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지] 1

목차 3

Panel I. [한·일국제정치학회 연례 교류 KAIS-JAIR Joint Panel] 미일 리더십 교체와 한미일 협력(Leadership changes i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and the future of Korea-Japan-US cooperation) 6

발표 1. Japan's declining power, or renewed influence? Its strategy beyond the Yoshida Doctrine / ISHIHARA Yusuke 7

Introduction 8

(1) The evolution of Yoshida Doctrine 2.0 13

(2) A new strategy after Yoshida Doctrine 2.0 21

(3) Analytical issues ahead 29

발표 2. Reassessing the 2015 security legislation: the Abe's security policy legacies and the way forward / CHO Eunil 32

I. Introduction 33

II. Literature Review 35

III. Legacy of the Past 39

IV. Choices for the Present and Future 42

V. Conclusion[내용없음] 43

Discussants / LEE Geunwook ; TOGASHI Ayumi[내용없음] 6

Panel II. [한국국제정치학회·한국경영학회] 기업외교와 공급망 44

발표 1. 상생-복합형 FDI와 기업 ODA (인도 진출 전략 사례) / 정무섭 45

1. 신남방 정책과 상생-복합형 진출 47

2. 외국의 사례와 한국 현황 50

3. 신흥국 진출을 위한 9가지 제언 51

4. 상생형 경협 로드맵 추진방안 (기재부, 2014.12) 52

5. 복합형진출 사례: 인도산업회랑사업 54

6. 복합형 진출 현재 진행상황 62

발표 2. 경제안보와 신산업정책 / 이승주 68

I. 서론 69

II. 산업정책의 재검토: 선행 연구 검토 71

III. 분석적 논의 72

IV. 신산업정책의 대두 79

V. 결론 82

References 84

토론 / 최영종 ; 이왕휘 ; 정진섭 ; 고경일 ; 최재덕[내용없음] 44

Panel III. [국회 글로벌외교안보포럼] (Round Table) 미 신정부 출범 이후 동아시아 안보 환경과 우리 외교의 방향 85

토론 1. / 김건[내용없음] 85

토론 2. / 손열 86

1. 트럼프의 statecraft의 특징은 무엇인지? 그것이 제1기, 2기에서 어떻게 정책으로 나타났고 나타날 것이며, 향후 세계질서에 어떠한 영향을 줄 것인가? 86

2. 한미, 미일, 미중, 미러 등 현안에 비추어 트럼프 집권 후 미국과 관심국가 사이의 양자관계는 어떻게 전개될 것으로 전망하는지? 87

3. 국제질서가 바뀌고 각국의 가장 중요한 양자관계인 미국과의 관계의 변화가 예상되는 가운데, 이들 각국과 한국의 양자관계의 전반 그리고 현안에 어떠한 영향을 줄 것인가? 87

4. 한국의 외교정책 방향과 과제에 대해 짧게 총평 88

토론 3.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과 러시아 / 신범식 89

트럼프의 당선과 종전 협상 가능성의 대두 89

우크라이나전 종전을 둘러싼 이해당사국의 요구와 국가별 선호 90

향후 시나리오 91

미 트럼프 행정부의 대러 정책 92

한러관계 도전 요인 93

한러관계의 기회 요인 94

토론 4. / 이상현 96

1. 트럼프의 statecraft의 특징은 무엇인지? 그것이 제1기, 2기에서 어떻게 정책으로 나타났고 나타날 것이며, 향후 세계질서에 어떠한 영향을 줄 것인가? 96

2. 한미, 미일, 미중, 미러 등 현안에 비추어 트럼프 집권 후 미국과 관심국가 사이의 양자관계는 어떻게 전개될 것으로 전망하는지? 97

3. 국제질서가 바뀌고 각국의 가장 중요한 양자관계인 미국과의 관계의 변화가 예상되는 가운데, 이들 각국과 한국의 양자관계의 전반 그리고 현안에 어떠한 영향을 줄 것인가? 99

4. 한국의 외교정책 방향과 과제에 대해 짧게 총평 100

토론 5. 미 신정부 출범 이후 동아시아 안보환경과 우리 외교의 방향: 중국을 중심으로 / 이희옥 102

미 신정부 출범과 중국의 모니터링 102

트럼프 2기 체제 질서의 특징 103

미중관계 전망 104

중국의 대응방식 105

트럼프 정부의 무역통상 정책과 중국의 대응 106

Reverse Nixon Strategy와 한반도 106

한국외교에 대한 함의 108

Panel IV. [위성락 의원실] 초당외교의 사례와 조건 110

발표 1. 미국의 초당외교 / 서정건 111

미국 의회와 외교 정책 : Carter and Scott(2021) 112

미국 정당 정치와 외교 정책: 국내 정치 배제? 113

미국 외교 정책과 미국 정당 정치 113

미국 외교 정책과 의회/정당 정치: China Policy Coalition-Building 114

미국 정당 내 계파 현황 114

335명 찬성 vs. 37명 반대 vs. 60명 불참 : 포퓰리즘 foreign policy? 115

미국 의원들의 Foreign Travel 115

Congressional Delegations: CODELs 116

의회 외교: 접근 변화 필요성 116

한미 의회 교류의 효과와 역할 117

한미 의회 교류 제언 117

발표 2. 호주의 초당외교: 양대 정당의 대중국 정책 (2017~2024) / 정상미 119

왜 호주인가? 120

보수연합 집권기 호·중 갈등국면 (2016~2021) 121

노동당 집권과 호·중 관계안정화 정책 121

보수는 친미, 진보는 친중??? 122

초당적 협력의 기반: 위협인식과 규범 122

호주 사례의 교훈 123

정치가 국경선에서 시작되면? 123

정책적 시사점 124

발표 3. 초당적 외교 추진 시 장애요인과 해소 방안 / 전봉근 125

1. 문제제기: 초당적 외교의 필요성 126

2. 한국 외교안보의 분열상 128

3. 외교안보를 둘러싼 정치적 분열과 남남갈등의 배경과 원인 분석 130

4. 국민 합의, 정치 합의 기반의 초당적 외교 추진 방안 제안 132

토론 / 김인한 ; 최진우 ; 배종윤[내용없음] 110

[뒷표지] 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