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황룡사지 발굴조사 4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전자자료] / 국립문화재연구소 인기도
발행사항
경주 :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16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형태사항
1 온라인 자료 : PDF
출처
외부기관 원문
면수
207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29908850
제어번호
PAMP1000053049
주기사항
본문은 한국어, 일본어가 혼합수록됨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기조강연] 경주 고적발굴조사단 설립과 황룡사지 발굴조사 / 김동현 5

[주제발표 1] 皇龍寺 創建과 新羅 中古期 皇龍寺의 位相 / 주보돈 7

Ⅰ. 머리말 8

Ⅱ. 皇龍寺 창건 관련 기사의 음미 9

Ⅲ. 신궁 건설의 배경 11

Ⅳ. 신궁에서 황룡사로의 전환 배경과 목적 16

1. 진흥왕의 즉위와 신궁 16

2. 황룡사로의 전환 배경과 목적 20

Ⅴ. 맺음말 23

[주제발표 2] 신라 중고기 불교정책과 황룡사의 불교사적 의의 / 남동신 24

Ⅰ. 머리말 25

Ⅱ. 皇龍寺의 창건 25

Ⅲ. 丈六尊像 조성 26

Ⅳ. 百高座會의 개최 27

1. 진평왕대의 백고좌회 28

2. 善德王 대의 백고좌회 28

3. 백고좌회의 성격: '護國'과 '護法' 29

Ⅴ. 9층목탑의 건립 29

Ⅵ. 중고기 교단 정비와 황룡사 31

Ⅶ. 맺음말 32

참고문헌 33

[주제발표 3] 황룡사 건립과 신라 왕경의 조성 / 이은석 35

Ⅰ. 머리말 36

Ⅱ. 황룡사의 조성과 도시계획 36

1. 황룡사ㆍ분황사지역 도로 연결체계 36

2. 황룡사 조성과 도시구획 43

3. 황룡사와 용궁 46

4. 왕경의 주작대로 48

Ⅲ. 왕경민의 생활 49

1. 생활가옥과 금입택 49

2. 신라빙고의 축조 51

Ⅳ. 맺음말 55

참고문헌 56

[주제발표 4] 신라 사찰의 가람구조와 황룡사 가람배치 : 黃龍寺 僧地空間의 構造를 중심으로 / 최태선 59

Ⅰ. 머리말 60

Ⅱ. 經典儀範과 황룡사 佛地空間의 이해 62

1. 가람관련 경전의범과 황룡사 62

Ⅲ. 經典儀範과 黃龍寺 僧地空間의 해석 67

1. 僧地의 공간구성 67

2. 승지의 경전의범 69

Ⅳ. 맺음말 79

[주제발표 5] 신라와 백제 사찰 건축 비교 연구 : 유구를 중심으로 / 김봉건 80

Ⅰ. 머리말 81

Ⅱ. 금당지 81

1. 기단 81

2. 초석 및 평면 87

Ⅲ. 목탑지 92

1. 기단 92

2. 초석 및 평면 96

Ⅳ. 강당 100

Ⅴ. 승방 102

Ⅵ. 중문 및 회랑 103

Ⅶ. 기타건물지 105

Ⅷ. 맺음말 106

참고문헌 107

[국외발표 1] 唐 長安과 新羅 佛寺의 구조와 배치에 대한 비교 연구 / 田有前 109

[중국어원문] 110

Ⅰ. 唐代 장안 불사의 평면 배치 122

1. 발굴된 당대 장안의 사원 현황 123

2. 당대 대흥선사 복원 연구 126

Ⅱ. 신라 불사의 평면 배치 127

1. 초기 신라의 불교사원 128

2. 통일신라 불사 129

Ⅲ. 불사 구조와 배치 비교 연구 130

1. 공통점 130

2. 차이점 133

[국외발표 2] 중국 고대 사원 목탑과 황룡사 구층목탑 비교 연구 / 전국상 136

[중국어원문] 137

Ⅰ. 북위 낙양 영녕사 및 탑지 유적 152

Ⅱ. 동위 북제 업남성 조팽성 사원 및 탑지 유적 157

Ⅲ. 신라 경주 황룡사 및 탑지 유적 160

Ⅳ. 관련 논의 163

