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목차
프로그램 3
인사말 / 유은혜 4
축사 / 홍영표 5
축사 / 김태년 6
주제 1. 인문사회분야 학술지원사업의 성과와 한계 7
인문사회분야 학술지원사업 역사와 성과 / 박구용 7
1. 지원목적 8
2. 추진경과 9
3. 주요 변천사 9
4. 연구지원 성과 12
5. 대표성과 14
인문한국(HK) 사업의 성과와 한계 / 김성민 17
대학인문역량강화(CORE)사업의 성과와 인문학의 미래 / 이병로 30
추진 배경 및 필요성 32
사업개요 32
비전 및 목표 33
주요 목표별 성과 34
대학 인문역량 강화(CORE)사업과 인문학의 미래 39
사회과학연구지원(SSK) 사업의 성과와 한계 / 김종길 41
1) 한국사회과학연구(SSK) 사업 목적 43
2) 한국사회과학연구(SSK) 사업 추진 경과 45
3) SSK 사업 예산현황 45
4) SSK 사업의 차별화 포인트 46
5) SSK 사업 구성 체계 46
6) SSK 사업 참여 연구집단 및 참여인력 현황 47
7) SSK 사업 성과 및 주요 사례 47
8) SSK 한계 및 개선 방향 58
9) 향후 과제 60
주제 2. 인문사회분야 학술지원사업 발전방안 62
인문사회분야 학술지원사업 현황과 예산편성 원칙 / 김양현 62
인문학·사회과학의 산업 경제적 중요성 64
인문학·사회과학의 발전과 국가 위상의 상관성 66
인문학·사회과학의 학문적 정체성과 비전 67
법적 지원 근거 및 약속사항 68
학술연구사업 예산 현황 및 문제점 69
예산 편성 원칙 및 제안사항 72
미래 50년을 위한 인문사회분야 학술지원사업 발전방안 / 강성호 76
I. 추진배경 78
II. 비전과 추진전략 79
III. 연구자지원사업 81
IV. 연구자집단연구 지원사업 82
V. 연구소지원사업 84
VI. 성과확산사업 85
VII. 학술연구역량강화 사업 86
「대학인문역량강화(CORE)사업의 성과와 인문학의 미래」 토론요지 / 박은경 87
HK 사업과 인문사회분야 진흥 / 엄구호 91
연구중점대학 쇠퇴 경향 92
연구중점대학 발전을 위한 대학연구소의 역할 92
사회과학연구지원을 통한 글로벌인재양성은 국가경쟁력의 인프라 / 유승호 95
한국의 사회과학, 아시아의 허브로 도약할 잠재성 풍부 97
국내 대학원을 최고인재의 산실로 만들어 양질의 학문후속세대를 확보해야 98
인문사회과학 연구지원·육성정부 청사진 제시하라 / 이인철 99
정부 재정지원 사업의 불균형 100
인문사회과학 연구지원 태부족 100
대학·연구자의 자구노력 과제 101
[뒷표지] 103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