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주제 1] 4차 산업혁명 시대 연극, 연기, 영화 교육 방법론의 미래 과제 9
[발제 1] 연기교육, 스타만들기가 아닌 인성과 창의성의 나눔교육: 극단 서울공장 문화예술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 임형택 10
머리말 10
I. 현실 : 보여주기와 나눔의 사이 10
II. 반추 : 예술교육 밑바탕의 부재 11
III. 사례 : 창작단체의 실례와 반성 12
IV. 나아갈 길: 나눔의 밑바탕 17
[토론 1] 〈연기교육, 스타만들기가 아닌 인성과 창의성의 나눔교육 : 극단 서울공장 문화예술교육 사례를 중심으로〉에 대한 토론문 / 김인준 22
[토론 2] 〈연기교육, 스타만들기가 아닌 인성과 창의성의 나눔교육 : 극단 서울공장 문화예술교육 사례를 중심으로〉에 대한 토론문 / 박근수 24
[발제 2] 4차 산업 혁명시대에 지성과 감성을 함께 촉발하는 연극체험 / 최지영 25
I. 4차 산업 혁명시대에서의 인간상 25
II. 4차 산업 혁명시대와 연극체험 : 드라마의 과정성 26
III. 지성과 감성을 함께 촉발하는 연극체험의 과정 29
IV. 지성과 감성을 함께 촉발하는 연극체험의 힘(특성) 33
참고문헌 37
[발제 3] 동시대 연기자 교육에 있어 '몸훈련'의 의미 : 배우의 준비된 상태 / 손봉희 38
초록 38
I. 서론 38
II. 본론 40
III. 결론 및 제언 48
참고문헌 49
[토론 1] 〈동시대 연기자 교육에 있어 '몸훈련'의 의미 : 배우의 준비된 상태〉에 대한 토론문 / 이영란 51
[토론 2] 〈동시대 연기자 교육에 있어 '몸훈련'의 의미 : 배우의 준비된 상태〉에 대한 토론문 / 신대식 53
[발제 4] 융합형 인재구현과 역할연기의 상관연구 : 인재혁명으로서의 예술교육(역할연기)의 가치 / 박진태 55
I. 머리말 : 진단과 예측 그리고 발견 55
II. 융합형 인간에 관한 다양한 고찰과 핵심의미의 실체 58
III. 융합형 인간 구현과 예술, 역할연기와의 관계 모색 61
IV. 융합형 인간구현으로서의 역할연기의 활용과 확장 67
V. 맺음말 : 결국 인간은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가? 68
참고자료 69
[토론 1] 〈융합형 인재구현과 역할연기의 상관연구 : 인재혁명으로서의 예술교육(역할연기)의 가치〉에 대한 토론문 / 오진호 71
[토론 2] 〈융합형 인재구현과 역할연기의 상관연구 : 인재혁명으로서의 예술교육(역할연기)의 가치〉에 대한 토론문 / 송갑석 72
[발제 5] 영화영상교육의 효과적 방법에 관한 연구 / 양경미 74
I. 서론 74
II. 영화영상교육의 효과적 방법 75
III. 한국의 영화영상교육 분석 : 현황과 문제점 77
IV. 영화영상교육 방법의 개선방안 81
V. 결론 82
참고문헌 83
[토론 1] 〈영화영상교육의 효과적 방법에 관한 연구〉에 대한 토론문 / 진승현 84
[토론 2] 〈영화영상교육의 효과적 방법에 관한 연구〉에 대한 토론문 / 최광영 87
[발제 6] 4차 산업혁명시대의 예술적 가치를 위한 영상교육의 미래 / 고동우 91
I. 서론 91
II. 본론 94
III. 결론 99
참고문헌 101
[토론 1] 영화학과의 해체를 위하여 / 최종한 102
[토론 2] 〈4차 산업 혁명 시대의 예술적 가치를 위한 영상교육의 미래〉에 대한 토론문 / 신상엽 104
[주제 2] 예술가 참여, 문화예술교육의 힘 107
[발제 1] 문화 예술교육의 힘 : 한국 미술가들의 복합적인 정체성 / 박정애 108
I. 서언 108
II. 모더니즘에서의 문화의 정의 108
III. 포스트모던 문화의 정의와 문화중심 109
IV. 삶의 방식으로서의 문화와 미술의 정의 : 문화적 산물 110
V. 문화예술 교육의 힘으로서의 미술 110
VI. 해외 거주 한인 미술가들과의 현장 연구 110
