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심포지엄 개요 3
1. 개요 3
2. 프로그램 3
Session 1 4
문화도시 문화마을 사업개요 및 추진일정 5
1. 문화융성과 관련한 지역문화 활성화 6
2. 지역문화 정책의 동향 7
3. 문화도시 문화마을 사업 개요 9
4. 문화도시 문화마을 추진 경과 및 계획 9
문화도시 문화마을 선정 및 지원 방안 연구 / 조광호 10
Ⅰ. 문화도시 문화마을 조성사업 연구개요 11
Ⅱ. 문화도시 문화마을에 대한 정책적 개념정립 13
Ⅲ. 문화도시 문화마을 조성을 위한 정책사업 15
Ⅳ. 문화도시 사업 추진방안 23
Ⅴ. 문화마을 사업 추진방안 30
Session 2 36
문화도시 문화마을에 있어서의 공간구축을 위한 제언 / 황순우 38
1. 지역과 장소성을 살리자 38
2. 지역자산과 유휴공간에 주목하자 40
3. 복원이 아닌 재창조 41
4. 공유의 공간 - 시스템(플랫폼)을 구축하자 41
5. 지속가능한 통합시스템을 구축하자 44
문화도시 문화마을에 있어서의 프로그램 기획을 위한 제언 / 손경년 48
1. 도시 48
2. 사회적 합의 49
3, 좋은 도시 49
4. 공동체 50
5. 마을 51
6. 마을문화 51
7. 주민참여 52
8. 동네민주주의 53
9. '자치형 주민'이 만들어 내는 마을문화가 문화마을을 만든다 54
10. 문화마을, 그리고 문화도시 56
문화도시 문화마을의 장소가치 창출과 도시브랜딩 : 〈행복창조 문화도시〉브랜딩을 위하여 / 이무용 59
첫번째 이야기 : 화두-왜, 장소가치인가? 창조적문화도시ㆍ마을 브랜딩을 위하여 59
두번째 이야기 : 관점-장소가치 창출,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64
세번째 이야기 : 프로젝트-행복창조 문화도시 브랜딩 프로젝트 69
마을에서 기획하기 / 이승택 81
1. 마을과 관계 맺기 81
2. 마을 프로그램 찾고 진행하기 82
3. 지원 이후 84
4. 마무리 85
도시와 마을에서 청년의 문화일자리 만들기 / 전고필 87
1. 들어가는 말 87
2. 청년허브의 청년 정책 88
3. 시공간을 바꿔봄으로서 만나는 새로운 세계, 도농교류 89
4. 청년을 위한 학교 90
5. 청년의 생산기지 90
6. 청년의 정책 생산 91
7. 또 다른 일 경험 92
8. 응답하라 2013년 92
9. 문화도시와 문화마을의 청년일자리 93
마을에서의 사업 다양성과 연계가능성 그리고 차별화 / 오형은 95
문화마을 사업 목적 95
문화마을 사업의 연계활동 96
지역내 기존사업 시설과 연계 96
차별성을 만들어가는 공동체 97
[붙임 1] 문화도시 문화마을 포럼 총괄일정 103
[붙임 2] 포럼 컨셉기획(안) -발제 및 토론 104
[붙임 3] 포럼구성(포럼위원 및 운영진) 105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