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1)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다극화 세계질서 재편과 동아시아 공동체 = East-Asia community in Multi Polar Era : 한반도와 호주의 협력과 역할 = the cooperation & role of Korea-Australia / 국제한민족재단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국제한민족재단 출판국 우리시대, 2011
형태사항
321 p. : 삽화 ; 26 cm
주기사항
2011 시드니 제12회 세계한민족포럼
일시: June 21-22, 2011, 장소: Four Points by Sheraton Sydney Darling Harbour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96255482
제어번호
PAMP1000034666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지]

목차

SESSION 1. 120년 역사의 한반도와 호주 : 과거, 현재, 미래(Korea and Australia in 120-Year Relations : Past, Present and Future) 6

조직위원장 편지(Letter from the Head of WKF & KGF) 7

아태지역의 새로운 전략지도와 한반도를 논하고자 합니다 / 이창주 7

New Strategic Roadmap in Asia Pacific Region and in Korean Peninsula are to be discussed. / Tshang Chu Rhee 8

축하메세지(Congratulatory Message) 10

SPECIAL MESSAGE TO THE 2011 SYDNEY 12th WORLD KOREAN FORUM(이미지참조) / HON KEVIN RUDD 10

한·호수교 50주년 기념의 장이 되소서 / 남경필 12

MESSAGE FROM THE LORD MAYOR OF SYDNEY / Clover Moore 14

한민족의 위상과 이해를 증진시키는 Think Tank 역할을 기대합니다 / 오세훈 15

세계한민족포럼 Sydney 개최의 성과를 기대합니다 / Sam Gerovich 17

'한·호우정의해' 양국간 국제교류를 증대시키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합니다 / 김우상 18

개막연설 (Opening Speech) 19

한-호주 50년을 돌아보며(History of 50 Years of Korea-Australia Relations: Cooperation and Future of Two Countries) / 이배용 19

모두발언 (Headers Debate) 23

한반도 평화정착이 동아시아 공동체의 선행(先行)과제이다 / 이창주 23

공동체 논의의 국가별 이해와 방향 23

한국과 호주의 공동체론과 이상 모델 25

동아시아공동체 형성 요인의 핵심 과제 : 남북공동체 복원과 미들파워 역할 27

남북공동체 복원 선행(先行)이 동아시아 공동체 형성의 블루오션(Blue Ocean)을 제공할 것이다 29

N-S Korea Achieving Unified Community with the Cooperation of Middle Powers to Connect to East Asian Community / Rhee, Tshang Chu 32

Different Interests and Directions in the Discussion of Creating a Community 32

A Community Model by South Korea and Australia 34

Key Challenges for Building East Asian Community: Restoration of North-South Korean Community and the Role of Middle Powers 36

Restoration of the North-South Korean Community to Provide a Blue Ocean for Creating the East Asian Community 39

Session 2. 동아시아 공동체 논의와 지역강국의 리더십(Discussion over East-Asia Community and Leadership of Regional Powers) 44

발표(PRESENT) 46

중국의 동아시아 전략과 리더십(China's East Asia Strategies and Leadership of Regional Powers) / Quansheng Zhao 46

Abstract 46

Concepts of the Leadership Structure 49

China's Leadership Role in Economic, Trade and Financial Dimensions 51

U.S. Leadership Role-Military Security Dimension and Political Influence 56

The Implications of Dual-Leadership 62

Future Directions 64

Notes 66

일본의 동아시아 공동체론(Japanese Approach for East-asia Community) / Fukagawa Yukiko(내용없음) 44

러시아의 아태지역 다자협력 구상(Russia's policy towards Pacific Rim) / Stanislav Tkachenko 70

Abstract 70

Introduction 70

Regionalization of Asia 74

Relations between the two Koreas 75

China 76

South Asia 77

Japan 79

Conclusion: Scenarios 79

Scenario One: Multipolarity 80

Scenario Two: Leadership of China 81

Scenario Three: U.S. Leadership 83

Scenario Four: Chaos 84

호주의 아시아 커뮤니티 성장과 국가관계 발전(Growth of Asia Community in Australia and Development of National Relation) / Robert Kok 85

