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tif
표지=0,1,1
판권지=0,2,1
CONTENTS=i,3,3
PROLOGUE FROM THE ACADEMIC CHAIR/김중순(KIM, TSCHUNG-SUN)=iv,6,2
PLENARY 전체발표=1,8,1
T'OEGYE AS TEACHER/MARTINA DEUCHLER/MARTINA DEUCHLER=1,8,7
GLOSSARY=8,15,2
ENDNOTE=10,17,1
산조의 문화론:샤머니즘에 비추어 본 한국문화의 일면/김열규=11,18,1
'신남/신지핌'의 의미=11,18,2
산조의 다양한 양상=12,19,2
무당춤의 동선=13,20,2
언어와 문화의 정체성/남기심=15,22,4
ORIGINS:CONFUCIAN STORIES AND 21ST CENTURY QUESTIONS/MICHAEL KALTON(이미지참조)=19,26,6
ENDNOTES=25,32,2
T'OEGYE AND KOREAN THOUGHT I 퇴계와 한국의 사상I=27,34,1
퇴계의 "성학십도"에 나타난 한국의 전통 문화문법/강신표=27,34,1
서론=27,34,4
"성학십도"의 일반적 이해와 비판=30,37,7
언어문법과 문화문법=36,43,3
한국의 전통문화문법으로서 "대대적 인지구조"=38,45,6
"성학십도"에 나타난 전통문화문법=43,50,3
결론=45,52,6
"ORIGINALITY" IN KOREAN THOUGHT:A PRELIMINARY PHILOSOPHICAL AND METHODOLOGICAL REFLECTION/RO, YOUNG-CHAN=51,58,2
SEARCH FOR KOREAN SPIRIT=53,60,1
KOREAN WORLDVIEW AND THE LACK OF COSMOGONY.=54,61,2
SHAMANISTIC MOTIVE AND SPIRITUALITY=55,62,2
REFLECTION=56,63,1
ENDNOTE=57,64,2
퇴계의불교관:평가와 의의/김종명=59,66,1
머리말=59,66,2
I. 퇴계 불교관의 형성 배경=60,67,3
II. 퇴계의 불교관 분석=62,69,4
III. 퇴계의 불교관 평가=66,73,6
IV. 퇴계 불교관의 의의=71,78,4
맺음말=75,82,1
참고문헌=76,83,1
ENDNOTES=77,84,2
T'OEGYE AND KOREAN THOUGHT II 퇴계와 한국의 사상II=79,86,1
퇴계학과 한국인, 한국 문화/홍원식=79,86,1
왜 퇴계인가?=79,86,2
'퇴계학'은 과연 존재하는가?=80,87,2
퇴계 리학과 심학=82,89,3
'퇴계학'은 심학이다=84,91,2
퇴계학과 한국인, 한국 문화=85,92,2
ELEMENTS OF THE FAR EASTERN TRADITIONAL THOUGHT IN NORTH KOREAN JUCHE IDEAS OF 1980s-1990s/SERGUEI O. KOURBANOV=87,94,1
INTRODUCTION=87,94,1
A BRIEF OUTLOOK OF HISTORY OF THE JUCHE IDEAS=87,94,2
JUCHE AND CHEONDOGYO=89,96,3
JUCHE AND CONFUCIANISM=91,98,2
CONCLUSION:WHAT IS THE FUTURE OF THE JUCHE IDEAS?=92,99,2
REFERENCES=94,101,2
ENDNOTES=95,102,2
퇴계, 다산 그리고 수운:향내와 향외의 문제를 중심하여/김상일=97,104,1
1. 나르시스와 자기언급=97,104,3
2. 나르시즘과 프랑크푸르트 학파=99,106,4
3. 자기언급의 철학으로서의 '동학'=102,109,3
4. 나르시즘을 넘어서:향내와 향외=104,111,6
참고문헌=110,117,2
ENDNOTES=111,118,2
DISCUSSION ON PANEL OF "T'OEGYE AND KOREAN THOUGHT II"/MARTINA DEUCHLER=113,120,1
HONG WON-SIK:T'OEGYE LEARNING AND KOREAN CULTURE(이미지참조)=113,120,2
KIM SANG-IL:T'OEGYE, TASAN, SUUN:THE PROBLEM OF INTROVERT AND EXTROVERT=114,121,1
SERGUEI O. KOURBANOV:ELEMENTS OF THE FAR EASTERN TRADITIONAL THOUGHT IN NORTH KOREAN JUCHE IDEAS OF THE 1980S AND 1990S=114,121,3
