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목차
개회사 / 허현미 ; 김덕진 3
축사 / 노웅래 5
축사 / 신동근 7
축사 / 안민석 9
축사 / 오영훈 11
축사 / 조승래 13
축사 / 강신욱 15
기조발제 : 문재인정부에서도 체육은 버려진 땅으로 남을 것인가 / 정희준 17
I. 체육은 없다 18
II. '체육 적폐 청산'과 '체육인 생존권 보장': 매뉴얼은 있는가!? 18
III. 문재인정부가 반드시 바로잡아야 할 세 가지 19
1. 체육인은 국가가 외면하는 국민?: 정의롭고 공정하게 대우하라 19
2. 희생자 외면하고 가해자 보호하는가?: 체육계 폭력과 협회의 갑질 제거해야 20
3. '비리와 폭력의 생산기지'의 뿌리는?: 학원체육과 대입제도의 혁명적 전환이 답이다 21
IV. '체육 적폐 청산', 타협의 대상이 아니다 22
발제 : 체육예산 현황과 쟁점 / 정창수 24
1. 체육예산의 구조 및 특징 26
1) 전체 예산속의 체육예산 26
2) 체육예산의 재정구조 32
3) 지출구조-일반회계, 국민체육진흥기금 37
2. 체육 예산의 쟁점 44
1) 기금중심, 그리고 최순실 44
2) 도박중심예산 45
3) 문제성 사업이 '숨기 좋은 방': 국제경기대회 46
4) 평창동계올림픽의 재정효과: 시민부담의 관점에서 50
5) 평창동계올림픽 지원 사업 추진실태 검토 62
6) K 스포츠클럽의 문제점 83
7) 체육·문화예술사업의 지원 사업의 세부내역 국회 심사 필요성 87
3. 기타 문제사업 89
4. 대안 100
참고자료 101
발제 : 공정하고 투명한 체육단체를 위한 제언 / 나진균 102
1. 최순실과 김종은 왜 체육계를 이용했나? 103
2. 대한야구협회를 통해 본 체육단체 부정부패사례 104
3. 문체부와 대한체육회 적폐청산 의지 있나? 105
4. 공정하고 투명한 체육단체는 어떻게 만들어지나? 107
5. 결어 109
발제 : 스포츠 복지국가 구현의 우선과제 '스포츠지도자 생존권 보장' / 남상우 110
토론 : 체육예산 현황과 쟁점 / 김상범 119
1) 국민체육진흥기금에 의존한 빈약한 체육예산 120
2) 스포츠참여 확대를 통한 국민복지시대 선언, 선언만 있고 예산은 없다. 120
토론 : 공정하고 투명한 체육단체를 위한 제언 / 고정희 122
I. 대한야구협회의 사례 123
II. 대한수영연맹의 사례 125
III. 통치에서 협치로(From Goverment To Governance) 126
IV. 투명하고 공정한 체육단체를 위하여 126
V. 인식채계의 대변환(Paradigm Shift) : 체육단체는 왜 존재하는가? 127
토론 :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의 현황과 과제 / 구영호 132
1. 들어가며 133
2. 초등학교 스포츠강사 제도 현황 및 만족도 135
3. 학교체육진흥법 136
4. 체육전담교사 137
5. 개선과제 139
6. 맺는 말 140
토론 : 복지를 위한 스포츠 & 스포츠를 통한 복지 / 오정훈 142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