1. 3개 사원의 비교연구 164

2. 3개 사원 목탑 비교연구 165

3. 이 시기 불탑과 관련한 논의 168

[국외발표 3] 일본 고대 사원 조영과 신라와의 교류관계 / 하코자키 가즈히사 170

[일본어원문] 171

Ⅰ. 머리말 178

Ⅱ. 7세기 전후 일본의 국제관계 179

Ⅲ. 한국과 일본의 고대 사원 당탑 180

Ⅳ. 쌍탑 가람과 야쿠시지 182

Ⅴ. 야마다데라 유구로 보는 백제ㆍ신라의 영향 182

Ⅵ. 맺음말 183

[종합토론 1] 「皇龍寺 創建과 新羅 中古期의 皇龍寺 位相」에 관한 토론 / 윤선태 186

1. 들어가며 186

2. 『三國遺事』의 '皇龍寺丈六條'가 가장 신뢰할만한 원전인가 186

3. '紫宮'이라는 후대의 주관적 윤색에서 벗어나자 187

[종합토론 2] 「신라 중고기 불교정책과 황룡사의 불교사적 의의」에 관한 토론 / 김복순 189

[종합토론 3] 「황룡사 건립과 신라 왕경의 조성」에 관한 토론 / 김재홍 191

[종합토론 4] 「신라 사찰의 가람구조와 황룡사 가람배치」에 관한 토론 / 신창수 193

[종합토론 5] 「신라와 백제 사찰 건축의 비교 연구」에 관한 토론 / 이우종 194

[종합토론 6] 「唐代长安与新罗佛寺结构布局的比较研究 」에 관한 토론 / 정대영 196

[중국어원문] 197

[종합토론 7] 「中国古代寺院的木塔和黄龙寺九层木塔的比较」에 관한 토론 / 정대영 198

[중국어원문] 200

[종합토론 8] 「일본 고대 사원 조영에서 신라와의 교류 관계」에 관한 토론 / 이병호 201

[일본어원문] 204

판권기 206

[주제발표 4] 신라 사찰의 가람구조와 황룡사 가람배치 : 黃龍寺 僧地空間의 構造를 중심으로 / 최태선 62

〈표 1〉 황룡사 문헌적 연혁(김숙경:2014의 표 재인용) 62

〈표 2〉 『다라니집경』과 가람공간의 구성 2 (최태선 2016 : 편집, 작성) 64

〈표 3〉 승원구역의 건물배치 현황과 추정시설 69

〈표 4〉 가람에서 불지와 승지의 구성(최태선 2016: 편집, 작성) 70

〈표 5〉 『한글대장경』에서 창고의 용례 72

〈표 6〉 『한글대장경』에서 식당의 용례 72

〈표 7〉 『한글대장경』에서 부엌의 용례 73

〈표 8〉 『한글대장경』에서 욕실의 용례 75

〈표 9〉/〈표 11〉 『한글대장경』에서 화장실(변소) 용례 77

〈표 10〉/〈표 12〉 『한글대장경』에서 선당, 선방의 용례 79

[주제발표 5] 신라와 백제 사찰 건축 비교 연구 : 유구를 중심으로 / 김봉건 83

〈표 1〉 금당지 기단 비교표 83

〈표 2〉 금당지 초석 비교표 88

〈표 3〉 고대 금당지 평면 비교표 89

〈표 4〉 목탑지 기단 비교표 94

〈표 5〉 목탑지 평면도 비교표 97

〈표 6〉 강당 비교표 100

〈표 7〉 승방 비교표 102

〈표 8〉 중문 비교표 104

〈표 9〉 회랑 비교표 104

[주제발표 3] 황룡사 건립과 신라 왕경의 조성 / 이은석 37

〈도 1〉 왕경유적 북동-남서도로 37

〈도 2〉 분황사 남편 서북-동서도로 38

〈도 3〉 신라 왕경 최성기 도성(坊) 구획도(이은석, 2004) 38

〈도 4〉 황룡사지전시관부지 내 유적 발굴평면도 39

〈도 5〉 동천동일대 고분분포도(1930년대) 39

〈도 6〉 동천동 343-3 유적 39

〈도 7〉 동천동 343-4 유적 내 고분분포도 39

〈도 8〉 1918년도 분황사 북편 하천교량 위치도(○) 40

〈도 9〉 동천동 삼성아파트부지 발굴지역 41

〈도 10〉 長安의 宮城ㆍ皇城(妹尾達彦, 2001, p. 123 43

〈도 11〉 황룡사지 건물배치도(국립문화재연구소, 2007에서 인용) 44

〈도 12〉 동진ㆍ남조의 건강 궁성 복원도(傳熹年 主編 2003, 배병선 2014 재인용) 44