A NEW APPROACH TO THE TAN'GUN MYTH 단군사상의 새로운 해석=117,124,1
단군 조선과 관련된 몇가지 문제/최희수=117,124,1
I. 한민족의 연원 문제=117,124,2
II. 단군 신화의 발상지 문제=118,125,3
III. 단군 조선의 지정학적인 위치문제=120,127,3
IV. 산동성 무씨 사당의 석각문제=122,129,2
V. 조선만이 문제=123,130,2
VI. 고려본고죽국 문제=124,131,2
ENDNOTES=125,132,2
THREE STRUCTURAL PATTERNS OF KOREAN FOUNDATION MYTHS/JAMES HUNTLEY GRAYSON=127,134,1
PATTERNS OF KOREA FOUNDATION MYTHS=127,134,1
THE CHUMONG TYPE=128,135,4
OTHER EXAMPLES OF THE FOUR-FOLD PATTERN=131,138,2
THE ARYAN EXPULSION-AND-RETURN-FORMULA=132,139,3
THE TAN'GUN TYPE=134,141,4
THE MYTH OF JIMMU, PROGENITOR OF YAMATO(8TH CENTURY)=137,144,3
THE THREE CLAN ANCESTORS TYPE=139,146,3
CONCLUSIONS=141,148,2
ENDNOTES=143,150,2
REFERENCES CITED=145,152,2
THE TAN'GUN MYTH AS AN INVENTION OF TRADITION, AND ITS SIGNIFICANCE IN KOREAN SHAMANISM/KIM, HYUN-KEY=147,154,1
INTRODUCTION=147,154,1
THE TAN'GUN MYTH=147,154,2
IS THE TAN'GUN MYTH AN INVENTION OF TRADITION?=148,155,3
THE SIGNIFICANCE OF TAN'GUN TO THE KOREAN PEOPLE=150,157,2
TAN'GUN'S ROLE IN KOREAN SHAMANISM=151,158,2
REFERENCES=153,160,2
ENDNOTES=155,162,2
논평:"단군신화의 새로운 해석" 패널/김종서=157,164,1
HYUN-KEY KIM HOGARTH:THE TAN'GUN MYTH AS AN INVENTION OF TRADITION, AND ITS SIGNIFICANCE IN KOREAN SHAMANISM=157,164,2
JAMES HUNTLEY GRAYSON:THREE STRUCTURAL PATTERNS OF KOREAN FOUNDATION MYTHS=158,165,2
최희수:단군 조선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159,166,2
KOREAN IDENTITY IN LITERATURE 문학에 나타난 한국인의 정체성=161,168,1
한국현대소설에 나타난 한국인의 생사관(生死觀) 연구:작품에서 보이는 장례의식을 중심으로/권오현=161,168,1
1. 머리말=161,168,2
2. 한국인의 장례의식=162,169,7
3. 장례의식의 소설적 형상화 양상=168,175,8
4. 장례 의식을 통하여 표출된 한국인의 정체성=175,182,8
5. 맺음말=182,189,3
참고문헌=185,192,1
ENDNOTES=186,193,5
THE ORIGINS OF "THE FOREIGN" IN KOREAN LITERATURE/JOHN M. FRANKL=191,198,1
INTRODUCTION=191,198,2
HISTORICAL EXAMPLES=192,199,2
LITERARY EXAMPLES=193,200,2
ENDNOTE=195,202,2
한국인의 애정관:문학 텍스트를 통한 통시적 고찰/김성렬=197,204,10
논평:"문학에 나타난 한국인의 정체성"패널/원명수=207,214,1
권오현:한국현대소설에 나타난 한국인의 생사관 연구:작품에 보이는 장례의식을 중심으로=207,214,1
김성렬:한국인의 애정관:문학텍스트를 통한 통시적 고찰=207,214,2
John M. Frankl:The Origin of"The Foreign"in Korean Literature=208,215,1
ASPECTS OF MODERNIST LITERATURE I 근대문학의 양상I=209,216,1
