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지]

[행사일정]

목차

1. 강원지역 寺址 출토 청자의 성격 / 이경기 5

I. 머리말 5

II. 고려시대 강원지역의 불교 전파과정 5

III. 강원지역 사지출토 고려청자의 현황 7

1. 강릉 신복사지 7

2. 강릉 보현사 7

3. 강릉 굴산사지 8

4. 원주 거돈사지 9

5. 삼척 천은사 10

6. 평창 월정사 10

7. 양양 진전사지 11

IV. 강원지역 사지출토 고려청자의 성격 12

V. 맺음말 14

참고문헌 14

지정토론 : 「강원지역 寺址 출토 청자의 성격」에 대한 토론 / 윤석인 15

2. 江原地域 기와에 대한 考察 -기와 製作技術의 流入~高麗時代 기와에 대한 몇 가지 視點- / 崔英姬 17

머리말 17

I. 江原地域 기와製作技術의 流入樣相 18

1. 洪川 下花溪里遺蹟 출토 평기와 18

2. 旌善 松溪里山城의 古城里山城 출토 평기와 19

3. 春川 소양로 瓦窯址 출토 평기와 21

II. 統一新羅時代 기와제작으로부터 본 中央과의 관계 22

1. 평기와의 검토 -短板타날구에서 中板타날구로의 변화현상을 중심으로- 23

2. 와당의 검토 24

III. 高麗時代 기와需給시스템의 一例 - 嶺東地域 一例의 제시 - 25

1. 기와의 비교 검토 26

2. 수급대상의 범위와 양상 27

맺음말 29

참고문헌 30

지정토론 : '강원지역 기와에 대한 고찰'에 대한 토론 / 이인숙 37

3. 高麗後期 入保用 山城 一考察 / 吳康錫 39

I. 머리말 39

II. 遺蹟現況 40

1. 權金城 40

2. 寒溪山城 42

3. 頭陀山城 43

4. 鴒原山城 45

5. 三岳山城 46

6. 正陽山城 47

III. 入保用 山城의 築城背景 50

1. 社會的 要因 51

2. 軍事的 要因 52

VI. 入保用 山城의 特徵 54

V. 맺는말 57

지정토론 : "高麗後期 入保用 山城 一考察"에 대한 토론 / 현남주 58

4. 中世 江原地域의 佛敎美術 / 嚴基杓 60

I. 序論 60

II. 古代와 中世 강원지역의 高僧과 寺刹 61

III. 中世 강원지역의 石造美術 68

1. 石塔 68

2. 石造浮屠와 塔碑 74

3. 彫刻, 石燈, 幢竿支柱 85

IV. 結論 88

지정토론 : 중세 강원지역의 불교미술 발표문에 대한 토론 / 김성배 89

판권기 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