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고구려 고분벽화 남북의 소중한 세계문화유산 [전자자료] : 2018 북한미술 국제학술심포지엄 = Goguryeo tomb murals, the world cultural heritage of South and North Korea : international symposium on North Korean art / 국립문화재연구소, 한성백제박물관 공동주최 인기도
발행사항
대전 : 국립문화재연구소 미술문화재연구실, 2018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형태사항
1 온라인 자료 : PDF
출처
외부기관 원문
면수
177
제어번호
PAMP1000058887
주기사항
일시: 2018.7.6(금) 09:30~16:30, 장소: 한성백제박물관 강당
집필자: 전호태, 정경일, 왕즈강, 박아림, 박윤희, 미야사코 마사아키, 로돌프 루잔 런스포드
본문은 한국어, 일본어, 영어가 혼합수록됨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기조발표] 세계문화유산 고구려 고분벽화의 가치와 의미 / 전호태 4

Ⅰ. 머리말 5

Ⅱ. 문화사적 가치와 의미 5

Ⅲ. 예술사적 가치와 의미 11

Ⅳ. 종교ㆍ사상사적 가치와 의미 14

Ⅴ. 사회사적 가치와 의미 16

Ⅵ. 맺음말 19

참고문헌 20

Abstract 21

1부. 고구려 고분벽화 최신 현황 22

북한소재 고구려 고분벽화 최신 발굴 성과 및 관리 현황 / 정경일 23

Ⅰ. 머리말 24

Ⅱ. 북한경내에서 최근 발굴된 고구려 벽화무덤 24

Ⅲ. 고구려 벽화무덤 보호와 관리 현황 34

Ⅳ. 맺음말 40

참고문헌 41

중국 소재 고구려 고분벽화 발굴 현황과 연구 성과 / 왕즈강 45

[중국어 원문] 55

2부. 고분벽화 모사도 연구 63

고구려 고분벽화 모사도 가치의 재조명 / 박아림 64

Ⅰ. 머리말 65

Ⅱ. 고구려 고분벽화 모사도 제작의 역사 67

Ⅲ. 현존 모사도 관련 자료의 검토 76

Ⅳ. 맺음말 85

참고문헌 86

북한 고구려 고분벽화 모사도(模寫圖)의 제작과 활용 / 박윤희 88

Ⅰ. 머리말 89

Ⅱ. 북한의 고구려 고분벽화 모사도 제작 배경 89

Ⅲ. 북한 고구려 고분벽화 모사도의 특징 97

Ⅳ. 고구려 고분벽화 보존을 위한 모사도의 활용 105

Ⅴ/Ⅵ. 맺음말 110

참고문헌 111

Abstract 113

3부. 고분벽화 보존 전망 114

고구려 고분벽화의 보존과 공개 / 미야사코 마사아키 115

Ⅰ. 머리말 116

Ⅱ. 고구려 벽화와 특허기술에 의한 '클론 문화재' 개발 경위 116

Ⅲ. 클론 문화재에 의한 고구려 벽화 제작 120

Ⅳ. 클론 문화재의 지금까지의 성과 122

Ⅴ. 클론 문화재의 향후 과제 124

참고문헌 125

[일본어원문] 126

북한 수산리 고분벽화 보존지원과 성과 / 로돌포 루잔 런스포드 137

Ⅰ. 북한 고구려 고분 벽화 보존사업 138

Ⅱ. 수산리 고분과 벽화 보존 처리 143

[영어원문] 156

판권기 177

〈표 1〉 고구려 고분벽화 모사도의 제작 67

〈표 2〉/〈표 1〉 정현웅, 손영기의 고분벽화 모사도 제작 현황 92

[기조발표] 세계문화유산 고구려 고분벽화의 가치와 의미 / 전호태 6

그림 1. 해신과 달신, 오회분4호묘(중국 집안) 6

그림 2. 연꽃장식 벽화고분, 미창구장군묘(중국 환인) 7

그림 3. (좌) 부뚜막, 안악3호분(북한 안악) 8

그림 4. (우) 부뚜막 모형, 북원3호벽화묘 출토(중국 요양박물관) 8

그림 5. 대화, 부용총(중국 집안) 9

