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광복 70년 대한민국,틀을 바꾸자 [전자자료] : 대한민국 미래 대토론회 / 미래전략자문위원회, 한반도선진화재단, 좋은정책포럼 주최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반도선진화재단, 2015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출처
외부기관 원문
면수
383
제어번호
PAMP1000046496
주기사항
주관: 국회사무처, 국회입법조사처
일시: 2015년 10월 6일(화) 9시~18시, 장소: 국회 헌정기념관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개회식 7

개회사 / 박재완 8

개회사 / 김형기 10

축사 / 정의화 12

축사 / 김무성 13

축사 / 이종걸 15

기조강연 1. 국가개조 : 왜 해야 하고 어떻게 해야 하는가? / 박세일 17

1. 왜 국가개조인가? 19

첫째: 대한민국은 과연 통일할 수 있는가? 19

둘째: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는 성공할 수 있을까? 21

셋째: 대한민국의 시장자본주의는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가? 24

넷째: 대한민국은 국가공동체성을 유지할 수 있는가? 26

2. 어떻게 국가개조를 할 것인가? 30

첫째: 국가개조의 새로운 〈개혁주체〉 〈정치주체〉 〈역사주체〉를 만들어야 한다 30

(1) 우리나라 정치권이 〈개혁적 보수〉와 〈합리적 진보〉의 두 축으로 우뚝 서야 한다 31

(2) 개혁보수와 합리진보가 〈큰 전략적 대 타협〉(Great Big Deal)을 해야 한다 32

(3) 전국적인 〈정책세력〉, 〈국가전략세력〉이 〈Great Big Deal〉을 적극 지지 지원해야 한다 35

둘째: 국가개조의 새로운 〈행정주체〉 〈정부주체〉 〈공공부문주체〉가 나와야 한다 36

(1) 부총리제의 〈홍익인간원〉과 〈국가기획원〉의 설립이다 38

(2) 〈인사원〉과 〈교육원〉의 半독립화와 전문화 그리고 〈감사원〉의 공공부문개혁의 추진 상황 monitoring 기구화이다 38

3/7. 千載一遇의 기회를 노치지 말아야 한다: 선진통일과 국가개조의 併進 39

기조강연 2. 해방 70년, 한국의 미래를 묻는다 / 임현진 42

1. 한국은 고민이 많다 44

2. 세계는 급변하고 있다 48

3. 바꿔야 한다 50

기조강연 3. 87년 체제를 넘자! : 발전국가에서 공진국가로 / 박형준 56

1. 대한민국의 4중 위기 57

2. 발전국가에서 공진국가로! 60

3. 기득권 혁파, 가장 큰 난제 62

4. 구조 전환의 열쇠, 정치 혁신 65

주제 1. 성장의 패러다임을 바꾸자 68

발표 1. 정부역할의 새로운 패러다임 / 김진영;박진 69

새로운 패러다임의 필요성 71

경제 영역에서 정부의 역할 71

시장과 정부의 협력 72

정부실패의 가능성 72

정부가 해야 할 일 74

(1) 우리는 경제주체의 자율과 분권을 존중하고 있는가? 75

(2) 시장의 효율과 경쟁을 촉진하고 있는가? 75

(3) 우리는 신뢰사회를 구축하고 있는가? 80

(4) 불평등 개선 위한 노력을 하고 있는가? 81

(5) 창의적 개인을 만들고 있는가? 83

정부의 역할을 조정해야 한다 83

정부와 국민이 같이 변해야… 84

발표 2. 스마트 성장을 위한 인적자본 및 혁신 전략 / 이주호 86

[PT자료] 87

요약 105

