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목차
예멘 내전의 분석과 남북한 통일교훈 / 조상현 5
I. 서론 6
II. 남북 예멘의 분단과 내전 8
1. 남북 국가건설 과정 8
2. 제1·2차 남북 전쟁 12
III. 예멘 통합과 통합 이후 갈등 14
1. 예멘 통합과정 14
2. 통합 이후 남북 간 갈등과 최근 정세 16
IV. 남북한 통일에 주는 교훈과 시사점 19
1. 군사통합의 제 문제 19
2. 경제통합 간 교훈 22
3. 사회·문화 통합에서의 시사점 24
V. 결론 26
국문초록 27
Abstract 28
참고문헌 29
리비아 내전의 교훈과 북한 -아랍의 봄과 리비아 내전을 중심으로- / 최재훈 33
I. 들어가며 34
II. 중동·북아프리카 국가들의 시위 현황 35
III. 시위의 배경 38
IV. 주요국가의 정치 혁명 39
V. 리비아 사태의 국제사회의 개입과 북한상황의 적용가능성 42
1. 리비아 사태의 국제사회 개입 43
2. 국민보호의 의무(Responsibility to protect)와 내정간섭의 논리 44
3. 안보리 결의 1973호 45
4. 리비아 내전 개입과 NTC에 대한 지원 47
5. 리비아 내전 당시 각 기구의 의견조합 및 행위자 분석 49
VI. 한반도 정세에서 리비아 내전이 갖는 함의 50
【Abstract】 52
【국문초록】 52
북한체제 불안정으로 인한 내폭시 주변국 반응 -러시아의 경우와 그 정치적 함의- / 이지수 53
I. 들어가는 말 54
II. 북한의 정치권력 성격 hard but fragile 56
1. 정치권력은 어떻게 유지되는가? 통제 vs 지지 56
2. 북한의 정치권력: 통제 위주에서 통제 중독으로 58
III. 북한 정치리더십의 붕괴, 권력의 붕괴, 체제의 붕괴 62
IV. 러시아의 경우 64
1. 러시아 state building now 64
2. 두 얼굴, 적극 외교와 소극 외교 65
3. 러시아의 입장변화: 소극에서 적극, 친북에서 친한 67
V. 우리 정부의 정책적 함의 74
VI. 결론 75
〈참고문헌〉 77
〈국문 요약〉 78
〈Abstracts〉 78
애치슨 라인과 6.25전쟁 -남침유도설에 대한 비판적 해석- / 이완범 79
I. 들어가는 말 : 내전설과 국제전설의 대립 80
II. 6.25전쟁은 내전이 아닌 복합전이다. 81
1. 6.25전쟁 내전설의 주요 내용 81
2. 내인(내쟁적 요인; 내전)을 6.25전쟁의 주요 원인이 아닌 전쟁의 배경으로 밖에 볼 수 없는 이유 84
III. 6.25전쟁은 미국이 유발했나?:남침유도설에 대한 비판적 인식-'애치슨 라인'을 중심으로 87
1. 북한의 남침을 유도한 미국의 '음모' 는 과연 있었을까? 87
2. 애치슨이 선을 그은 의도 89
3. 남과 북의 반응 97
4. 소련의 대미 정보수집과 그 대응 98
5. 의도하지 않은 결과 111
6. 전쟁 직전 미국의 한국 방위 확인: 덜레스의 1950년 6월 19일 공언 112
7. 커밍스의 모자이크와 옹진 115
8. 미국의 국방예산 증가와 군비경쟁의 가속화: 다른 사례와의 비교, 복합적 해석의 필요성 119
IV. 맺음말 124
토론자료 131
예멘 내전의 분석과 남북한 통일 교훈 / 김한지 132
리비아 내전의 교훈과 북한 / 정상률 135
1. 리비아 정치변동 과정 135
2. 가다피 정치체제와 정치질서 변화 요인 136
1) 부족적·지역적 요인 137
2) 정치경제체제적·계층적(리더십 세습) 요인 137
3. 리비아 내전의 외적 요인 138
【토론】 139
【질문】 141
북한체제 불안정으로 인한 내폭시 주변국 반응 / 김연수(내용없음) 131
애치슨 라인과 6.25전쟁 / 정명복 143
1. 국제적 요인 144
2. 국내적 요인 145
판권기 148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