토론(PANEL) 44

토론(제목없음) / David Goodman(내용없음) 44

토론(제목없음) / 박준영(내용없음) 44

토론(제목없음) / 박정현(내용없음) 44

Moving Out From The Shadows / Matthew Jones 96

Introduction: A Relationship Built On A Strong Legacy 96

Overshadowed or In The Shadows? 97

The Focal Point Is A Forgotten War 98

Strengthened Diplomatic Ties and Strong Trade 100

Cultural Awarenesss 102

A Deep Friendship? 104

Education 107

Regionalisation of East Asia 108

Clash of Culture 109

Cultural Literacy 109

Moving Out From The Shadow; Stepping Into The Light 110

Bibliography 111

토론(제목없음) / 손제민(내용없음) 44

Session 3. 동아시아 공동체 이론과 실제(Theory and Practice of East-Asia Community) 112

발표(PRESENT) 114

동아시아와 한반도의 안전보장 신화 - 평화주의의 시각에서(Security in East Asia and Korean Peninsula - In Pacificistic Point of View) / 서승 114

1. 일본 : 잃어버린 20년, '탈아론' 의 보복, 후쿠시마 원자로 사고 114

1) '오모테(表) 니홍(일본)' 과 '우라(裏) 니홍' 115

2) 태평양에서 동아시아로 116

3) 동아시아의 주변과 중심의 역전 116

2. 서구세계의 팽장-문명과 야만의 이원적인 세계관의 형성 117

3. 화이질서와 조공체제 118

4. 동아시아란 무엇인가? 118

5. 문명론의 돛 119

6. 동맹체제와 한반도의 안전보장 121

〈참고문헌〉 123

어떤 동아시아공동체 모형 - 모리시마 미치오의 경우(Model of the East-Asia Community) / 임반석 124

1. 들어가면서 124

2. 모리시마 동아시아공동체 모형의 기본 틀 125

1) 사상적 기반 125

2) 공동체의 범위와 실현가능성 125

3) 공동체의 성격과 진화 경로 126

4) 공동체의 정치경제 체제 126

5) 의사결정 구조와 수도 입지 126

6) 경제운영 방식과 주요 경제조치 127

7) 대외관계 구도와 군대 운영 127

8) 공동체와 세계의 미래 전망 128

9) 공동체 구축의 한계 128

3. 모리시마 모형의 문제 130

1) 유물론적 관점의 문제 130

2) 중화사상에 대한 이해 문제 131

3) 공동체의 범위 획정 문제 132

4) 역사유산에 대한 이해 문제 132

5) 공동체 구축의 유인기제 문제 133

6) 투표권 배분과 대외관계 구도 문제 133

7) 갈등요인 해소와 평화정착에 대한 인식의 문제 134

4. 마무리-'지속가능 공동체' 를 위하여 135

〈참고문헌〉 137

동북아평화협력체제의 구축을 위한 한반도경제공동체의 건설방안(Plan for Development of Economic Community in Korean Peninsula for Establishment of Peace Community in East-Asia) / 윤황 138

[국문요약] 138

I. 서론 139

II. 동북아평화협력체제 구축과 한반도경제공동체 건설의 연계문제 142

1. 동북아평화협력체제의 구축문제 142

2. 한반도경제공동체의 건설문제 153

III. 한반도경제공동체의 건설방안 157

1. 구상모델 157

2. 전략방향 160

IV. 결론 161

〈참고문헌〉 163

동아시아 문화공동체와 젠더 리더십(The East-Asia cultural Community and Gender Leadership) / 정숙경 166

I. 왜 동아시아 문화 공동체의 젠더이슈인가 166

II. 아시아의 여성현황과 주요젠더이슈 167

1. 국가페미니즘 그리고 성 주류화 168

2. 아시아(아사아)의 양성평등, 여성정책 170

III. 동아시아 문화 공동체와 젠더 리더쉽 173

1. 동아시아 공동체와 여성 그리고 젠더 173

2. 동아시아 문화 공동체와 젠더 리더쉽 174

IV. 마치며 175

참고문헌 176

Session 4. 2012 한반도 전망(Prospects for 2012 Korea) 178

발제(KEYNOTE ADDRESS) 178

대립적 남북관계와 외세의 한반도 국제정치(Confronting North-South Relation and International Politics of Foreign Powers to Korea) / 정두언(내용없음) 178

발표(PRESENT) 180

전환기의 한반도 정세와 전망 : 북한의 과거 현재 미래(The north Koreans: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 Glyn Ford 180