한국 현대문학의 원천/김교봉=209,216,1
I. 머리말=209,216,1
II. 한국현대문학 원천으로서의 개화기문학=210,217,1
III. 개화기 문학의 전환적 양상=211,218,5
IV. 개화기 문학의 전통성과 근대성=215,222,2
V. 마무리=217,224,1
ENDNOTE=217,224,2
"LITERATURE PLAY" IN A NEW WORLD:THE SOCIAL ORIGINS OF THE MODERNISM OF KIM KIRIM AND PAK T'AEWON/ROBERT J. FOUSER=219,226,1
INTRODUCTION=219,226,1
LIVES OF KIM KIRIM AND PAK T'AEWON AS TOLD BY THEIR SONS=220,227,3
LITERATURE PLAY=222,229,4
CONCLUSIONS=225,232,1
REFERENCES=226,233,1
"과거의 상처"로서의 한국어중심주의/정백수=227,234,1
"과거의 상처"란 무엇인가=227,234,4
문학사 연구의 일본어문학의 처리=230,237,4
식민지기 모어중심주의의 형성=233,240,6
ENDNOTE=239,246,2
ASPECTS OF MODERNIST LITERATURE II 근대문학의 양상II=241,248,1
ON READING NORTH KOREAN SHORT STORIES ON THE CUSP OF THE NEW MILLENNIUM/STEPHEN EPSTEIN=241,248,10
REFERENCES=251,258,1
ENDNOTE=252,259,3
한국 근대 소설의 일인칭 고백체 형식에 관한 연구/박재섭=255,262,1
들어가기=255,262,1
고백체 소설의 발생 배경=255,262,3
한국문학의 서간 전통과 고백체 소설=257,264,3
고백체 소설의 유형=260,267,9
결론=268,275,2
ENDNOTE=270,277,1
COLONIAL AND MODERNIST ORIGINS OF THE EARLY SHORT FICTION OF HWANG SUN-WON/BRUCE FULTON(이미지참조)=271,278,1
HWANG AS A MODERNIST=271,278,3
HWANG AS A POLITICAL WRITER=274,281,2
CONCLUSION=275,282,2
ENDNOTES=277,284,1
BIBLIOGRAPHY=278,285,1
DISCUSSION ON PANEL OF "MODERNIST LITERATURE"/ROBERT J. FOUSER=279,286,2
SORI AND CH'UM 소리와 춤=281,288,1
THE 20TH CENTURY TRANSFORMATIONS OF THE KISAENG AND KISAENG-NORAE/JOSHUA D. PILZER=281,288,1
INTRODUCTION=281,288,2
SECTION I:TRANSFORMATION=282,289,4
SECTION II:ICONICITY=285,292,2
SECTION III:PERFORMANCE=287,294,1
CONCLUSION=287,294,1
REFERENCES=288,295,1
ENDNOTES=289,296,2
대구 지역 굿에 나타나는 한국 춤의 정신/장유경=291,298,1
I. 서론=291,298,2
II. 굿에서의 춤의 역할=292,299,6
III. 굿에 내포된 한국 춤의 정신=298,305,3
IV. 결론=300,307,2
참고문헌=302,309,1
LEE HYE-KU AND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ICOLOGY/KEITH HOWARD=303,310,2
KOREAN MUSIC AND HISTORY=304,311,3
LEE HYE-KU'S MUSICOLOGY=306,313,7
MUSICAL DEMOCRACY=312,319,2
REFERENCES=314,321,3
ENDNOTES=317,324,4
KOREAN SPIRIT AND AESTHETICS 한국의 미와 정신=321,328,1
울산 대곡리 암각화의 새로운 해석/장석호=321,328,1
머리말=321,328,1
암각화 속에 간직된 문화층=322,329,1
선후 관계 및 형상 분석=323,330,3
새롭게 드러나는 태화강의 선사 문화=325,332,4
THE REVIVAL OF SAN-SHIN AS A KEY FIGURE IN KOREAN RELIGIOUS CULTURE/DAVID A. MASOM=329,336,6
