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제3회) K-CESA 활용 대학생 핵심역량 학술대회 논문집 [전자자료]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주최]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한국직업능력개발원(KRIVET), 2017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형태사항
1 온라인 자료 : PDF
출처
외부기관 원문
면수
227
제어번호
PAMP1000053585
주기사항
일시: 2017.2.28(화) 13:00~18:00, 연세재단 세브란스빌딩 대회의실(B1)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1부. K-CESA와 유관 역량 간 관계와 영향 5

대학생의 핵심역량이 학교생활 및 학업생활에 미치는 영향 / 하병학;김경이;박영신;송성욱;안현아 6

국문초록 7

Ⅰ. 서론 8

Ⅱ. 이론적 배경 9

1.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 : K-CESA 9

2. 대학생의 학교생활요인 10

3. 대학생의 학업생활요인 12

Ⅲ. 연구 방법 13

1. 연구대상 13

2. 연구절차 14

3. 분석방법 14

4. 측정도구 15

Ⅳ. 연구 결과 17

1. 상관분석 결과 17

2.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17

Ⅴ. 결론 및 제언 20

참고문헌 22

Abstract 26

K-CESA를 활용한 대학생의 사고성향과 사고기능 간의 관계와 개인 특성에 따른 차이 분석 / 박수미;박지회 27

요약 28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9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분석 30

1. 비판적 사고 역량의 구성 개념 30

2. 비판적 사고성향과 사고기능 간 관계 및 영향요인 연구 32

Ⅲ. 연구방법 34

1. 연구모형 34

2. 연구대상 및 연구설계 35

3. 비판적 사고성향과 사고기능의 검사 도구 36

4. 분석도구 및 분석절차 38

Ⅳ. 연구 결과 38

1. 검사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38

2. 비판적 사고성향과 사고기능 간의 관계 및 개인특성의 영향 39

3. 연구의 제한점 44

Ⅴ. 결론 및 제언 45

참고문헌 48

대학생 핵심역량과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장벽과의 관계 : 교육계열 대학생을 중심으로 / 하정윤;김정민;강지연;차지철 51

Ⅰ. 서론 53

Ⅱ. 이론적 배경 54

1. 대학생 핵심역량과 K-CESA 54

2. 진로 변인 55

3. 대학생 핵심역량과 진로 변인과의 관계 58

Ⅲ. 연구방법 58

1. 연구대상 58

2. 조사도구 59

3. 연구절차 및 분석방법 61

Ⅳ. 연구결과 62

1. 대학유형에 따른 대학생 핵심역량 수준 분석 62

2. 대학유형에 따른 진로 관련 변인 분석 65

3. 대학생 핵심역량 수준에 따른 진로변인 수준 차이분석 66

Ⅴ. 논의 및 결론 69

참고문헌 71

Abstract 74

2부. K-CESA를 활용한 대학생의 핵심역량 분석과 수업모형 효과 검증 75

서울대 학부생의 학업 역량 분석 및 학업 향상 프로그램 개발 / 이희원;박소현 76

Ⅰ. 연구 목적 77

1. 현대 사회에서의 역량의 정의와 중요성 77

2. 역량 기반 사회에서 대학교육의 역할 77

3. 핵심역량에 영향을 주는 변인 78

4. 연구 내용 및 연구 문제 78

Ⅱ. 선행연구 고찰 79

1. 핵심역량의 의미 79

2. 대학생 핵심역량 영향 요인 79

Ⅲ. 연구 방법 80

1. 연구 대상 80

2. 연구 도구 82

3. 연구 절차 83

4. 연구 분석 방법 83

Ⅳ. 연구 결과 84

1. 서울대학교 학부생의 영역별 핵심역량 수준 84

2. 입학 전형에 따른 영역별 핵심역량 수준 86

3. 학점구간에 따른 영역별 핵심역량 수준 88

4. 학년(등록학기)에 따른 영역별 핵심역량 수준 92

5. 전공계열에 따른 영역별 역량 수준 94

6. 핵심역량 영역별 관련 요인 분석 96

Ⅴ. 요약 및 제언 103

Ⅵ. 참고문헌 105

Ⅶ. 초록 106

국문 초록 106

Abstract 107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을 통한 대학생 핵심역량 향상 검증 : 자기관리, 대인관계, 자원정보기술 활용, 글로벌 역량 진단을 중심으로 / 박연정;이주영;좌현숙 108

