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지]

모시는 말씀 / 노혁진

[행사일정]

목차

구석기시대 중부지방의 시·공간적 정체성 - 강원지역을 중심으로 - / 최승엽 7

I. 머리말 7

II. 유적의 입지 조건 9

III. 지층 및 석기군의 시간적인 변화 13

IV. 맺음말 19

참고문헌 20

지정토론 : "구석기시대 중부지방의 시·공간적 정체성"에 대한 토론문 / 성춘택 21

신석기시대 중부지방의 시·공간적 정체성 -서울·경기·인천 지역 출토 석기를 중심으로- / 박준범 23

I. 머리말 23

II. 자연환경 24

III. 유적과 유물의 검토 25

1. 유적의 범위와 분포 25

2. 유적의 검토 27

3. 유물 39

IV. 맺는말 44

참고문헌 46

지정토론 : "신석기시대 중부지방의 시·공간적 정체성"에 대한 토론문 / 고동순 50

청동기시대 중부지방의 시·공간적 정체성 - 주거지와 출토유물을 중심으로 - / 金權中 52

I. 머리말 52

II. 편년기준과 시기구분 53

III. 지역별 편년 54

1. 경기지역 54

2. 북한강유역 59

3. 남한강유역 66

4. 영동지역 70

IV. 절대연대와 변화양상 72

1. 경기지역 72

2. 북한강유역 74

3. 남한강유역 76

4. 영동권 78

V. 시·공간적 정체성 80

VI. 맺음말 82

참고문헌 83

지정토론 : 〈청동기시대 중부지방의 시·공간적 정체성〉에 대한 토론문 / 김장석 93

1. 문양속성과 집단의 연결 93

2. 공렬토기의 문제 94

中部地域 粘土帶土器文化의 時空間的 政體性 / 李亨源 95

I. 머리말 95

II. 硏究史 96

III. 時間軸 設定 98

1. 琵琶形銅劍段階의 粘土帶土器文化 98

2. 細形銅劍段階의 粘土帶土器文化 109

3. 初期鐵器段階의 粘土帶土器文化 113

4. 中部地域 粘土帶土器文化의 編年 調整과 時代 區分 115

IV. 空間的 分布 樣相을 통한 몇 가지 問題 提起 119

1. 요령 점토대토기문화 남한지역 유입 창구로서의 중부지역 119

2. 지역별 재지문화와 외래문화의 접촉 양상 규명 120

3. 세형동검기의 청동기 생산과 중부지역 122

V. 맺음말 123

참고문헌 124

지정토론 : "중부지역 점토대토기문화의 시·공간적 정체성"에 대한 토론 / 박진일 127

1. 초기철기의 개념과 관련하여 127

2. 점토대토기문화와 재지문화의 공존 127

3. 철기문화와 삼각형점토대토기의 등장 128

4. 시대구분과 명칭 128

5. 점토대토기 전파 루트 128

原三國時代 中部地方의 時·空間的 政體性 / 沈載淵 130

I. 머리말 130

II. 중부지방 시기구분에 대한 논의 131

III. 中部地域의 住居 133

IV. 嶺東·嶺西地域의 物質文化의 變化 136

V. 맺음말 141

지정토론 : 「원삼국시대 중부지방의 시공간적 정체성」에 대한 토론문 / 신희권 143

1. 중부지방의 시기구분에 관한 문제 143

2. 영서지역과 영동지역 정치체의 실체 문제 143

3. 강원지역 타날문토기의 존재 및 편년 문제 144

판권기 145

[뒷표지] 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