그림 6. 씨름, 각저총(중국 집안) 10

그림 7. (좌) 하늘, 덕흥리벽화분(북한 남포) 11

그림 8. (우) 널방 내부, 강서대묘(북한 남포) 11

그림 9. (좌) 연화화생, 장천 1호분(중국 집안) 12

그림 10. (우) 연화화생, 삼실총(중국 집안) 12

그림 11. (좌) 유주 13군 태수와장군들, 덕흥리벽화분(북한 남포) 13

그림 12, 13. (우) 문지기들, 장천1호분(중국 집안) 13

그림 14. (좌) 백호, 오희분5호묘(중국 집안) 14

그림 15. (우) 백호, 강서대묘(북한 남포) 14

그림 16. (좌) 예불, 장천1호분(중국 집안) 15

그림 17. (우) 하늘, 무용총(중국 집안) 15

그림 18. 모자를 쓴 인물들 17

1부. 고구려 고분벽화 최신 현황 29

북한소재 고구려 고분벽화 최신 발굴 성과 및 관리 현황 / 정경일 29

그림 1. (상단/좌) 안칸 북벽 서쪽부분 벽화 29

그림 2. (상단/우) 안칸 북쪽 동쪽부 분벽화에 있는 "王"자 29

그림 3. (하단/우) 안칸 동벽 벽화 29

그림 4. (하단/좌) 안칸 서벽 북쪽 사냥장면 29

그림 5. (좌) 18묘실 북벽 31

그림 6. (우) 필자가 18묘실 서벽의 벽화를 확인하는모습 31

중국 소재 고구려 고분벽화 발굴 현황과 연구 성과 / 왕즈강 52

그림 1. 고구려 귀족 고분군 남측 전경 52

2부. 고분벽화 모사도 연구 91

북한 고구려 고분벽화 모사도(模寫圖)의 제작과 활용 / 박윤희 91

그림 1. 안악3호분 〈묘주 초상〉 모사도, 정현웅ㆍ손영기 제작 91

그림 2. (좌) 안악2호분 널방 천정 모사도 94

그림 3. (우) 공민왕릉 벽화 모사도(정현웅 제작, 1956년) 94

그림 4. 고산동7호분 벽화 모사도 95

그림 5. (좌) 무용총 〈사냥도〉 컬러사진(1938년 촬영) 96

그림 6. (우) 무용총 〈사냥도〉 모사도(1970년대 제작) 96

그림 7. (좌) 강서중묘 〈백호〉 모사도(1912년) 97

그림 8. (우) 강서중묘 유리건판(1910년대 촬영) 97

그림 9. (상단/좌) 장다첸, 막고굴 모사도 99

그림 10. (상단/중) 창서홍, 막고굴 모사도 99

그림 11. (상단/우) 한락연, 막고굴 모사도 99

그림 12. 董長富, 집안오회분 4호묘 〈해신,달신〉 모사 99

그림 13. (상단/좌) 〈현무〉 모사도, 오바 스네키치, 1912년 100

그림 14. (상단/우) 〈현무〉 모사도, 정현웅, 1954년사 100

그림 15. (하단/좌) 〈강서대묘〉 벽화 사진(2006년 촬영) 100

그림 16. (하단/우) 만수대창작사 벽화 모사 작업사진 100

그림 17. 안악3호분 구조도 모형(헝가리 훼렌쯔 홉 미술관 소장) 102

그림 18. 일본 조선대학교 조선역사박물관 전시실 104

그림 19. (상단) 안악3호분 〈대행렬도〉 모사도(1960년대 제작) 105

그림 20. (중앙) 안악3호분 〈대행렬도〉 벽화(2006년 촬영) 105

그림 21. (하단) 안악3호분 〈대행렬도〉 모사도(1990년대 제작) 105

그림 22. (상단) 진파리 1호분 〈청룡〉 모사도(국립중앙박물관 소장, 1940년대 제작) 106

그림 23. (하단) 진파리 1호분 〈청룡〉 벽화 사진(2007년 촬영) 106

그림 24. (좌) 〈무사〉 흑백사진(통구, 1930년대) 107

그림 25. (중앙) 〈무사〉 모사도(조선미술박물관, 1970년대) 107

그림 26. (우) 〈무사〉 컬러사진(조선유적유물도감, 1990년) 107

그림 27. (좌) 강서대묘 널방 천정(남한 촬영, 2006년) 109

그림 28. (중앙) 강서대묘 널방 천정(북한 촬영, 1990년대) 109