VII. 제 3의 공간에서의 미술가들의 작품과 미적 가치 111
VIII. 미술가들의 복수적 혼종적 정체성 113
IX. 미술가들의 복수적ㆍ혼종적 정체성이 문화예술교육에 함의하는 점 113
참고문헌 114
[토론 1] 〈문화 예술교육의 힘 : 한국 미술가들의 복합적인 정체성〉에 대한 토론문 / 이민정 116
[발제 2] 함께, 참여하는 미술관 / 최혜경 118
I. 들어가는 글 118
II. 본글 119
III. 나가는 말 124
참고문헌 125
[토론 1] 〈함께, 참여하는 미술관〉에 대한 토론문 / 김혜인 126
[발제 3] 공예 문화예술교육의 확장과 실제 / 이부연 128
1. 공예 문화예술교육의 목적 128
2. 학생의 수준에 맞는 공예 문화예술교육 138
3. 새로운 접근방법, 융복합적 공예 문화예술교육 140
참고문헌 148
[토론 1] 〈공예 문화예술교육의 확장과 실제〉에 대한 토론문 / 고홍규 150
[발제 4] 예술의 치유적 기능, 참여를 넘어 관여하는 예술로 / 한경은 153
I. 서론 : 너무 무거워 불편한 현실 153
II. 예술의 치유적 기능, 참여를 넘어 관여하는 예술로 155
III. 결론 : 자기표현과 공감적 감수성을 중시하는 예술교육 162
참고문헌 164
[토론 1] 〈예술의 치유적 기능 참여를 넘어 관여하는 예술로〉에 대한 토론문 / 신승녀 165
[주제 3] 테크놀로지와 예술교육 169
[발제 1] 지능정보사회에 대비한 학교 예술교육의 발전 방향 / 홍후조 170
I. 문명 변화와 학습과 교육의 방향 170
II. 지능정보사회의 교육과정학의 발전 방향 175
III. 지능정보사회의 예술교육의 발전 방향 182
IV. 맺는 말 188
참고문헌 189
[발제 2] 디지털 아트 미학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예술교육 / 이지언 192
I. 서론 192
II. 4차 산업혁명의 철학적 개념 정의 194
III. 4차 산업혁명에서 예술교육의 중요성 195
IV. 첨단기술 미래예술교육의 상관관계 197
V.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디지털 아트의 미학적 의미 197
VI. 미래의 예술교육의 활용방안 및 예시 198
VII. 결론 201
참고문헌 202
[토론 1] 〈지능정보사회에 대비한 학교 예술교육의 발전 방향〉에 대한 토론문 / 김미숙 203
[토론 2] 〈디지털 아트미학과 차 산업혁명 시대의 예술교육〉에 대한 토론문 / 고은실 206
[주제 4] 음악교육의 창의적 확장을 위한 역량과 방법 모색 209
[발제 1]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역량 중심의 창의성 교육 / 장근주 210
I. 들어가며 210
II. 창의ㆍ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음악교육 210
III.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음악교육 211
IV. 학생중심의 음악교육 213
V. 나가면서 214
참고문헌 214
[발제 2] 4차 산업혁명과 세계음악교육 / 이영미 216
I. 서론 216
II. 본론 216
III. 세계음악교육의 역할 219
참고문헌 220
[발제 3] 공감각(Synesthesia) 세대를 위한 총체예술형태 : 뮤지컬 파크와 음악전람회 / 박지원 222
I. 들어가는 말 222
II. PROJECT I - 뮤지컬 파크 (Musical Park) 223
III. PROJECT II - 21세기 음악 전람회 (Music Exhibition of 21st Century) 225
IV. 나가는 말 228
참고문헌 235
[토론 1]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역량 중심의 창의성 교육〉에 대한 토론문 / 조성기 237