요약 109

Ⅰ. 서론 110

Ⅱ. 이론적 배경 111

1. 대학 교육과 플립드 러닝 111

2. 플립드 러닝 성과분석 연구 동향 112

Ⅲ. 연구방법 114

1. 연구의 배경 및 문제 114

2. 연구 설계 및 대상 114

3. 연구 도구 116

4.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121

Ⅳ. 연구결과 121

1. 플립드 러닝 경험유무에 따른 핵심역량의 차이 분석 결과 121

2/3. 교수자별 사례 분석 결과 125

Ⅴ. 결론 및 제언 130

참고문헌 132

K-CESA를 활용한 핵심역량분석 및 비교과 프로그램 제안: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김은지;이재경 134

Ⅰ. 서론 136

Ⅱ. 이론적 배경 137

1. 자기관리역량의 개념 137

2. 종합적 사고력과 PBL과의 관련성 138

Ⅲ. 연구방법 140

1. 연구대상 140

2. 조사도구 142

3. 연구절차 143

Ⅳ. 연구결과 145

1. 핵심역량 분석결과 145

2. 학년별 핵심역량 점수 비교분석 결과 147

3. 계열별 핵심역량 점수 비교분석 결과 148

4. 성별 핵심역량 점수 비교분석 결과 150

Ⅴ. 프로그램 제안 및 제한점 151

참고문헌 154

[부록] 156

3부. K-CESA를 활용한 교육과정, 교육프로그램 제안 161

K-CESA를 활용한 예비 국어 교사의 종합적 사고력 분석에 따른 사범대학 국어과 교육과정에서의 시사점 탐색 / 김진희 162

국문초록 163

1. 들어가며 164

2. 이론적 배경 165

2.1. 핵심역량 165

2.2. 중등 국어교육에서의 교과 핵심 역량 - 국어 교과 역량의 비판적ㆍ창의적 사고력 166

2.3. 고등교육에서의 핵심 역량 - K-CESA의 종합적 사고력 168

3. 연구 방법 172

3.1. 연구 대상 172

3.2. 연구 도구 및 연구 방법 172

3.3. 연구 결과 173

4. 나가며 177

참고문헌 179

대학생 핵심역량 기반 독서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전보라 181

초록 182

Ⅰ. 서론 182

Ⅱ. 연구방법 184

1. 연구대상 184

2. 조사도구 184

3. 연구절차 185

4. 자료수집 및 분석 186

Ⅲ. 연구결과 188

1. 프로그램 개발 결과 188

2. 프로그램 실시 결과 190

Ⅳ. 논의 및 결론 196

참고문헌 198

Abstract 199

대학생의 대인관계역량과 글로벌역량 함양을 위한 핵심역량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 김은주;성명희 200

초록 201

Ⅰ. 서론 202

Ⅱ. 대학생 핵심역량 기반 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 204

1. 핵심역량 기반 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 절차 204

2. 핵심역량 기반 인성교육프로그램 내용의 구성요소 205

3. 핵심역량 기반 인성교육프로그램 수행목표 206

4. 핵심역량기반 인성교육프로그램 개요 208

Ⅲ. 연구방법 210

1. 연구대상자의 특성 및 동질성 검증 210

2. 측정도구 211

3. 자료분석 212

Ⅳ. 결과분석 212

1. 기술통계 212

2. 핵심역량 기반 인성교육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대인관계 역량에 미치는 효과 214

3. 핵심역량 기반 인성교육프로그램이 대학생의 글로벌 역량에 미치는 효과 217

Ⅴ. 논의 및 결론 220

참고문헌 222

Abstract 225

1부 : 대학생의 핵심역량이 학교생활 및 학업생활에 미치는 영향 / 하병학;김경이;박영신;송성욱;안현아 10

〈표 1〉 K-CESA 진단영역 및 구성 요인 10

〈표 2〉 각 변인별 평균 및 표준편차 14

〈표 3〉 대학생 학교생활요인 측정 도구 구성 요인 15

〈표 4〉 대학생 학업생활요인 측정 도구 구성 요인 16

〈표 5〉 K-CESA와 대학생 학교생활요인 및 학업생활요인의 상관관계 17

〈표 6〉 대학생 핵심역량으로 전공몰입을 예측하는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18

〈표 7〉 대학생 핵심역량으로 학교태도를 예측하는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18

〈표 8〉 대학생 핵심역량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예측하는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18

