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1
목차 2
인사말 / 김영호 3
인사말 / 김동아 5
인사말 / 박상혁 7
인사말 / 윤종오 9
인사말 / 이병진 11
인사말 / 채현일 13
인사말 / 강성호 15
인사말 / 이진한 17
발제 19
발제 1. 우리는 트럼프의 귀환에 준비되어 있는가? / 이대근 19
자유주의 국제질서의 부상, 그리고 쇠퇴 20
트럼프 외교정책과 역외균형(Offshore Balancing) 22
트럼프 2기 외교정책과 국제질서, 동북아 질서 25
북한의 러시아 파병에 따른 동북아 질서 변동 29
한반도 평화를 위한 과제 33
발제 2. 한반도 평화와 남북관계 / 이수석 35
1. 한반도 평화의 가치 36
2. 미국 트럼프 2기정부 출범과 한반도 정책 조정 37
3. 남북관계 경색 현안과 북한의 두개 국가론 39
4. 한반도 평화체제 수립 방안 41
5. 평화공존 43
토론 44
토론 1. / 백준기[내용없음] 44
토론 2. / 송영훈 45
1. 무엇이 급변하는가? 인식론적 게으름의 극복을 위하여 46
2. 트럼프 대통령의 귀환은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47
3. 트럼프와 김정은의 재회? 48
4. 한미일 vs 북중러? 외교의 국내화 49
토론 3. / 이신철 50
1. 동북아 질서 변화 요인 진단 51
2. 추가로 검토되어야 할 지점들 51
3. 대안은 있는가? 52
토론 4. / 한모니까 53
정세 분석과 대응 방안 모색의 중요성 54
남북(군사) 관계 단절, 남북간 군사적 갈등·적대적 대치 상황 지속 54
적대 쌍방 간의 DMZ 준수와 관리 55
접경지역 주민의 존재와 삶, 역사와 미래 55
한국의 주체적·능동적 역할의 방향과 실천 56
토론 5. 한반도 평화에 대한 단상 / 이창희 57
1. 전단, 확성기, 무인기 사태의 본질: 소극적 평화와 회색지대 저강도 전쟁의 병행 58
2. 북핵 대응과 북한 인권 향상을 위한 회색지대 저강도전쟁의 실행 공간: DMZ 타당? 59
3. 현재 조성되는 국제 정세는 한반도 접경지역의 군사적 위기 고조를 감소시킬 수 있는가? 60
4. 그럼에도 남북 전단, 확성기, 무인기로 고양된 한반도 군사적 위기를 우선 감소시켜야! 62
토론 6. / 예대열 63
1. 신냉전의 도래인가? 다극 체제의 구축인가? 64
2. 트럼프 귀환 이후 북미 관계 전망과 한국의 역할 65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