〈도 13〉 북위 낙양 궁성 복원도(傳熹年 主編 2003, 배병선 2014 재인용) 44

〈도 14〉 동위ㆍ북제 업남성 궁성 복원도(傳熹年 主編 2003, 배병선 2014 재인용) 45

〈도 15〉 왕궁리유적 배치구조도(배병선 2014) 45

〈도 16〉 경주 도성 1차 계획도(황룡사 중심부를 보면 서쪽으로 치우친 구조임) 45

〈도 17〉/〈도면 17〉 황룡사지 북편 우물(◎) 위치도 48

〈도 18〉 宇宙의 都(妹尾達彦, 2001, p. 139) 49

〈도 19〉 월성해자 북서편 굴립주건물지 50

〈도 20〉 부여 이형 굴립주건물지(임종태 2015) 50

〈도 21〉 천관사지 목탑하부 굴립주건물지 50

[주제발표 4] 신라 사찰의 가람구조와 황룡사 가람배치 : 黃龍寺 僧地空間의 構造를 중심으로 / 최태선 63

〈도 1〉 황룡사지 공간구분(도면: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제공) 63

〈도 2〉 황룡사지 강당과 북편 건물지의 배치관계 66

〈도 3〉 황룡사지 승지구역 유구배치도 68

[주제발표 5] 신라와 백제 사찰 건축 비교 연구 : 유구를 중심으로 / 김봉건 82

〈그림 1〉 기단구축유형(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10b) 82

〈그림 2〉 금강사지 기단 서측면 84

〈그림 3〉 금강사지 기단복원도 84

〈그림 4〉 왕흥사지 금당지 남측기단 84

〈그림 5〉 감은사지 금당지 석조가구식기단 84

〈그림 6〉 군수리사지 금당지남측와적기단 84

〈그림 7〉 군수리사지 금당지 와적기단 84

〈그맄 8〉 황룡사지 서금당지 동측 하부부전 85

〈그림 9〉 황룡사지 서금당지 기단 복원도 85

〈그림 10〉 미륵사지 중금당지 기단복원도 86

〈그림 11〉 감은사지 금당지기단 86

〈그림 12〉 미륵사지 동원 금당지 평면도 86

〈그림 13〉 초석 복원도 86

〈그림 14〉 감은사지 금당지 평면도 87

〈그림 15〉 감은사지 금당지 석조단면도 87

〈그림 16〉 분황사지금당지적심기초 88

〈그림 17〉 능산리사지 금당지 토적심 88

〈그림 18〉 군수리사지 금당지 초석 89

〈그림 19〉 황룡사지 중금당지 초석 89

〈그림 20〉 미륵사지 중금당지 장초석 89

〈그림 21〉 고선사지 금당지 초석 89

〈그림 22〉 사천왕사지 금당지 내외진 초석 90

〈그림 23〉 사천왕사지 금당지 차양칸 초석 90

〈그림 24〉 평면 유형 90

〈그림 25〉 금당지 평면도 91

〈그림 26〉 제석사지 목탑지 판축 93

〈그림 27〉 미륵사지 중원 목탑지 판축 93

〈그림 28〉 황룡사지 목탑지 판축 93

〈그림 29〉 사천왕사지 금당지 판축 93

〈그림 30〉 왕흥사지 목탑지 기단 석렬 95

〈그림 31〉 군수리사지 목탑지 전적 기단 95

〈그림 32〉 사천왕사지 목탑지 전석병용기단 95

〈그림 33〉 사천왕사지 목탑지 기단 95

〈그림 34〉 미륵사지 목탑 계단 복원도 96

〈그림 35〉 황룡사지 목탑지 계단 복원도 96

〈그림 36〉 군수리사지 목탑지 평면도 97

〈그림 37〉 왕흥사지 목탑지 평면도 97

〈그림 38〉 미륵사지 목탑지 평면도 98

〈그림 39〉 황룡사지 목탑지 평면도 98

〈그림 40〉 목탑 심초석 위치 변화도 98

〈그림 41〉 군수리사지 목탑지 사도 및 시연도 99

〈그림 42〉 황룡사지 목탑지 심초석 99

〈그림 43〉 왕흥사지 목탑지 심초석 99

〈그림 44〉 황룡사지 강당지 평면도 101

〈그림 45〉 능산리사지 강당지 평면도 101

〈그림 46〉 미륵사지 강당지 평면도 101

〈그림 47〉 미륵사지 승방지 평면도 103

〈그림 48〉 황룡사지 창건 승방지 평면도 103

〈그림 49〉 능산리사지 공방지 1 105