한민족의 원초적인 심미의식 "흥"에 대한 신화학적 연구/허휘훈=335,342,4
ENDNOTE=339,346,2
논평:"한국의 미와 정신"패널/박일우=341,348,1
장석호:울산 대곡리 암각화의 새로운 해석=341,348,2
David A. Mason:The Revival of San-shin as a Key Figure in Korean Religious Culture=342,349,2
허휘훈:한민족의 원초적인 심미의식 "흥"에 대한 신화학적 연구=343,350,2
TRADITION AND IDENTITY 전통과 정체성=345,352,1
한국신화에서 아버지의 부재와 탐색이 갖는 의미/천혜숙=345,352,1
1. 머리말=345,352,1
2. 아버지 부재 및 탐색의 신화적 문맥들=346,353,7
3. 신화문맥 상의 '아버지 부재'또는 '심부'가 갖는 사회문화적 의미=353,360,6
4. 결어=358,365,2
ENDNOTE=360,367,3
FROM SERVING THE GODS TO ENTERTAINING AND EMPOWERING THE PEOPLE:POPULAR SHAMANIC TRADITION IN KOREAN LITERATURE/MICHAEL J. PETTID=363,370,1
INTRODUCTION=363,370,2
SHAMANIC NARRATIVES=364,371,4
P'ANSORI NARRATIVES=367,374,2
POPULAR CONTEMPORARY LITERATURE=368,375,3
CONCLUSION=370,377,2
REFERENCES=372,379,1
ENDNOTES=373,380,2
할렐루야 기도원에 나타나는 한국인의 정체성:동일성에서 헌신으로/반신환=375,382,1
I. 들어가며=375,382,2
II. 정체성=376,383,2
III. 죽음 앞에서의 정체성:통합=377,384,5
IV. 할렐루야 기도원에서 나타나는 죽음 앞에서의 정체성:분열=381,388,4
V. 결론:헌신의 관점에서=384,391,2
참고문헌=386,393,1
ENDNOTES=386,393,1
논평:"전통과 의식"패널/강은해=386-1,394,3
CULTURAL ENVIRONMENT AND KOREAN IDENTITY 문화환경과 한국인의 정체성=387,397,1
한국사회의 온라인시민운동과 유교문화/임성숙=387,397,1
서론=387,397,1
한국형 정보화 사회=388,398,5
온라인 시민운동=392,402,8
온라인 시민운동에 대한 정부의 대응=399,409,4
온라인 시민운동의 한계=402,412,2
결어=403,413,2
ENDNOTE=405,415,2
TRACING THE HISTORY OF KOREAN GEOGRAPHIC THOUGHT THROUGH RELIGIOUS LANDSCAPES/RYU, JE-HUN=407,417,1
INTRODUCTION=407,417,1
SHAMANISM=407,417,2
BUDDHISM=408,418,2
NEO-CONFUCIANISM=409,419,3
CONCULSION=411,421,2
신분계층적 문화전통과 근대 지역사회:남원 이족의 사례를 중심으로/혼다 히로시=413,423,1
1. 서언=413,423,2
2. 사회적 실체로서의 이족집단=414,424,9
3. 조선말~일제기 남원이족의 제활동=422,432,6
4. 신분계층적 전통의 구축과 사회적 위신ㆍ정통성ㆍ정체성=427,437,4
참고문헌=431,441,2
ENDNOTE=433,443,2
RICE AND KIMCH'I 쌀과 김치=435,445,1
CHOSON PASTORAL:MINSOKCH'ON, ALLEGORY AND THE POLITICS OF ETHNOGRAPHIC DISPLAY/TIMOTHY R. TANGHERLINI(이미지참조)=435,445,5
REFERENCES=440,450,2
ENDNOTE=442,452,1
KOREAN CHARACTER AND RICE:RURAL COMMUNITY IN THE AGE OF INDUSTRY/LEE, KWANG-KYU=443,453,1
INTRODUCTION=443,453,1
NATIONAL INDUSTRIALIZATION DEVELOPMENT PLAN=444,454,1
NEW DEVELOPMENTS IN RICE CULTIVATION=444,454,3
SOCIAL CHANGE IN RURAL AREAS=446,456,3
