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개회사 / 김정
축사 / 노철래
축사 / 김학송
축사 / 김태영
축사 / 박재갑
목차
주제발표 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 Research and Policy on Combat PTSD / Je t'aime Hood 9
USA - PTSD Impact 9
PTSD - a Brain Disease 10
USA - PTSD Research 10
USA - Veterans Health Care Policy 12
USA - PTSD Policy 13
우리 군의 전장스트레스 관리 실태와 개선 방안 - 외상후 스트레스장애(PTSD)를 중심으로 / 정효현 19
Ⅰ. 서론 19
Ⅱ. 전장스트레스에 관한 고찰 20
1. 스트레스 20
1) 스트레스 및 전장스트레스의 개념 20
2)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20
2. 미군과 국군의 외상 후 스트레스의 사례 21
1) 미군 21
2) 국군 22
Ⅲ. 외국군의 전장스트레스 관리 23
1. 미국 23
1) 사전 예방 23
2) 현장 관리 : 정신건강관리팀(CSCT : Combat Stress Control Team) 23
3) 복귀 후 건강재평가 제도(PDHRA : Post Deployment Health Reassessment) 23
2. 일본 24
Ⅳ. 한국군의 전장스트레스 관리 실태, 문제점 및 대응책 25
1. 한국군의 전장스트레스 관리 실태 25
1) 파병부대 정신건강관리 교육체계 25
2) 해외파병장병과 가족들의 건강관리 지침 25
2. 한국군의 전장스트레스 관리의 문제점 및 대응책 28
1) 국방부와 국가보훈처, 민간단체가 긴밀한 협조체제 유지 28
2) 국방부에 의한 PTSD 관리 측면에서 본 문제점과 대응책 29
2. 국방부와 국가보훈처의 직무 구분 면에서의 대응책 34
3. 국가보훈처에 의한 PTSD 관리 측면에서 본 문제점과 대응책 36
1) 질병·장애로 전역하는 장병들에 대한 국가의 보호마인드 절실 36
2) 정신과 장애 내용에 PTSD를 명문화 36
3) PTSD 치료 병원 및 시설 확충 38
3. 민간단체와 교류에 의한 관리 39
1) 전문연구소 설립 39
2) 학·군 상설기구의 설립 40
3) 군 사회복지학회의 활용 40
Ⅴ. 결론 41
참고 문헌 43
부록 : 사고 발생 후 각관의 역할과 책임 45
토론 48
한국군의 전장스트레스 관리 개선방안에 대한의료계의 제언 / 박주언 49
Ⅰ. 서론 49
Ⅱ. 수요도 예측 49
Ⅲ. 천안함 사고의 경과 51
Ⅳ. 국내 시스템의 문제점 및 제언 52
1. 민간자원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52
2. 자료 구축 및 분석을 통해 기존 시스템의 발전을 도모해야 한다. 53
3. 체계적인 관리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54
4. 법률적 보완이 필요할 수 있다. 54
한국군 내 PTSD 사례 및 관리체계 / 박동언 56
1. 한국군 내 PTSD 보고 사례 및 사후관리 56
2. 국방부 내의 PTSD 판별기준 (DSM-IV-TR의 진단기준) 57
3. PTSD의 예방, 진단, 치료, 보상체계 58
4. 개선을 위한 정책적 소요 58
해외파병 장병의 전장스트레스 관리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 김승기 59
Ⅰ. 서론 59
Ⅱ. 아프가니스탄파병 일반 현황 59
1. 한국군 아프간 파병 목적 59
2. 파병 경과 60
3. 아프간 상황 60
4. 바그람 기지 적대세력 공격 현황 61
5. 파병지역 환경에 대한 전장스트레스 61
Ⅲ. 파병 부대장병의 전장 스트레스 62
1. 부대원의 파병 만족도 62
2. 주요 스트레스 요인 62
3. 파병기간 중 힘들었던 시기 63
4. 파병장병 스트레스의 특성 64
Ⅳ. 파병부대 장병 스트레스 최소화 방안 65
1. 신세대 장병들의 스트레스 해소 방법 분석 65
2. 신세대 장병에게 적합한 행사 개발로 효율적인 시간 관리(실제 적용) 65
3. 파병부대 지휘관의 재량권 활용 및 현장에서 동참 필요 66
4. 파병 기간은 6개월을 기본으로 하는 제도화가 필요 66
5. 파병인원 선발 시 다면적 인성검사 등 입체적 검증 필요 66
6. 부적응 장병 및 사고 위험내재 장병 조기 귀국 제도화 67
7. 해외파병 전담부대의 신설 운용 제도화 필요 67
Ⅴ. 파병성과 67
1. 파병 중 장병들이 보람을 느낀 사항 67
2. 개인적인 파병성과 68
3. 군과 국가적 목표 달성 69
Ⅵ. 결론 69
전투 관련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combat-relate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 정문용 71
외상(trauma) 71
유병율 72
특성 72
감별 진단 73
한국 현황 74
초기대응 7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 Research and Policy on Combat PTSD / Je t'aime Hood 10
Figure 1. Response to Stress in a Normal Subject (Panel A), a Patient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Panel B), and Patient with PTSD (Panel C). 10
우리 군의 전장스트레스 관리 실태와 개선 방안 - 외상후 스트레스장애(PTSD)를 중심으로 / 정효현 25
〈그림 1〉 파병부대 정신건강관리교육 체계도 25
〈그림 2〉 군 PTSD 종합관리 체계도 29
한국군의 전장스트레스 관리 개선방안에 대한의료계의 제언 / 박주언 50
〈그림 1〉 제대 군인들의 PTSD 발병률 50
〈그림 2〉 미군 현역군인들의 PTSD 시점 유병률 51
해외파병 장병의 전장스트레스 관리 현황과개선방안 연구 / 김승기 62
〈그림 1〉 부대원의 파병 만족도 62
〈그림 2〉 주요 스트레스 원인 63
〈그림 3〉 파병기간 중 가장 힘들었던 시기 63
〈그림 4〉 스트레스 해소 방법 65
〈그림 5〉 파병 중 보람을 느낀 일 68
〈그림 6〉 개인적인 파병 성과 68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