1. 서론 106

2. 디지털 혁명 시대의 경주들 107

2.1. 인간과 기계의 경주 107

2.2. 교육과 기술의 경주 108

2.3. 한국과 다른 국가들의 경주 109

3. 스마트 성장을 위한 선진국들의 국가전략 111

3.1. EU의 Horizon 2020 112

3.2. 미국의 낙관론과 비관론 112

3.3. 한국의 스마트 성장 114

4. 스마트 성장을 위한 인적자본 전략 115

4.1. 교육개혁 115

4.2. 인적자본 제도 및 노동 개혁 123

5. 스마트 성장을 위한 혁신 전략 127

5.1. 과학기술의 혁신 127

5.2. 창업공동체의 구축 및 정부 개혁 132

6. 결론 137

참고문헌 139

발표 3. 신성장 패러다임의 모색: 소득주도성장과 산업생태계 혁신 / 홍장표 147

Ⅰ. 문제제기 149

Ⅱ/Ⅰ. 저성장과 양극화 속의 한국 경제 150

성장 둔화와 분배 악화 150

한국경제 성장전략의 특징과 한계 152

Ⅲ. 신성장 패러다임의 모색 154

배경: 국민경제에서 가계소득과 소비의 중요성 154

케인스주의적 수요주도 성장모델 154

수요체제(demand regime) 155

생산성체제(productivity regime) 156

Ⅳ. 소득주도성장전략의 유효성 156

한국에서 소득분배 개선이 성장률을 높이는가? 156

함의: 한국경제의 저성장 159

Ⅴ. 신성장동력으로서의 중소기업과 산업생태계 혁신 160

배경 160

수출 대기업의 낙수효과? 162

대기업 낙수효과 약화요인 163

신성장동력으로서의 중소기업 164

중소기업 성장의 제약요인 166

Ⅵ. 소득주도성장의 쟁점과 정책과제 168

발표 4. 한국, 주주자본주의 아닌 이해관계자 자본주의로 가야 / 이근 172

과거 추격형 동아시아 유형에서 97년 이후 추격정체의 동아-영미 혼합형자본주의로 174

지니계수와 양극화지수: 저성장 (금융화)이 분배 악화 주범 174

외국인지분과 투자율: 역관계 175

외국인 지분 높을수록 저투자: 고대 조명현교수 175

GDP 대비 민간자산(wealth)의 크기(Pickety2014): 산업자본국(독일)은 금융자본국(영국) 보다 100% 낮아 176

상위 1% 소득의 비중: 영미식 자본주의일수록 높고, 한국도 97년 이후 주주자본주의 이후 급상승 176

배당/의결권은 주식 보유기간에 비례하게 해야: 월가식 자본주의 단점 극복해야 177

차등의결권 제도를 도입한 미 IT기업 대주주의 의결권 177

Economist잡지 최신호 178

자본주의에서 성장과 분배 소득주도 성장 178

분배는 성장에 도움을 주는가? 179

분배의 성장에의 효과 = U자 혹 역U자? 179

경제학적 분석: 분배와 성장의 연립방정식 추정 180

한국의 노동소득분배율: 일본/대만 보다 높아 181

요약: 한국자본주의의 과거와 현재 182

소득주도 성장론: 배당보다 환율절상 용인으로 182

환율과 수출/성장 및 이자율 183

주요 국가들의 조세부담률 183

세금을 통한 소득재분배 효과 184

한국자본주의 미래 184

의문: 영미식 선진 자본주의, 좋지않은가? 185

[보론] 성장과 분배에 대한 대기업의 영향 186

종합토론 193

토론문 1 / 이종훈 193

토론문 2 / 최재천 194

토론문 3 / 강성진 195

Comment 1. Pro-poor Growth 정책이 새로운 방향이 되어야! 197

Comment 2/Comment 1. 소득주도 성장론은 정부의 무책임성을! 198

1. The NCE Reports 199

2.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199