〈표 9〉대학생 핵심역량으로 학습전략을 예측하는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19

〈표 10〉대학생 핵심역량으로 학습동기를 예측하는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19

〈표 11〉대학생 핵심역량으로 학점을 예측하는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19

1부 : K-CESA를 활용한 대학생의 사고성향과 사고기능 간의 관계와 개인 특성에 따른 차이 분석 / 박수미 31

〈표 1〉 비판적 사고성향의 특성 31

〈표 2〉 연구 대상의 특성 35

〈표 3〉 본 연구에 사용된 검사도구의 관련성 37

〈표 4〉 측정모형 부합도 검증 39

〈표 5〉 측정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39

〈표 6〉 위계적 모델의 비교검증 결과 40

〈표 7〉 성별에 따른 차이 검증 결과 42

〈표 8〉 전공계열에 따른 차이 검증 결과 42

〈표 9〉 학년에 따른 차이 검증 결과 43

〈표 10〉 학점에 따른 차이 검증 결과 44

1부 : 대학생 핵심역량과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장벽과의 관계 : 교육계열 대학생을 중심으로 / 하정윤;김정민;강지연;차지철 59

〈표 Ⅲ-1〉 진단도구별 설문응답자 기술통계 59

〈표 Ⅲ-2〉 K-CESA 구성 역량 영역 59

〈표 Ⅲ-3〉 진로 변인 검사도구의 영역별 구성내용 및 신뢰도 60

〈표 Ⅳ-1〉 K-CESA 핵심역량영역별 기술통계량(T점수) 62

〈표 Ⅳ-2〉 학교별 대학생 핵심역량영역 T점수 비교(일원변량분석) 63

〈표 Ⅳ-3〉 진로 관련 변인별 기술통계량 65

〈표 Ⅳ-4〉 학교별 진로변인 및 하위요인 평균차이분석 결과 66

〈표 Ⅳ-5〉 연구대상 학생들에 대한 특성변인 기술통계량 66

〈표 Ⅳ-6〉 K-CESA 핵심역량 수준별 진로변인 수준 차이분석결과 67

〈표 Ⅳ-7〉 학교별 K-CESA 핵심역량 수준별 진로변인 수준 차이분석결과 68

2부 : 서울대 학부생의 학업 역량 분석 및 학업 향상 프로그램 개발 / 이희원;박소현 81

〈표-1〉 핵심 역량 진단 참여자 정보 81

〈표-2〉 핵심 역량 진단 참여자 대상 심층 면담 참여자 정보 82

〈표-3〉 K-CESA 진단도구의 구성 요인 및 문항 정보 82

〈표-4〉 핵심역량 영역별 점수 비교표 84

〈표-5〉 입학전형에 따른 영역별 역량점수 비교 86

〈표-6〉 학점 구간에 따른 영역별 역량점수 비교 88

〈표-7〉 학점과 영역별 역량수준과의 상관관계(N=52) 90

〈표-8〉 학년(등록학기)에 따른 영역별 역량점수 비교표 92

〈표-9〉 전공계열에 따른 영역별 역량점수 비교 94

〈표-10〉 역량 훈련 교육 지원 프로그램을 위한 교육 요소 101

2부 :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을 통한 대학생 핵심역량 향상 검증 : 자기관리, 대인관계, 자원정보기술 활용, 글로벌 역량 진단을 중심으로 / 박연정;이주영;좌현숙 113

〈표 1〉 플립드 러닝 효과성 검증 관련 선행 연구 113

〈표 2〉 연구 설계 및 대상 115

〈표 3〉 연구대상자 일반적 특성(113명) 115

〈표 4〉 H-CESA 측정도구 116

〈표 5〉 교수자 A에 의한 플립드 러닝 설계 및 운영방법 117

〈표 6〉 교수자 B에 의한 플립드 러닝 설계 및 운영방법 119

〈표 7〉 교수자 C에 의한 플립드 러닝 설계 및 운영방법 120

〈표 8〉 K-CESA 측정도구 120

〈표 9〉 H-CESA 사전검사 결과 121

〈표 10〉 H-CESA 사전검사에 대한 독립표본 t검증 결과 122

〈표 11〉 K-CESA 진단 결과 123

〈표 12〉 K-CESA에 대한 독립표본 t검증 결과 124

〈표 13〉 사례 A에서 K-CESA에 대한 독립표본 t검증 결과 126

〈표 14〉 K-CESA에 대한 독립표본 t검증 결과 127

〈표 15〉 K-CESA에 대한 독립표본 t검증 결과 129

2부 : K-CESA를 활용한 핵심역량분석 및 비교과 프로그램 제안: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김은지;이재경 137

