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발제] 문화예술교육 가치 확산을 위한 전략적 과제 / 조현성 7

1. 머리말 8

2. (나의) 문화예술교육 연구 참여 8

1) 2000년대 초중반 : '문화예술교육은 문화정책 연구의 주요 대상이 아니다' 8

2) 2000년대 중후반-2012년 : '문화예술교육은 문화복지의 일환이다' 9

3) 2012년-2016년(중장기 발전 계획 연구) : '문화예술교육은 사회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9

4) 2013년-2017년(사회 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교육은 하나가 아니다 12

3. 문화예술교육의 가치 확산의 전제(前提) 13

1) 문화예술교육의 의미 찾기 그리고 토론하기 13

2) 문화예술교육 정책목표의 구체화 및 다원화 15

3) 문화예술교육의 성과 공유; 연수와 연구 모임의 활성화 17

4) 연구 형태의 변화: 자세히 분석하기, 질적 연구, 그리고 신진 연구인력 확보 등 18

4. 문화예술교육 발전의 전략적 과제 19

5. 맺음말 22

[토론 1] BACK TO BASIC / 차재근 25

[토론 2] 창의적인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과 지역센터의 역할 / 김보성 42

1. 머리말 43

2.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현황과 과제 43

2-1. 미래세대를 위한 '지역사회학교' 개념의 확장 43

2-2.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지역 - 예술강사 파견과 지역협력모델 45

3. 사회문화예술교육 현황과 과제 46

3-1.사회문화예술교육의 현황 46

3-2. 지역 문화예술교육네트워크 사례 48

4. 창의적 프로그램과 지역센터의 역할 51

4-1. 공유사업 형태로 본 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역할과 전망 51

4-2. 프로젝트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과 인력양성 - 광역지역센터의 역할 52

4-3. 점점 더 작아져야 할 지역센터의 미래 53

5. 마무리 53

6. 진짜 마무리 54

[토론 3] 지역문화예술교육센터의 위상과 역할 / 이상진 56

[토론 4] 문화예술교육의 방향과 생각하는 예술(Thinking-Art)교육 / 류해석 61

판권기 67

표목차

〈표 1〉 문화예술교육 정책 추진 방향과 주요 과제 20

〈표 2〉 문화예술교육 기존 발전계획 비교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