[토론 2] 〈4차 산업혁명과 세계음악교육〉에 대한 토로문 / 정완규 240
[토론 3] 〈공감각(Synesthesia) 세대를 위한 총체예술형태〉에 대한 토론문 / 김지현 242
[주제 5] 문화예술교육의 국가적, 시대적 가치 244
[발제 1] 한국적 5음계를 통한 아카펠라 교육방법 연구 [코다이 아카펠라 교수법을 중심으로] / 조홍기 245
I. 들어가는 말 245
II. 아카펠라의 이해 245
III. 5음계 아카펠라 적용 고찰 251
IV. 한국적 다성부 아카펠라 256
V. 제언 260
참고문헌 261
[토론 1] 〈한국적 음계를 통한 아카펠라 교육방법 연구 : 코다이 아카펠라 교수법을 중심으로〉에 대한 토론 / 최영익 263
[발제 2] 제4차 산업혁명과 문화예술교육 : 문화예술교육의 창의력을 중심으로 / 성민정 266
I. 우리가 직면한 현실 266
II. 제4차 산업혁명 268
III. 문화예술교육과 창의력 270
IV. 우리가 직면한 과제 274
참고문헌 275
[토론 2] 〈제4차 산업혁명과 문화예술교육 : 문화예술교육의 창의력을 중심으로〉에 대한 토론문 / 임성민 276
[발제 3] 영국의 문헌을 통해 본 창의교육과 문화교육 , 문화예술교육 : All Our Futures: Creativity, Culture and Education (1999)을 중심으로 / 오세준 277
I. 서론 277
II. All Our Futures: Creativity, Culture and Education의 중심 내용 277
III. 문헌의 한국적 해석 278
IV. 결론 280
참고문헌 281
[토론 3] 〈영국의 문헌을 통해 본 창의교육과 문화교육,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토론문 / 이송하 282
[주제 6] 미래예술교육을 위한 창의적 방법 탐구 284
[발제 1] 예술작품 하나로 교과를 가로지르기 : 〈프로젝트 하나〉의 방법론적 가능성 탐구 / 최성희 285
I. 연구배경 및 연구 목적 285
II. 이론적 틀 286
III.〈프로젝트 하나〉의 실행결과 288
IV. 결론 및 시사점: 〈프로젝트 하나〉,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방법론적 가능성 293
참고문헌 294
[발제 2] 예술기반 연구방법에서 바라보는 예술의 가치 / 이미정 295
I. 예술기반 연구방법에 대한 이해: 예술의 또 다른 모습 295
II. 예술기반 연구방법에서 바라보는 예술의 가치 301
III. 문화예술교육 실행자에게 예술기반 연구방법의 의미 306
IV. 예술로 삶을 이야기 하는 질적 연구자-되기 (becoming art-based researcher) 309
참고문헌 310
[발제 3] 학생이 만드는 문화 예술ㆍ교육과정 : 자기주도적으로 찾아가는 앎과 삶의 길 / 안지연 311
I. 들어가며 311
II. 학생이 만드는 문화ㆍ예술 교육과정 - 학생설계전공(Student-Designed Major)을 중심으로 313
III. 나오며 320
참고문헌 321
[토론 1] 〈예술작품 하나로 교과를 가로지르기 : '프로젝트 하나'의 방법론적 가능성 탐구〉에 대한 토론문 / 고황경 323
[토론 2] 〈예술기반 연구방법에서 바라보는 예술의 가치〉에 대한 토론문 / 류지영 325
[토론 3] 〈학생이 만드는 문화ㆍ예술 교육과정 : 자기주도적으로 찾아가는 앎과 삶의 길〉에 대한 토론문 / 강주희 329
판권기 334
[발제 2] 4차 산업 혁명시대에 지성과 감성을 함께 촉발하는 연극체험 / 최지영 32
[그림 1] 〈토우마을 상상여행〉의 공간이동경로 32
[발제 5] 영화영상교육의 효과적 방법에 관한 연구 / 양경미 79
[그림 1] 2014 년 학교에서 시행되는 문화예술교육 분야별 현황 79
[발제 6] 4차 산업혁명시대의 예술적 가치를 위한 영상교육의 미래 / 고동우 92
[그림 1] 4 차 산업혁명 시대가 원하는 인재상 예측 92
[그림 2] 21 세기의 가장 핵심적인 16 가지 기술 95