그림 29. (우) 널방 천정 모사도(오바 스네키치, 1936년) 109

3부. 고분벽화 보존 전망 117

고구려 고분벽화의 보존과 공개 / 미야사코 마사아키 117

그림 1. (상단/좌) 강서중묘 남벽 서측 주작, 먹을 이용한 아게우츠시 모사 117

그림 2. (상단/우) 강서중묘 남벽 서측 주작, 상정복원모사 117

그림 3. (하단/우) 복원모사 117

그림 4. (하단/좌) 1912년 발굴 당시 오바스네키츠가 그린 모사(도쿄대학 소장) 117

그림 5. (좌) 강서대묘 동벽 청룡의 클론 문화재 118

그림 6. (우) 강서대묘 남벽 주작의 클론 문화재 118

그림 7. (좌) 현지에서 작성한 색상 카드 121

그림 8. (우) 현지에서 채취한 화강암 121

그림 9. (좌) 일본 종이 배접 121

그림 10. (우) 애벌칠 121

그림 11. (좌) 실크스크린 인쇄 121

그림 12. (우) 완성된 마티에르 121

그림 13. (좌) 인쇄 121

그림 14. (우) 채색 121

그림 15. 완성된 강서대묘 클론 문화재 121

그림 16. 호류지 금당 벽화 전시모습 123

그림 17. (좌) 둔황 막고굴 제 57굴벽화 전시 모습 124

그림 18. (우) 바미얀 동대불 불감 천장벽화 전시 모습 124

북한 수산리 고분벽화 보존지원과 성과 / 로돌포 루잔 런스포드 138

그림 1. (좌) 2005년 제2회 고구려 벽화 보존관리 워크숍 개막 장면 138

그림 2. (우) 2006년 수산리 고분 현장조사. 왼쪽부터 리의하(각하), 송철민, 한준희 138

그림 3. (좌) 2001년 약수리 고분의 미기후 관측을 위한 센서와 데이터이력 기록장치 설치장면 139

그림 4. (우) 2008년 약수리 고분 침수 후 양동이로 물을 퍼내는 장면 139

그림 5. (상단/좌) 원본 기법 실행에 대한 지식은 열화 메커니즘과 적절한 처치 기구에 대한 보존-복원 전문가의 이해를 돕는다 140

그림 6. (상단/우) 강서 2호분 벽화 복제 작업 중 석판 위에 여러 겹 칠한 석회바탕벽 위프레스코 기법 실행 장면 140

그림 7. (하단/좌) 조선중앙력사박물관 내 조선문화보존센터(KCPC) 임시 실험실 140

그림 8. (하단/우) 진파리1호분 조사를 위해 (내부 미기후에 변화를 주지 않고) 안전하게 개방하는 제2회 워크숍 실습 장면 140

그림 9. (좌) 2005년 수산리 고분 근처에 설치한 기상관측소 장비 조절 장면 141

그림 10. (우/상단) 2009년 유압계 설치를 위해 수산리 고분 지대 굴착 장면 141

그림 11. (우/중앙) 2006년 수산리 고분 널방에 공기, 벽, 유리의 기온, 이슬점 등을 (측정) 기록하기 위한 센서들을 설치, 널길에 설치된 데이터이력기록장치와 연결했다 141

그림 12. (우/하단) 수산리 고분 주변의집수 도랑 141

그림 13. (좌) 수산리 고분 시멘트 메움제 제거 작업 142

그림 14. (우) 수산리 고분 (내 벽화의) 넓은 박락 부위를 메운 시멘트는 중앙부를 우선 제거하고, 조심스럽게 가장자리를 향해 제거했다 142

그림 15. (좌) 로마 보존복원고등연구원(ISCR)을 방문한 북한 전문가 및 직원들 142

그림 16. (우) 북한 전문가들의 바티칸 박물관 보존실험실 방문 모습 142

그림 17. (좌) 베를린 아시아예술박물관에서 개최된 유네스코/세계유산센터의 〈유네스코 벽화 보존 전문가 워크숍 : 접근, 연구, 보존 워크숍〉 장면 143

그림 18. (우) 베를린 유네스코/세계유산센터 워크숍에 참여/참관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표단 143