〈표 1〉 자기관리역량의 하위영역 137

〈표 2〉 종합적 사고력의 하위 영역 및 평가요소 138

〈표 3〉 PBL의 학습성과 139

〈표 4〉 연구대상의 성별, 학년, 계열 분포 141

〈표 5〉 연구대상의 계열별 성별, 학년 분포 141

〈표 6〉 대학생핵심역량진단도구(K-CESA) 구성 142

〈표 7〉 연구절차 143

〈표 8〉 세부연구절차 144

〈표 9〉 K-CESA 핵심역량 수준 145

〈표 10〉 K-CESA 핵심역량 수준판별 146

〈표 11〉 학년별 핵심역량 수준비교 147

〈표 12〉 계열별 핵심역량 수준비교 149

〈표 13〉 성별 핵심역량 수준비교 150

〈표 14〉 자기관리역량 향상 프로그램 152

3부 : K-CESA를 활용한 예비 국어 교사의 종합적 사고력 분석에 따른 사범대학 국어과 교육과정에서의 시사점 탐색 / 김진희 165

〈표 1〉 OECD DeSeCo(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e) 프로젝트의 핵심역량(OECD, 2005) 165

〈표 2〉 K-CESA의 영역별 진단 내용(교육부ㆍ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5) 169

〈표 3〉 종합적 사고력의 하위 영역 및 평가 요소 170

〈표 4〉 연구 대상자의 현황 172

〈표 5〉 K-CESA의 구성 172

〈표 6〉 K대학 예비 국어 교사의 종합적 사고력 기술통계 결과 173

〈표 7〉 K대학 예비 국어 교사의 종합적 사고력의 4가지 수준 174

〈표 8〉 K대학 예비 국어 교사와 전국 4년제 대학생 인문사회계열 대학생의 종합적 사고력 점수 비교 174

〈표 9〉 K대학 예비 국어 교사와 수도권/비수도권 대학생의 종합적 사고력 점수 비교 175

〈표 10〉 K대학 예비 국어 교사의 학년별 종합적 사고력 점수 비교 176

〈표 11〉 K대학 예비 국어 교사의 성별에 따른 종합적 사고력 점수 비교 176

3부 : 대학생 핵심역량 기반 독서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전보라 184

〈표 1〉 변인의 특성 및 문항 구성 184

〈표 2〉 연구절차 186

〈표 3〉 독서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유형(황금숙 외, 2016) 187

〈표 4〉 독서성찰일지 내용 188

〈표 5〉 프로그램의 회기별 목표 및 활동내용 188

〈표 6〉 의사소통역량의 사전-사후 차이검증 결과 191

〈표 7〉 종합적사고력의 사전-사후 차이검증 결과 193

〈표 8〉 본질적 주제와 드러난 주제 194

3부 : 대학생의 대인관계역량과 글로벌역량 함양을 위한 핵심역량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 김은주;성명희 206

