리와 비교 - / 장종화 43
1. 들어가며 45
2. 한국의 방문구강관리 프로그램 운영 사례 48
1) 재가 노인 방문구강관리 중재 프로그램 운영 사례(천안시) 50
2) 시설 노인 방문구강관리 시범사업 54
3. 일본의 요양시설 구강관리는? 56
4. 통합돌봄 기반 방문구강관리는? 63
패널토론 68
토론 1. 요양원 구강관리 현실과 어려움 / 송영옥 68
[머리말] 69
1. 구강관리의 중요성 71
2. 요양원에서의 구강관리 실태 71
3. 구강관리의 어려움 71
4. 구강관리 개선을 위한 제안 73
토론 2. 요양원 교육과정 중 구강관리의 실제와 개선방향 : 요양보호사 구강교육의 실제와 개선방향 / 서혜원 75
I. 요양보호사 구강교육의 실제 76
II. 개선 방향 제안 77
III. 결론 79
토론 3. 치과계약의사 제도의 개선 방향 / 신지연 80
토론 4. 일차의료기관의 구강보건 돌봄 및 진료저변 확대를 위한 제안 / 전양호 84
1. 예방, 관리 중심의 노인, 장애인 치과주치의제도 도입 85
2. 방문 치과 진료의 국가보장 및 건강보험 수가 제정 86
3. 치과위생사 인력의 활용 86
토론 5. 대한민국 장기요양기관 평가지표에 구강관리 항목 독립 신설 : 구강돌봄 선진국을 향한 도약의 시작 / 임지준 87
1. 구강관리 항목 신설의 의의 88
2. 구강관리 실효성 강화를 위한 과제 89
3. AI와 데이터 기반의 구강돌봄 혁신 89
4. 협력과 연대 : 구강돌봄 체계 구축의 핵심 90
5. 미래를 향한 비전 : 대한민국 구강돌봄 선진국으로 90
6. 오늘 이 자리 국회 공청회의 의미 91
[ppt자료] 92
토론 6. 제도 도입의 필요성 및 시사점 / 이진한[내용없음] 102
토론 7. 장기요양 노인에 있어서 식사와 구강건강관리의 중요성 / 권진희[내용없음] 103
토론 8. 방문 구강돌봄 정책 추진 방향 / 김미선[내용없음] 104
[뒷표지] 105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