3. Korea and Low Carbon Economy 203

토론문 4. 한국경제, 새로운 혁신역량을 기업, 산업, 지역 차원에서 창출해야 한다. / 이재희 205

주제 2. 사회정책의 패러다임을 바꾸자 212

발표 1. 복지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 포용적 성장 / 김원식 213

Ⅰ. 서론 215

현황: 소득분배의 수단들 215

왜 '복지 New paradigm'인가? : 'New normal' 216

한국 복지수요의 변화 217

우리나라 복지정책의 오류 217

(통렬한) 반성 218

한국 복지정책의 진화 218

Ⅱ. 복지 현황 219

한국 복지제도의 특성 219

복지지출의 성과 221

한국은 고령화사회? (no), 고령사회(yes) 222

고령화 223

Ⅲ/Ⅳ. 복지정책에서 성장정책으로 223

복지정책에서 성장정책으로 224

복지네트웤 모델 224

지속 가능한 복지사회를 위한 역할 정립 227

Ⅳ/Ⅴ. 복지정책에서 포용정책으로 228

우리사회의 배제 현상(Exclusion) 228

자본주의 5.0 229

한국 복지정책의 한계 229

자본주의 5.0: 나눔테크놀로지의 개념 230

포용적 복지 시스템 230

Ⅴ. 결론: 복지, 성장, 그리고 포용 231

복지정책 기본 목표 231

21세기형 복지정책을 위한 패러다임 변화 232

복지 3.0(=자본주의 5.0), 무엇을 해야 하나? 232

발표 2. 한국 복지국가의 과제와 전망 / 김호기 234

한국사회의 선 자리와 갈 길 236

한국 복지국가의 특징 243

복지국가 담론의 비교 247

한국 복지국가의 방향과 과제 250

발표 3. 노동시장 구조개선의 방향 / 이인재 255

Ⅰ. 노동시장 현황 257

Ⅱ. 노동시장 문제점 및 현안 259

Ⅲ. 노동시장 구조개선 해외 사례 262

Ⅳ. 노동시장 구조개선의 방향 263

발표 4. 한국 노동시장의 문제와 정책 방향 / 전병유 265

한국 노동시장의 문제 266

고용률 추이 267

청년 고용률 저하의 원인 268

고용의 질 268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이중화 270

비정규직화 270

비정규직의 함정 271

비정규직화는 영세사업체의 문제인가? 271

비정규직 해고 272

규모: 사업체와 기업체 273

규모의 문제 273

노동시장 이중화와 노동개혁 275

노동시장의 이중화: Dualization 276

이중화(Dualization)와 유연안전성(Flexicurity) 276

유연안전성(Flexicurity) 개념에 기초한 노동개혁 평가 277

고용보호와 혁신성장 278

고용보호와 청년고용률 278

고용보호와 비정규직(기간제) 비율 279

고용보호와 노동시장의 이중화 280

이중화(Dualization)와 노동개혁 280

참고문헌 283

종합토론 284

토론문 1 / 나성린 284

토론문 2. 획기적인 고용률 증대를 중심으로, 고용-성장률-복지를 함께 늘리는, '한국형 복지국가'를 / 민병두 285

1. 발제문에 대한 간략한 요약 286

2. [논점 1] 전통 복지국가의 시대적 '전제조건'의 유효성 287

3. [논점 2] 고령화 담론의 허구성 혹은 제대로 살펴보기 288

4. [논점 3] 고용률 증대, 잠재성장률 증가, 고령화, 복지확대의 선순환 효과 288

5. [논점 4] 고용률 증대의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노동시간 단축 289

