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일정
목차
기조강연 4
평생교육에 제 자리를 / 정범모 4
1. 평생교육의 자리 4
2. 교육철학 4
3. 성인학습 5
4. 개방대학 6
5. 직장교육 7
6. 텔레비젼 8
주제발표1 10
평생학습과 교육개념의 변화 / 한승희 10
I. 들어가며 10
II. 평생교육연구의 성장과 그 존재론적 기반 12
III. 위기속의 변화: 학습주의와 시민사회의 조우(遭遇) 19
IV. 결론: 평생교육학의 새로운 출발 26
참고 문헌 28
토론 30
「평생학습과 교육개념의 변화」에 대한 토론 원고 / 박성정 30
주제발표2 33
평생학습 활성화를 위한 학교교육방법 개선 방향 / 윤여각 33
1. 들어가며 33
2. 평생 학습에서 자기주도성 35
가. 학습 주체의 자기 주도성을 제약하는 학교 교육 35
나. 학습에서 자기 주도성의 의미 37
3. 평생학습에서 기초능력 39
가. 교과목 내용 중심으로 진행되는 학교교육 39
나. 기초능력의 의미 42
4. 평생 학습에서 학습 수준 45
가. 수직적 차원과 수평적 차원의 통합 45
나. 제3의 차원 : 수준 차원 47
5. 수준별 개별화 수업 48
가. 개인을 배경으로 물리는 학교 교육 49
나. 학생별 학업 진척 화일 50
6. 나오며 52
참고문헌 54
토론 55
「평생학습 활성화를 위한 학교교육방법 개선방향」에 대한 토론 / 강태중 55
주제발표3 60
평생학습 패러다임에서의 교육자 역할 전환 / 정민승 60
1. 문제제기 60
2. 기존의 사회교육자 논의 : 무엇이 빠져있는가? 62
1) 전통적 교육자의 역할 규정 방식 62
2) 사회교육자 역할에 대한 논의의 흐름 64
3. 평생학습 패러다임에서 교육자의 위상 72
1) 교육자론의 정당성 : 학습자에 대한 오해의 정정 72
2) 평생학습 패러다임의 고유성 77
3) 사회교육자 다시 보기 : 위상과 역할 82
4. 결론 86
참고문헌 88
토론 91
「평생학습 패러다임에서의 교육자 역할전환」에 대한 토론 / 권두승 91
1. 글을 읽기 전에, 그리고 글을 읽으면서 91
2. 발표자의 글을 읽고 나서 92
3. 토론을 마치면서 95
주제발표4 97
평생학습 패러다임에서의 지원체제 재구조화 / 최돈민 97
Ⅰ. 서 론 97
Ⅱ. 평생학습지원의 정당성 : 권리로서의 학습권 보장 98
Ⅲ. 평생학습 지원체제로서의 평생학습제도 102
Ⅳ. 평생학습 행정지원 체제 107
Ⅴ. 평생학습 재정지원 체제 111
Ⅵ. 평생학습 지원체제의 재구조화 114
참고문헌 117
토론 119
평생학습지원체제로서 사회학습망(Social Learning Net)의 제안 - 최돈민 박사의 ‘평생학습패러다임에서의 지원체제 재구조화’에 대한 토론 / 장원섭 119
1. 원고에 대한 토론 119
2. 사회학습망의 제안 121
주제발표5 124
평생학습시대와 중등교육의 발전과제 / 신군자 124
Ⅰ. 평생학습시대와 교육 124
Ⅱ. 평생학습시대와 중등교육의 전망 127
1. 중등교육의 현황 128
1) 중등교육의 목적 및 역할 128
2) 중등교육에서의 실업계 교육 130
3) 중등교육에서의 특수목적계 교육 131
2. 중등교육의 대안과 전망 132
3. 선진국의 중등교육개혁 동향 135
1) 영국 135
2) 독일 137
3) 호주 137
Ⅲ. 평생학습시대와 중등교육의 발전과제 139
참고문헌 143
토론 145
「평생학습시대와 중등교육의 발전과제」에 대한 논평 / 박부권 145
자유발표1 148
평생학습도시에 대한 소크라테스 변명 / 이회수 148
Ⅰ. 문제의 제기 148
Ⅱ. 학습도시 대두의 논적 근거 151
가. 역사적 실존으로서의 학습도시 151
나. 학습사회의 실현체로서의 학습도시 154
다. 학습경제의 실현체로서의 학습지역 159
Ⅲ. 맺음말: 논의 및 과제 167
참고문헌 171
자유주제2 175
학교학교 경영의 효율화를 위한 중심 평생교육 활성화 방안 / 홍숙희 175
1. 들어가며 175
2. 학교시설을 이용한 평생교육과 학교중심 평생교육 180
3. 학교 중심의 평생교육 누가, 어떻게 할 것인가? 182
4. 학교중심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무엇을 할 것인가? 184
(1) 능력신장 프로그램 184
(2) 학부모교육 프로그램 187
(3) 학부모 전문자원봉사 교육프로그램 188
5. 마무리하며 190
참고문헌 192
주제발표2 33
〔그림 1〕능력의 세 차원 43
〔그림 2〕평생 학습의 두 차원 46
〔그림 3〕평생 학습의 세 차원 48
〔그림 4〕기초 능력에 대한 교과목별 평가 51
주제발표3 60
[그림 1] 사회교육자의 역할순환도 85
토론 : 평생학습지원체제로서 사회학습망(Social Learning Net)의 제안 - 최돈민 박사의 ‘평생학습패러다임에서의 지원체제 재구조화’에 대한 토론 / 장원섭 119
[그림 1] 사회학습망의 체제 122
자유발표1 148
〔그림 1〕학습유형과 인적자본 및 사회적 자본간의 관계 모형 165
자유주제2 175
〔그림 1〕지역사회학교 평생교육프로그램 운영 모형 184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