CULTURE CHANGES IN MODERN RURAL COMMUNITIES=448,458,2
SOCIAL PROBLEMS IN RURAL COMMUNITIES=449,459,1
COMMERCIALIZATION OF RICE=449,459,2
CONCLUSIONS=450,460,1
REFERENCES=451,461,2
한국인과 김치 그 문화적ㆍ종교적 의미/오강남=453,463,1
들어가면서=453,463,1
1. 김치의 역사=453,463,2
2. 김치의 구성요소=454,464,1
3. 김치의 정신적 의미=455,465,1
나가는 말=456,466,1
참고문헌=456,466,1
THE KOREAN RICE BURGER:HYBRIDIZATION AND STABILIZATION OF RICE AS A CULTURAL ICON/MICHAEL C. REINSCHMIDT=457,467,1
1.THEORETICAL BACKGROUND=457,467,3
RICE AND THE INDIVIDUAL SELF AS EXPRESSED IN LIFE NARRATIVES=459,469,3
RICE AND THE SOCIO-CULTURAL SELF AS EXPRESSED IN THE STABILITY OF TRADITIONS=461,471,2
RICE LINKED TO CLASS AND NATION=462,472,1
RICE IN LOCAL AND GLOBAL MARKETS=462,472,2
COMMODIFICATION OF RICE:URBANIZATION, NEW KOREAN FOODS AND PERSONAL IDENTITY=463,473,1
CONCLUSIONS=463,473,2
REFERENCES=465,475,2
DISSCUSSION ON PANEL OF "KOREAN CHARACTER AND RICE,THE KOREAN RICE BURGER, AND KIMCHI"/HUH, JUNG MYUNG=467,477,4
ARCHEOLOGY AND KOREAN STATE FORMATION 고고학과 한국의 성립=471,481,1
HAN'S XUANTU COMMANDERY AND THE EMERGENCE OF THE KOGURYO STATE/MARK BYINGTON(이미지참조)=471,481,2
HAN AND THE COMMANDERIES:THE HISTORICAL SETTING=472,482,5
PROBLEMS IN SITING XUANTU=476,486,3
SITES ASSOCIATED WITH THE SECOND XUANTU=478,488,7
XUANTU'S INFLUENCE-A MATTER OF PROXIMITY=484,494,4
ENDNOTE=488,498,13
"前四史"對朝鮮半島生活習俗的記錄與進步歷史家所表現的民族關係準則/韓兆琦=501,511,1
(三國志)對秦漢以至魏晋時期的朝鮮半島人民生活習俗的描述=501,511,3
(史記ㆍ朝鮮列傳) 所表現的進步歷史家的民族關係準則=503,513,2
한글요약=504,514,5
IRON AGE BURIALS AROUND THE KOREAN STRAITS:THE CULTURE OF HAN AND WA/BARBARA SEYOCK=509,519,1
INTRODUCTION=509,519,1
TERMINOLOGICAL AND CHRONOLOGICAL SETTING=510,520,2
IRON AGE SITES IN CHOLLA AND KYONGSANG PROVINCES(이미지참조)=511,521,3
YAYOI SITES IN THE KOREAN STRAITS=513,523,1
MIRRORS, TOMBS AND KUNI IN NORTHERN KYUSHU(이미지참조)=514,524,1
THE CULTURE OF HAN AND WA=514,524,2
ENDNOTES=516,526,11
논평:"고대사회의 문화와 정치"패널/노중국=527,537,1
한조기:전사사의 한반도 생활습관 및 풍속에 대한 기록과 진보역사가 사마천이 표현한 민족 관계의 준칙=527,537,2
BARBARA SEYOCK:IRON AGE BURIALS AROUND THE KOREAN STRAITS:THE CULTURE OF HAN(韓)AND WA(倭)=529,539,2
PARTICIPANTS LIST 참가자=531,541,4
학술대회조직위원회 기구표=535,545,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