6. [논점 5] 노동시장 개혁과 재벌개혁은 '선후'가 아닌 '동전의 양면'이다 290

토론문 3 / 최병호 292

공통의 문제 인식 293

다른 해법 294

복지는 이미 거대한 시장을 만들어 놓았다 294

노동개혁-복지 연계 295

복지제도의 유연성, "Flexicurity" 296

미래와 현재 복지 간 균형을 도모 296

사회보장제도를 일원화 297

낡은 '복지의 집'을 전면 재건축 297

토론문 4. 한국노동시장의 문제점과 구조개선, 정책방향에 대한 토론문 / 김준 298

1. 유연안정성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 노동시장 현황 299

2. 질문 및 토론 310

주제 3. 통일한국으로 가는 길 313

발표 1. 한반도 통일: 무엇을 어떻게 / 조영기 314

우리에게 통일이란? 316

통일의 이중구조 316

한반도통일의 가치 316

'가치지향통일'의 의미 317

한반도 통일을 위한 전략 317

통일시나리오 317

'급변 → 통일'을 위한 과제 318

한반도 통일을 위한 과제 319

통일거부담론의 불식 319

북한주민의 '마음 얻기' 319

발표 2. 한반도 정세 변화와 대북정책의 진화 / 김근식 321

1. 탈냉전 이후 우여곡절의 남북관계 322

2. 남북관계의 구조적 딜레마: '힘'으로 정의되는 남북관계 323

3. 국제 환경의 변화 324

4. 북한: '두 개의 조선'(Two Korea) 전략 324

5. 한국: 厭北 嫌北 의식 확산과 남남갈등의 심화 326

6. 남북관계의 새로운 접근: '포괄적 평화'의 필요성 326

7. 포괄적 평화의 현실적 접근: "중년 부부론" 329

8. '투 코리아' 전략과 '중년 부부론' 331

9. 중년 부부론 위한 정책 제언 332

10. 현안 타개 방안 335

종합토론 336

토론문 1 / 정문헌 336

토론문 2. 한반도 정세 변화와 대북정책의 진화 / 남궁영 337

Ⅰ. 대북정책을 바라보는 시야를 넓혀야 한다 338

Ⅱ. 북한에 대한 인식: '두 개의 조선' 전략? 338

Ⅲ. 북한의 경제상황 악화 339

Ⅳ. 남북관계의 새로운 접근: '포괄적 평화'의 필요성 340

Ⅴ/Ⅳ. '평화적 흡수통일' 찬성, 그러나 통일은... 340

토론문 3 / 김용현 342

주제 4. 대한민국 정치, 어떻게 바꿀 것인가 345

발표 1. 한국민주주의 변화와 개혁과제 / 이현출 346

Ⅰ. 서론 347

Ⅱ. 한국민주주의 발전과정 348

1. 민주주의 1.0의 단계: 방어적 半민주주의 348

2. 민주주의 2.0의 문제: 민본(民本)없는 민주주의 349

Ⅲ. 한국민주주의 발전목표: 포용과 통합의 민주주의 351

Ⅳ. 개혁과제 353

1. 권력구조와 행정부-의회 관계 353

2. 정당과 선거제도 개혁 356

Ⅴ. 결론 361

참고문헌 363

발표 2. 새로운 정치질서와 혁신의 방향 / 안병진;유승찬 364

현재 정치질서의 특징: 한국판 68년 체제의 한계 365

다가오는 불확실성과 무질서: 제 2의 조선 망국론 368

새로이 부상하는 가치 369

불확실한 미래 372

종합토론 374

토론문 1 / 천정배 374

토론문 2 / 강원택 375

토론문 3 / 이내영 378

1. 한국의 정치 패러다임의 근본적 변화의 필요성 379

2. 현재의 한국 정치에 대한 평가 379

3. 정치개혁의 목표와 방향 380

4. 정치개혁의 구체적 과제 381

발표 1. 정부역할의 새로운 패러다임 / 김진영;박진 73

〈표 1〉 잠재성장률과 요인별 기여도 73

발표 3. 신성장 패러다임의 모색: 소득주도성장과 산업생태계 혁신 / 홍장표 150

〈표 1〉 주요 거시경제지표 추이 150

〈표 2〉 최종수요 항목별 구성비 추이 150

〈표 3〉 주요국 자본몫 1% 포인트 증가가 총수요에 미치는 효과 155

〈표 4〉 한국과 수요체제 분석결과 158

〈표 5〉 한국의 생산성체제 분석결과 159

〈표 6〉 소득분배 개선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 159

〈표 7〉 수요체제와 소득분배정책, 실제 성장전략 159

〈표 8〉 수출의 취업 및 부가가치 생산 유발효과 160

〈표 9〉 제조업 수출 대기업 현황: 2011년 161

〈표 10〉 제조업 수출 대기업의 협력기업수 161

〈표 11〉 제조업 대기업의 최종수요 1단위당 생산유발효과 162

〈표 12〉 제조업 수출 대기업의 산출액 10억 원 당 고용유발효과 162

〈표 13〉 제조업 수출 대기업의 국내외 자회사 투자액(장부가액 기준) 163

〈표 14〉 제조업 수출 대기업의 국내외 계열사 조달비중 163