〈표 1〉 핵심역량 기반 인성교육프로그램 내용의 구성요소 206

〈표 2〉 핵심역량 기반 인성교육프로그램의 수행목표 208

〈표 3〉 핵심역량 기반 인성교육프로그램 개요 209

〈표 4〉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 및 동질성 검증(N=142) 210

〈표 5〉 대학생 K-CESA핵심역량 문항구성 212

〈표 6〉 대인관계 역량에 관한 사전ㆍ사후점수의 기술통계(N=142) 213

〈표 7〉 글로벌 역량에 관한 사전ㆍ사후점수의 기술통계(N=142) 213

〈표 8〉 사후점수의 집단 간 독립표본 t검증(N=142) 214

〈표 9〉 집단 간 교정된 사후점수의 기술통계(N=142) 214

〈표 10〉 교정된 사후점수의 집단 간 차이 공분산 분석(N=142) 215

〈표 11〉 교정된 사후점수의 집단 간 차이 공분산 분석(N=142) 215

〈표 12〉 교정된 사후점수의 집단 간 차이 공분산 분석(N=142) 216

〈표 13〉 교정된 사후점수의 집단 간 차이 공분산 분석(N=142) 216

〈표 14〉 교정된 사후점수의 집단 간 차이 공분산 분석(N=142) 217

〈표 15〉 사후점수의 집단 간 독립표본 t검증(N=142) 217

〈표 16〉 집단 간 교정된 사후점수의 기술통계(N=142) 218

〈표 17〉 교정된 사후점수의 집단 간 차이 공분산 분석(N=142) 218

〈표 18〉 교정된 사후점수의 집단 간 차이 공분산 분석(N=142) 219

〈표 19〉 교정된 사후점수의 집단 간 차이 공분산 분석(N=142) 219

1부 : K-CESA를 활용한 대학생의 사고성향과 사고기능 간의 관계와 개인 특성에 따른 차이 분석 / 박수미;박지회 35

[그림 1] 연구모형 35

[그림 2] Structural covariances 모형의 요인분석 결과 유의미한 상관계수(4학년) 41

1부 : 대학생 핵심역량과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장벽과의 관계 : 교육계열 대학생을 중심으로 / 하정윤;김정민;강지연;차지철 61

[그림 Ⅲ-1] 연구절차 61

2부 : 서울대 학부생의 학업 역량 분석 및 학업 향상 프로그램 개발 / 이희원;박소현 85

[그림-1] 핵심역량 영역별 점수 편차 비교 85

[그림-2] 핵심역량 영역별 점수 평균 비교 85

[그림-3] 입학전형에 따른 영역별 역량점수 편차 비교 87

[그림-4] 입학전형에 따른 영역별 역량 수준 비교 87

[그림-5] 학점에 따른 영역별 역량점수 편차 비교 89

[그림-6] 학점에 따른 영역별 역량 점수 평균 비교 90

[그림-7] 응시자의 누적평점평균 분포(N=52) 91

[그림-8] 학년(등록학기)에 따른 영역별 역량 편차 비교 93

[그림-9] 학년(등록학기)에 따른 영역별 역량점수 비교 93

[그림-10] 전공계열에 따른 영역별 역량점수 편차 비교(전공계열별) 95

[그림-11] 전공계열에 따른 영역별 역량점수 평균 비교(전공계열별) 96

2부 :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을 통한 대학생 핵심역량 향상 검증 : 자기관리, 대인관계, 자원정보기술 활용, 글로벌 역량 진단을 중심으로 / 박연정;이주영;좌현숙 122

[그림 1] H-CESA 사전검사 그래프 122

[그림 2] K-CESA 4대 역량 간 진단 결과비교 124

2부 : K-CESA를 활용한 핵심역량분석 및 비교과 프로그램 제안: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김은지;이재경 140

그림 1. 종합적사고력의 하위요소 및 PBL 학습성과의 관계 140

그림 2. 전체 영역별 결과 비교 146

그림 3. 자기관리역량 학년별 수준비교 147

그림 4. 대인관계역량 학년별 수준비교 147

그림 5. 자원정보기술 학년별 수준비교 147

그림 6. 글로벌역량 학년별 수준비교 147

그림 7. 의사소통역량 학년별 수준비교 148

그림 8. 종합적사고력 학년별 수준비교 148

그림 9. 계열별 핵심역량 수준비교 149

그림 10. 성별 수준비교 151

3부 : 대학생 핵심역량 기반 독서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전보라 187

[그림 1] 중앙도서관 CUP 필독서 100선 소개자료 예시 187

[그림 2] 프로그램 종료 후 학생들의 네이버 밴드 성찰 활동 196

3부 : 대학생의 대인관계역량과 글로벌역량 함양을 위한 핵심역량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 김은주;성명희 204

[그림 1] 연구절차 204

[그림 2] 실천적 문제해결 수업모델 절차 210

〈표 1〉 K-CESA 핵심역량 원점수 156

〈표 2〉 K-CESA 핵심역량 학년별 역량비교: 자기관리역량 157

〈표 3〉 K-CESA 핵심역량 학년별 역량비교: 대인관계역량 결과 157

〈표 4〉 K-CESA 핵심역량 학년별 역량비교: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결과 158

〈표 5〉 K-CESA 핵심역량 학년별 역량비교: 글로벌 역량 159

〈표 6〉 K-CESA 핵심역량 학년별 역량비교: 의사소통역량 결과 159

〈표 7〉 K-CESA 핵심역량 학년별 역량비교: 종합적 사고력 160

〈표 8〉 성별 핵심역량 비교 160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