Origins of the conflict 180

The nuclear issue 183

Current Economic situation 184

Current political situation 188

North Korea-a nuclear threat? 191

Other issues 195

External Actors 197

북·중 관계의 비판적 고찰(CRITICAL VIEW ON NORTH KOREA-CHINA RELATIONS) / Jingdong Yuan 200

INTRODUCTION 200

CHINA'S CHANGING NORTH KOREA POLICY 202

BEIJING'S ROLE IN DEALING WITH THE NUCLEAR ISSUE 217

CONCLUSION 222

한반도 문제의 핵심 : 요인과 과제(Core of the Korea's Issues : Causes and Tasks) / 정상모 225

I. 정세 동향 225

1. 세계정세 225

2. 한반도의 신냉전 기류 228

II. 한반도 문제의 핵심 232

1. 한반도의 지정학 232

2. 적대적 공생체제 235

III. 과제 239

1. 6자회담의 지정학과 전망 239

2. 과제 242

한반도 정세와 북핵문제 전망(Current Situation of Korean Peninsula and Prospect of North-Korea Nuclear Issue) / 김용현 246

I. 2차 북핵위기 이후 6자회담의 전개와 정체 246

II. 북핵문제의 새 쟁점 : 우라늄농축프로그램(UEP), 원심분리기 250

III. 6자회담 재개를 위한 모색 : 3단계 프로세스 251

IV. 6자회담 재개 전망 253

Session 5. WORLD 코리안(WORLD KOREAN) 256

발제(KEYNOTE ADDRESS) 258

재외동포 지원사업의 정책추진 방향(Issues, Prospect and Task of Korean Community Movement in Global Society) / 조배숙 258

1) 재외동포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역할 대두 258

2) 한민족네트워크 구축의 중요성 259

3)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바람직한 동포지원 사업의 방향 260

① 우선 재외동포 정책의 통합적 관리체계 수립을 위한 교민청 설립이 시급하다 261

② 정치적 지위향상을 위한 법제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261

③ 국민의 기본권인 의료와 교육을 위한 입체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262

④ 한상대회 활성화나 직업교육강화를 통한 경제네트워크 구축지원도 필요하다 264

⑤ 민간차원에서 개별국가의 NGO 단체와의 연대를 높여야 한다 264

4) 거당적 지원과 초당적 협력으로 한민족네트워크 구축에 앞장설 터.. 265

발표(PRESENT) 266

호주와 뉴질랜드 한인사회 성장과 이주물결(Growth and Immigrant Wave of Korean Society to Australia and New Zealand) / 양명득 266

I. 들어가는 말 266

II. 뉴질랜드 한인 역사와 연구 소개 267

III. 호주 한인 역사 270

1) 초기 한인 방문자들(1920-1950) 270

2) 초기 한인 이민자들(1950-1970) 271

3) 한인 이민사회의 시작(1960-1980) 272

4) 월남전쟁과 사면령(1970년대) 273

5) 호주 한인 이민사회의 성장(1980년대) 275

6) 투자 이민과 기술 이민(1980-1990년 대) 276

7) 한국 유학생과 교민사회(1990년대부터 현재) 277

8) 젊은 한인 이민사회(2000년대 이후) 279

IV. 호주 한인 연구 및 네트워크 280

V. 호주 한인사회 연구 소개 283

VI. 나가는 말 286

〈참고문헌〉 288

동서남북 간의 이데올로기적 분열과 한민족 통일을 위한 정치철학의 역할(Ideological Divide and Korean's Political and Philosophical Role for Unification) / 홍광엽 290

동양주의, 구성주의, 유목주의 290

한반도 문제의 복잡성과 종교, 과학, 국가이성의 편협성 293

동아시아 공동체 구상에 미치는 실천적 함의 296

민주주의와 민족통일 - 결어 297

북한의 후계구도와 '김정은 체제' 전망(Leadership Succession in North Korea and View of "Kim, Jong Eun's System" / 진희관 300

1. 연구의 목적 300

2. 70-80년대 김정일 후계승계 과정 300

1) 60년대 현지지도 동행: '선군혁명령도' (60.8)의 가능성 301

2) 74년 당내 후계자 옹립과 80년 제6차 당대회 303

3) '후계자론' 과 80년대 이후 후계자의 역할: 주체사상 정립 305

3. 김정은으로의 후계승계 과정 307

1) 준비과정: 담론적 암시 307

2) 김정은으로의 승계 암시와 상징물 309

4. 당대표자회의 결정의 내용과 특징 310

5. 권력 승계과정에 대한 전망과 과제 313

1) 선군정치와 선군사상의 체계화 과제 313

2) 당과 군 장악의 가능성과 방법 314

3) 대중성 확보의 과제 316

4) 대외관계 및 남북관계의 과제 317

Session 6. 종합토론(OVERALL DISCUSSION)(내용없음) 320

판권기 321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