[그림 3] 2017 년 교육부 업무계획 발표 96
[그림 4] 이야기산업의 시장 영역 98
[발제 1] 문화 예술교육의 힘 : 한국 미술가들의 복합적인 정체성 / 박정애 109
[그림 1] 삶의 방식으로서의 문화 109
[발제 2] 함께, 참여하는 미술관 / 최혜경 118
[그림 1] 경기도미술관의 프로그램 참여하는 관람자 118
[그림 2] 원활한 협업의 관계 119
[그림 3] 작가의 역할 스펙트럼 120
[그림 4] 나에게서 우리로의 디자인 124
[발제 3] 공예 문화예술교육의 확장과 실제 / 이부연 141
[그림 1] (제목없음) 141
[그림 2] (제목없음) 141
[그림 3] (제목없음) 142
[그림 4] (제목없음) 142
[그림 5] [그림 6] [그림 7] 누가 내 치즈를 옮겼을까? 143
[그림 8] [그림 9] 점토공예 태양열 자동차 144
[발제 1] 지능정보사회에 대비한 학교 예술교육의 발전 방향 / 홍후조 176
[그림 1] 교육과정의 이론 발전 176
[그림 2] 각종 교육과정기준(총론, 각론, 가교)의 연구 개발에서 과제 176
[그림 3] 모범사례 창출을 위한 교육과정 실제의 개선 방향 182
[그림 4] 일생에서 예술(즐거운 생활)의 중요성 185
[발제 2] 디지털 아트 미학과 차 산업혁명 시대의 4 예술교육 / 이지언 192
[그림 1] ZKM 내부 192
[그림 2] ZKM외부 193
[그림 3] 〈The new art event in the digital age〉, 19.06.2015 - 17.04.2016, ZKM: Center for Art and Media 199
[발제 2] 4차 산업혁명과 세계음악교육 / 이영미 217
[그림 1] Table 1. Examples of 21st Century Competencies by Category (Soland 외, 2013, p.3)에서 발췌함 217
[그림 2] 갈등의 인물로서 '늑대'의 출현 218
[그림 3] 돼지 삼형제의 건축 소재와 환경 219
[발제 2] 예술기반 연구방법에서 바라보는 예술의 가치 / 이미정 295
〈그림 1〉 봄 야생화, 개불알풀 295
〈그림 2〉 911 테러 장면 사진, 켈리 구엔더(Kelly Guenther), 2001 301
〈그림 3〉 Edvard Munch, The Scream(Skrik), 83.5×66㎝, 1893 303
〈그림 4〉 「Becoming arts-based researchers」 본문 305
〈그림 5〉 「cathARTic: A journey into arts-based educational research」 본문 중 306
[발제 3] 학생이 만드는 문화 예술ㆍ교육과정 : 자기주도적으로 찾아가는 앎과 삶의 길 / 안지연 315
〈그림 1〉 Current Independent Concentrators at Brown (브라운 대학교 홈페이지) 315
〈그림 2〉 '인지미학' 전공 교과목 구성 318
〈그림 3〉 개인행위의 네 유형(한용진, 1995 pp285) 320
〈그림 4〉 대학교육의 지향 가치(한용진, 1995 pp286) 320
[사진 1] 5 만의 창, 미래의 벽 설치장면 121
[사진 2] 작가와 함께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장면 121
[사진 3] '총체적 난 극' 실행 장면 123
[사진 4] '평화의 나무' 프로그램 진행 장면 123
[사진 5] 몸으로 그리기 전시연계교육프로그램 실행 장면 (2011) 125
도표 1. 뮤직 타워 (The Music Tower) 229
도표 2. 칸딘스키의 색과 악기소리, 무드와의 상관관계 도표 230
도표 3. 리듬과 도형의 관계 (Shape and Music Matching Test, Willmann, 1944) 231
도표 4. 전체구조 안내 232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