그림 19. 수산리 고분의 위치 143

그림 20. 현재 상태의 수산리 고분의 평면도, 종단면도, 횡단면도(북측 시점) 144

그림 21. (상단/좌) 수산리 고분의 천장 모줄임 부분의 석축 구조와 동벽 상단부의 석회질 회칠. 시멘트 제거 과정 144

그림 22. (상단/우) 수산리 고분, 남쪽에서 바라본 널길 입구. 회색 시멘트칠 제거 전 144

그림 23. (하단/좌) 수산리 고분 널방. 북서쪽 모퉁이에서 본 천장 144

그림 24. (하단/우) 북동쪽에서 본 고분의 잔디봉분 모습 144

그림 25. (상단/좌) 수산리 고분 널방 서벽. 보존관리 후 145

그림 26. (상단/우) 수산리 고분 널방 북벽. 보존관리 후 145

그림 27. (하단/좌) 수산리 고분 널방 동벽. 보존관리 후 145

그림 28. (하단/우) 수산리 고분 널방 남벽. 보존관리 후 145

그림 29. (상단/좌) 용해성 내부 결정염으로 인해 소규모 박락된 석회 및 채색층의 표면 147

그림 30. (상단/우) 원본 재료들과 양립할 수 없는 시멘트로 메운 균열, 박락 부위 등 147

그림 31. (중앙/좌) 박락 부위의 시멘트 메움제 제거 전 수산리 고분 북벽 147

그림 32. (중앙/우) 시멘트 제거 후 수산리 고분 북벽 147

그림 33. (하단/좌) 서벽. 무너진 부분을 시멘트로 벽에 다시 붙이고 시멘트, 점토, 일라이트 등으로 메운 상태 147

그림 34. (하단/우) 그림 33의 상세사진. 적절하지 않은 물질들을 제거한 후 적절한 메움제 처리를 위해 준비된 상태 147

그림 35. (좌) (기둥 위 인물 위쪽) 황색 띠에서 흘러내리는 검정색 안료는 아마도 이전의 복원 개입 작업의 결과일 것이다 148

그림 36. (우) 응결수가 녹으면서 아래쪽 영역에 얼룩을 만든 검정색 안료의 침출이 생겼다 148

그림 37. (상단/좌) 벽면에 퍼져 있는 얇은 시멘트층, 색점토와 다른 물질들이 그림들을 은폐하고 있다 149

그림 38. (상단/우) 다른 물질들과 섞인 진흙 퇴적물의 딱딱한 외피층이 수산리 고분 내 벽화의 많은 영역을 덮고 있다 149

그림 39. (하단/좌) 미생물로 인해 생긴 지울 수 없는 보랏빛 원형 얼룩 (사진 중앙) 149

그림 40. (하단/우) 서벽 상층부의 하얀 미생물(악티노마이즈/방선균) 막 149

그림 41. (상단/좌) 보존상태를 확인하여 그래픽 기록을 하기위한 벽화 표면을 조사한다 150

그림 42. (상단/우) 수산리 고분 벽화의 상태에 대한 시공도를 표기 하는 중이다 150

그림 43. (하단/좌) 사광에서 촬영한 사진은 표면 손상도 이해를 용이하게 해 준다 150

그림 44. (하단/우) 보존활동 기간의 모든 절차들에 대한 사진 기록은 매우 중요하다 150

그림 45. (상단/좌) 구성 성분 시료 채취는 벽화 작업 기술을 설정하기 위해 필요하다 151

그림 46. (상단/우) 미생물 시료 채취는 축축한 지하 환경의 오염도를 평가하기 위해 필요하다 151

그림 47. (하단/좌) 2001년 설치된 알루미늄 프레임 유리벽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결과를 낳았다 151

그림 48. (하단/우) 2013년 새 유리벽 설치 장면 151

그림 49. (상단/좌) 압박포(compresses)와 습포제(poultices)를 이용해 수산리 고분 내 채색층 표면에서 딱딱한 비용해성 퇴적물을 제거하려는 시험 작업 153

그림 50. (상단/우) 비용해성의 딱딱한 진흙 외피를 표면에서 제거하기 위해 이온수지를 적용하는 실험 153

그림 51. (하단/좌) 연마 도구를 활용한 건식 세척 (비용해성 퇴적물 제거)은 기술자의 재주에 따라 훌륭한 결과를 가져온다 153

그림 52. (하단/우) 칫솔과 (바베큐 꼬챙이로 쓰이는) 대나무 막대, 면화 탈지면, 스폰지 등을 이용해 표면에서 알 수 없는 물질을 제거하는 모습 153

그림 53. (좌) 수산리 고분 내 벽에서 분리된 회반죽 사이로 계면활성제 혼합용액을 주입하는 장면 154

그림 54. (우) 수산리 고분 내 벽면에서 떨어진 회반죽의 주입 154

그림 55. (하단/좌) 서벽의 북측 상단부의 세부를 찍은 이 사진들은 복원처리의 순서를 보여준다. 벽화 속손상됐던 인물이 판독불가 상태에서배경의 색조가 낮아짐에 따라 명확한 이해가 가능한 상태로 나타난다 154

그림 56. (하단/우) 약수리 고분 내실의 북서벽에서 보이는 미적 표현. 채색층의 가벼운 손실 부위는 어둡게 처리해 배경과 시각적으로 조화되게 함으로써 묘사된 그림들이 선명해지도록 했다 154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