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지]

사단법인 한국보훈학회 임원명단

[행사일정]

인사말 / 김중로

축사 / 민병두

축사 / 이학영

축사 / 윤소하

목차

주제 1. 통합의 시대 국가보훈의 발전방향 / 선종률 14

I. 서론 14

II. 국가보훈의 의의 15

1. 국가보훈의 정의 15

2. 국가보훈의 목적 16

3. 국가보훈 체제 16

III. 국가보훈의 주요 문제점 17

1. 보상의 형평성 문제 17

2. 보훈정책의 일관성 문제 19

3. 애국교육의 부재 25

4. 국가보훈 업무 추진력 미약 27

IV. 국가보훈정책의 지향점 28

1. 국민통합 28

2. 정신적 가치 중시 29

3. 보훈복지 달성 31

4. 미래지향적 호국보훈 시행 31

V. 결론 32

주제 2. 현 보훈정책의 문제점과 발전방안 / 이강수 34

요약문 34

제1장 서론 35

제1절 연구의 배경 35

제2장 역대정부의 보훈정책 분석 37

제1절 보훈정책에 대한 이해 37

제2절 보훈정책의 발전 39

제3절 역대정부의 보훈정책 특징 40

제3장 보훈정책의 주요쟁점 43

제4장 보훈정책의 발전방안 46

제5장 결론 49

참고문헌 50

토론 / 김의식 53

1. 발제자의 의견에 전반적으로 동의합니다. 53

2. 현행 국가보훈정책에 대한 저의 견해는 다음과 같습니다. 53

3. 소결론 55

주제 3. 민·관 협치와 호국보훈 / 라미경 56

I. 서론 56

II. 민관협치의 이론적 논의 57

1. 민관협치란 57

2. 보훈선양정책과 민관협치에서 시민참여 59

III. 호국보훈정책을 둘러싼 환경의 문제점 62

1. 이념이나 진영논리로의 접근 62

2. 체계적인 시스템 취약 66

3. 국가적 지원부족 67

4. 보훈단체의 활동 부실 68

IV. 민관협치에서의 호국보훈의식 제고 방안 71

1. 민관협치의 전제조건 71

2. 민관협치의 시스템 정비 72

3. 민관협치 기반 확충을 위한 공무원 역량 강화 73

4. 민관협치 기반 확충을 위한 민간단체 역량 강화 74

V. 결론 75

참고문헌 76

토론 / 서승현 78

주제 4. '보훈복지국가 한국의 "나라사랑"과 "나라지킴" 운동 : 민·관·학 협력 중심으로' / 黃美京 79

I. 서론 79

II. 보훈복지제도의 현황과 정책 과제 80

1. 보훈대상자와 보훈복지제도 80

2. 보훈복지서비스전달체계 및 군인복지서비스전달체계의 연계 82

3. 통일지향 보훈복지거버넌스 구현 85

III. 국민통합을 위한 "나라사랑"과 "나라지킴" 운동 87

1. "나라사랑" 운동: 보훈정신과 국가정체성 교육 87

2. "나라지킴" 운동 : 선제보훈과 통일교육 89

IV. 논의 및 제언 93

참고문헌 94

〈부록 1〉 국가 상징으로서 무궁화 지원에 관한 자치법규 현황 97

〈부록 2〉 지방자치단체의 통일교육지원 조례제정 현황 97

토론 / 김윤태 98

토론 / 최용호 99

1. 총평 99

2. 나라사랑 운동 : 보훈정신과 국가정체성교육 99

3. 나라지킴 운동 : 선제보훈과 통일교육 100

주제 5. "호국보훈을 위한 민·관·학·연 거버넌스 구축방안: 나라사랑교육확산을 중심으로" / 안성호 101

I. 서론 101

II. 비군사적 대비를 위한 거버넌스구축배경 102

III. 호국보훈을 위한 민·관·학·연 거버넌스의 사례 106

1. 나라사랑교육확산 106

2. 청소년 나라사랑실천 행사사례 109

3. 나라사랑 특성화대학 사업사례 112

IV. 나라사랑교육확산의 과제 119

1. 호국보훈선양실천에 대한 강조 119

2. UN 참전국과의 글로벌 안보, 통일 및 보훈외교강조 123

IV. 결론 126

참고문헌 128

토론 / 김태열 131

토론 / 김기훈 133

주제 6. 소프트 파워와 국력의 심화와 확장: 보훈의 의미와 역할을 중심으로 / 유호근 135

요약 135

I. 서론 136

II. 국력 속성의 전환: 소프트 파워의 중요성 137

III. 소프트 파워로서 보훈의 의미: 국력의 내재적 심화 140

1. 역사적 공감대 형성 141

2. 사회갈등 완화 141

3. 사회통합의 효과 142

4. 국가정책의 일관성 확보 142

5. 보훈선양을 통해 다문화 사회의 통합 증진에 기여 143

6. 국가 안전보장의 내적 바탕 형성 143

IV. 소프트 파워와 국력의 외연: 외연적 확장으로서 보훈외교 156

V. 결론: 함의와 과제 145

참고문헌 148

토론 / 강우철 151

총평 및 발제의미 151

추가 의견/질의 152

토론 / 홍영식 154

판권기 155

[뒷표지]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