〈표 15〉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실효법인세율 165

발표 2. 한반도 정세 변화와 대북정책의 진화 / 김근식 326

〈표 1〉 남북한 관계 인식 표 326

발표 2. 스마트 성장을 위한 인적자본 및 혁신 전략 / 이주호 143

[그림 1] G7국가의 1인당 실질성장률 추이: 1971-2009(2000년 USA PPP) 143

[그림 2] G20 국가의 1인당 실질성장률 추이: 1971-2013(2011년 USA PPP) 143

[그림 3] 영미의 1인당 실질성장률, 1300-2100(실제 및 가상경로) 144

[그림 4] 하위 99% 국민들의 가처분 실질소득 증가율: 2%에서 0.2%까지의 차감 144

[그림 5] GDP 대비 교육투자 규모 145

[그림 6] 연도별 고교 졸업생의 진학 비중 145

[그림 7] 고졸보다 낮은 임금의 4년제 대졸자(34세 이하) 비중 변화 146

[그림 8] 국가별 세계 500대 대학의 수(2004-2014) 146

발표 3. 신성장 패러다임의 모색: 소득주도성장과 산업생태계 혁신 / 홍장표 151

〈그림 1〉 노동소득분배율 추이 151

〈그림 2〉 노동생산성과 실질임금 151

〈그림 3〉 임금근로자와 자영업자 1인당소득 151

〈그림 4〉 가계소득과 기업소득 비중 추이 152

〈그림 5〉 민간소비증가율과 경제성장률(2001-2013) 152

〈그림 6〉 국민총소득 대비 가계소득 비중 153

〈그림 7〉 수출, 투자, 가계소비의 파급효과 비교 154

〈그림 8〉 노동소득분배율과 가계소비 156

〈그림 9〉 이윤몫(=노동소득분배율)과 투자(=총고정자본형성) 157

〈그림 10〉 실질단위노동비용과 수출 157

〈그림 11〉 실질임금 증가와 노동생산성 증가 158

〈그림 12〉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생산 및 고용유발계수 164

〈그림 13〉 제조업 대기업(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중견기업, 중소기업의 생산성 164

〈그림 14〉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부가가치율, 노동소득분배율, 조세공과납부율 165

〈그림 15〉 기업규모별 월평균 임금 166

〈그림 16〉 대기업과 협력기업의 거래단계별 연평균 임금(2011년) 166

〈그림 17〉노동시장의 이중성: 청년구직란과 중소기업 인력난 167

〈그림 18〉 대기업과 협력기업의 매출액 영업이익률(2011년) 167

〈그림 19〉 중소기업 유형별 기술개발투자액/매출액 168

발표 1. 복지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 포용적 성장 / 김원식 221

〈그림 1〉 소득분위별 이전소득 비율 추이 221

발표 4. 한국 노동시장의 문제와 정책 방향 / 전병유 267

[그림 1] 성별 고용률 추이 267

[그림 2] 연령대별 고용률 추이 267

토론문 4. 한국노동시장의 문제점과 구조개선, 정책방향에 대한 토론문 / 김준 300

[그림 1] OECD주요국의 정규직 개별적ㆍ집단적 고용보호의 엄격성과 임시직 고용보호의 엄격성(2013년, 버전 3 기준) 300

[그림 2] OECD 주요국의 노동조합 조직률과 단체협약 적용률(2010년) 301

[그림 3] OECD 주요국의 노동이동률 평균(2006~2014년) 302

[그림 4] OECD 회원국의 임시근로자 비중(2014년) 302

[그림 5] 노동시장 정책을 위한 공공지출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2012년) 303

[그림 6] OECD 회원국의 실업급여 지급기간의 상한(2012년) 304

[그림 7] OECD 국가 실업급여의 순소득대체율(2012년) 304

[그림 8] OECD 주요국의 근로자 평균근속년수(2014년) 305

[그림 9] OECD 회원국의 5년 이상 근속자 비중(2014년) 305

[그림 10] OECD 회원국의 10년 이상 근속자 비중(2012년) 306

[그림 11] OECD 회원국의 1년 미만 근속자 비중(2014년) 306

[그림 12] OECD 회원국의 1개월 미만 실업자 비중(2014년) 307

[그림 13] OECD 회원국의 1년 이상 실업자 비중(2014년) 307

[그림 14] OECD 주요국의 비자발적 시간제 근로자 비중(2014년) 308

[그림 15] OECD 주요국의 비자발적 임시직 근로자 비중(2014년) 308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