〈그림 50〉 능산리사지 공방지 2 105

〈그림 51〉 감은사지 공방지 106

〈그림 52〉 감은사지 공방 주종소 106

[국외발표 1] 唐 長安과 新羅 佛寺의 구조와 배치에 대한 비교 연구 / 田有前 123

〈그림 1〉 당 장안성 복원도와 청룡사, 서명사 위치도, 『靑龍寺與西明寺』 p. 4 그림2 123

〈그림 2〉 청룡사 유적 유구 배치도, 『靑龍寺與西明寺』 p.11 도6 124

〈그림 3〉 서명사지 유구배치도 『靑龍寺與西明寺』, p. 123 도66 125

〈그림 4〉 장안 대흥선사 복원 평면도 『中國建築史論匯刊』第十輯 p.101 도29 126

〈그림 5-1〉 황룡사 중건 계획도, 『皇龍寺遺迹發掘調査報告書Ⅰ』, p.373 도2 128

〈그림 5-2〉 황룡사 최종 배치도, 『皇龍寺遺迹發掘調査報告書Ⅰ』, p.375 도4 128

〈그림 6〉 분황사, 『感恩寺發掘調査報告書』, p. 235 도125 129

〈그림 7〉 사천왕사, 『皇龍寺遺迹發掘調査報告書Ⅰ』 p.376.图5 130

〈그림 8〉 감은사 평면 배치도, 『感恩寺发掘调查报告书』 p.39 도6 130

〈그림 9〉 불국사, 『感恩寺发掘调查报告书』 p.235 도126 130

〈그림 10〉 탑을 중심으로한 사찰의 평면모식도, 『中國古代建築史』 第二卷 p.168 도2-7-2 132

〈그림 11〉 강당과 탑의 병립 평면모식도 『中國古代建築史』 第二卷 p. 168 도2-7-3 132

〈그림 12〉 영녕사지 평면도 『北魏洛阳永宁寺』 p. 7 도4 133

[국외발표 2] 중국 고대 사원 목탑과 황룡사 구층목탑 비교 연구 / 전국상 153

〈그림 1〉 영녕사 목탑지(남북 방향) 153

〈그림 2〉 영녕사 평면도 154

〈그림 3〉 영녕사 탑지 유적 평면도, 단면도 155

〈그림 4〉 영녕사 탑지 주망과 목탑 복원도 156

〈그림 5〉 조팽성 사원 탑지 유적(남서-동북) 158

〈그림 6〉 조팽성 사원 유적 평면도 158

〈그림 7〉 조팽성불사 탑기단 평면 복원도 159

〈그림 8〉 조팽성 탑지 해부도 및 심초석, 사리 위치도 159

〈그림 9〉 황룡사 사원 9층목탑 복원도 160

〈그림 10〉 황룡사 사원변화 평면 복원도 161

〈그림 11〉 황룡사 탑지 발굴 전 상태 162

〈그림 12〉 황룡사 탑지 평면도와 9층목탑 복원도 162

〈그림 13〉 황룡사 탑심 찰주초석과 사리장치 실측도 163

〈그림 14〉 황룡사 출토 치미 163

〈그림 15〉 영녕사 목탑 찰주초석과 사리함 위치 복원도 167

〈사진 1〉 왕경유적 북동-남서도로(동쪽에서) 37

〈사진 2〉 동천동 343-4 구획 석축렬 39

〈사진 3〉 동천동 343-4 구획석축렬 내 석실분 40

〈사진 4〉 삼성아파트 출토 석재(대릉원이전 1993) 41

〈사진 5〉 '芬王' 명 토기 42

〈사진 6〉 '官甁' 명토기 42

〈사진 7〉 1992년 정비 이전 황룡사지 우물 노출 상태(최민희 2011) 46

〈사진 8〉 황룡사 우물(1992년 이후)과 분황사(남-북) 48

〈사진 9〉 국립경주박물관 남측확장부지 이형 굴립주건물지(고려문화재연구원 2014) 50

〈사진 10〉 백제지역 빙고유구 51

〈사진 11〉 사비기 구드래 빙고 51

〈사진 12〉 부산 낙민동 11호 빙고 52

〈사진 13〉 부산 낙민동 12호 빙고 52

〈사진 14〉 경주경마장 A지구 빙고 53

〈사진 15〉 황룡사지 전시관부 지빙고(6각형건물지) 53

〈사진 16〉 분황사 서편 빙고(석조유구) 53

〈사진 17〉 경주박물관 남측부지 빙고 54

〈사진 18〉 재매정지 빙고 54

〈사진 19〉 조선시대 석빙고(백제고도재단 작성) 54

〈사진 20〉 안산읍성 석빙고 54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