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평생교육사의 직무규정과 직업적 전문성향상 방안 / 김진화 4

Ⅰ. 서론: 코드 맞추기 4

Ⅱ. 평생교육사의 직업적 전문성 탐구: 세 개의 거울 6

Ⅲ. 평생교육사의 역할, 직무, 과업의 탐색:관용적 동의와 필요적 합의 8

1. 평생교육사의 역할 탐색: 법적 및 이론적 규정 9

2. 평생교육사의 직무 및 과업 탐색: 직무분석 결과 13

3. 평생교육사의 자질과 능력의 탐색 15

4. 평생교육사가 갖추어야할 기술의 탐색 19

Ⅳ. 평생교육사의 직무규정: 계량적 분석 사례 22

1. 평생교육사의 핵심역할에 대한 인식 23

2. 평생교육기관 및 조직의 관리자로서의 역할에 대한 인식 23

3. 프로그램 개발자로서의 역할에 대한 인식 24

4. 프로그램 운영자로서의 역할에 대한 인식 25

5. 교수학습촉진자로서의 역할에 대한 인식 26

6. 네트워크 조정자로서의 역할에 대한 인식 27

7. 평생교육사 직무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28

Ⅴ. 평생교육사의 직업적 전문성 향상을 위한전략적 제언 30

Ⅵ. 맺음말 : 각자의 로드맵 세우기 32

참고문헌 33

평생교육사 위상 제고 방안 / 변종임 39

I. 들어가는 글 39

Ⅲ. 평생교육사 위상 제고 방안 : Positioning, empowering, networking 48

1. Positioning : 관계 속에서의 위치 정립 48

2. Empowering : 평생교육사의 학습력 극대화 53

3. Networking : 평생교육사의 학습력 활성화 56

4. 우리 나라 평생교육 추진체제의 지원 58

Ⅳ. 글을 마치며 63

참고문헌 65

[토론 1]「평생교육사의 직무규정과 직업적 전문성 향상 방안」에 대한 토론 / 권두승 67

[토론 2]「평생교육사 위상 제고 방안」에 대한 토론 / 이규선 71

[토론 3]「평생교육사의 위상제고 방안」에 대한 토론 / 문정수 76

1. 평생교육법 제19조에는 평생교육단체 및 평생교육시설에 효율적인 평생교육의 실시를 위하여 평생교육사를 배치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있으나 실제 현장에서는 이러한 전문인력 배치는 크게 미진한 편임 77

2. 아직 평생교육사 배치는 일용직 형태의 불안정한 채용구조를 가지고있으며, 책임한계가 불명확하고, 저임금체계(단순사무보조원)로 근무하고 있는 실정임 79

표목차

평생교육사의 직무규정과 직업적 전문성향상 방안 / 김진화 4

[표1] 평생교육사가 갖추어야할 기술 20

[표2] 평생교육사가 갖추어야할 기술(2) 21

[표 3] 평생교육사의 핵심 역할 23

[표 4] 평생교육기관 및 조직의 관리자로서의 역할 24

[표 5] 프로그램 개발자로서의 역할 25

[표 6] 프로그램 운영자로서의 역할 26

[표 7] 교수학습 촉진자로서 역할 27

[표8] 네트워크 조정자로서의 역할 27

[표 9] 평생교육사의 직무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29

[표 1 ] 학습자와의 관계에서 본 평생교육사의 역할 43

「평생교육사의 위상제고 방안」에 대한 토론 / 문정수 76

[표] 기관별 평생교육사 현황 78

그림목차

평생교육사의 직무규정과 직업적 전문성향상 방안 / 김진화 4

[그림 1] 평생교육사의 핵심 직무 14

[그림 2] 평생교육사 직업적 전문성 향상을 위한 전략틀 30

평생교육사 위상 제고 방안 / 변종임 39

[그림 1] 평생 교육사의 전문직 특성과 한계 47

[그림 2] 주체들간의 역학관계 49

[그림 3] 주체들과의 관계에서의 평생교육사 위치 50

[그림 4] OECD 교육변화 시나리오 51

[그림 5] 평생학습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