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지]

목차

I. 워크숍 개요 3

I. 개최 목적 4

II. 추진개요 4

III. 세부 일정 4

II. 성별영향평가 컨설팅 실시에 제기되는 이슈와 쟁점 / 강남식 5

성별영향평가와 컨설팅 6

성별영향평가 결과의 성과와 한계 7

컨설턴트가 직면하는 어려움 7

담당자의 이해 부족 및 거부감 8

컨설턴트의 역할 8

컨설턴트의 역할인식 9

사전지식과 전문성 확보 9

대인관계 및 소통 능력 10

컨설턴트들의 주의점 10

과제선정의 문제-1 11

수혜자중 여성비율이 높은 사업 11

사업 내용과 대상자 집중 12

과제선정의 문제-2 12

과제선정의 문제-3 13

환류 실적의 제한성 13

지표별 제기되는 이슈-1 14

지표별 제기되는 이슈-2 14

지표별 제기되는 이슈-3 15

지표별 제기되는 이슈-4 15

과제선정 내용과 대상자 다양화 16

환류 실효성 제고 16

사업 일정과 컨설팅 17

주요 토론 주제와 영역 17

참고문헌 18

III. 성별영향평가 컨설팅 가이드 라인 / 김양희 19

1. 컨설팅 현황, 범위, 관련 이슈들 21

2. 사전 준비, 과제 선정, 계획서 작성 단계 24

3. 중간보고 단계 32

IV. 2010년 성별영향평가 지침 38

I. 성별영향평가(性別影響評價) 제도 개요 39

1. 성별영향평가의 개념 39

2. 성별영향평가의 필요성 39

3. 성별영향평가 유형 39

4. 추진근거 : 여성발전기본법 제10조(정책의 분석・평가 등) 39

II. 추진목표 및 전략 40

III. 성별영향평가 추진체계 및 추진방법 41

1. 적용대상기관 41

2. 추진체계 개요 41

3. 기관별 성별영향평가 총괄부서 및 평가관리 책임 42

4. 추진방법 42

IV. 성별영향평가 과제 선정 47

1. 대상정책 선정기 47

2. 기관별 평가과제 수 48

3. 대상정책 선정기준 유의사항 48

V. 성별영향평가 지표 및 적용 방법 50

1. 성별 통계의 생산 및 활용 50

2. 정책(사업)의 성별 관련성 파악 50

3. 정책(사업) 결정과정의 양성평등 참여 51

4. 성 인지 예산 51

5. 정책(사업) 수행방식의 양성평등성 51

6. 정책(사업) 수혜의 양성평등성 52

7. 정책개선 52

VI. 제도 개선 환류 방안 52

1. 제도 개선·환류의 중요성 52

2. 제도 개선·환류 추진체계 53

VII. 행정사항 54

1. 성별영향평가 추진 일정 54

2. 각 기관 제출 보고서 및 일정 56

3. 성별영향평가 컨설팅단 구성・운영(4월~12월) 56

V. 2010년 성별영향평가 컨설팅 지침 57

I. 성별영향평가 컨설팅 개요 58

1. 성별영향평가 컨설팅의 정의 58

2. 추진목적 58

3. 컨설팅 유형 58

4. 추진근거 59

II. 성별영향평가 컨설팅 추진개요 59

1. 컨설팅 기관 59

2. 컨설팅 기간 및 시기 60

3. 컨설팅 추진체계 60

III. 성별영향평가 컨설팅 추진방법 61

1. 개요 61

VI. 2010년 성별영향평가 컨설팅 실제 64

I. 사전준비 65

1. 컨설턴트의 역할 인식과 전문성 확보 65

2. 성별영향평가 컨설팅 수용 기관의 협조사항 점검 67

3. 성별영향평가 컨설팅 수용 기관의 인프라 점검 68

4. 단계별 컨설팅을 위한 세부준비 70

II. 실행단계 73

1. 최초단계 73

2. 과제선정 74

3. 추진계획서 76

4. 중간보고서 82

참고문헌 105

참석자 명단 106

부록 109

[부록 1] 성별영향평가 컨설팅 활동일지 결과보고 양식 110

[부록 2] 여성발전기본법 114

[부록 3] 제3차 여성정책기본계획(2008-2012) 수정판 개요 124

[뒷표지] 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