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지]

Program

목차

인사말 / 박인숙 5

인사말 / 김선행 7

인사말 / 박노준 8

축사 / 김태석 9

주제발표 : 여성 성건강을 위한 피임정책과 피임약 재분류 문제 / 이임순 10

피임약의 재분류 경과 11

복합경구피임약 12

응급피임약 15

사전 복합경구피임약 재분류에 대한 입장 17

응급피임약 재분류에 대한 입장 18

1-1. 응급피임약을 일반으로 전환하여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 19

1-2. 응급피임약은 안전하다? 19

1-3. 응급피임약의 일반약 전환이 인공임신중절을 감소시킨다? 19

2-1. 응급피임약은 오·남용의 우려가 큰 의약품이다. 19

2-2. 성에 대한 도덕적 해이로 오히려 낙태나 성병을 줄이지 못할 것이다 20

2-3. 응급피임약 복용자를 위한 피임 상담이 반드시 필요하다. 20

2-4. 성의 홍수 속에서 피임과 성교육이 부족한 우리나라 실정에서 시기 상조이다. 21

의사선생님이 들려주는 피임·생리이야기 24

지정토론 27

경구피임제 재분류(안) / 신원 27

분류기준 29

사전피임제 30

긴급피임제 30

진정으로 여성을 위한 피임약 재분류안이 필요하다 - 응급피임약은 전문의약품이어야 한다 - / 강효인 33

무엇이 진짜 여성의 권리인가? : 사후피임약 일반약 전환은 오히려 여성 권리 약화 35

'응급피임약 상시 구비'? : 지나친 오남용 우려 37

사전피임약은 보다 신중한 의견 수렴 필요 38

대학에서의 성교육이 핵심이다 38

피임 정책을 위한 마지막 제언 : 여성이 주체다 38

응급피임약의 일반의약품 전환을 반대한다. / 김천주 41

무분별한 성관계 예방은 피임 정책이 아닌 교육과 캠페인을 통한 의식 개혁으로 가능 / 이현숙 47

여성주권을 보장하는 피임정책에 대한 요구 / 정승준 53

1. 의약품 재분류에 있어서 피임약의 상황 55

2. 여성주권의 확보와 건강권 55

3. 보건경제학적 측면으로서의 피임 55

4. 다각적 측면에서의 접근을 통한 여성의 피임법 제공 55

5. 여성이 주체가 되는 우리나라에 적합한 여성 피임권 확립 55

피임 진료는 여성 성건강 위한 필수 진료 : 산부인과는 낙태 보다 피임 상담으로 국민을 돕고 싶습니다. / 최안나 57

들어가는 말 59

[1] 전문 의약품과 일반 의약품의 차이 60

[2] 응급피임약 복용율을 어떻게 낮출 것인가? 60

[3] 경구피임약의 복용율을 어떻게 올릴 것인가? 62

[4] 저출산 시대에 피임을 정책 지원해서는 안된다? 64

[5] 전문의약품 전환은 환자의 권리를 침해하는 것인가? 64

[6] 올바른 피임율 증가를 위한 정책 제언 65

[7] 산부인과의 피임 진료를 활성화 하기 위한 정책 제언 66

맺는 말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