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2018) 대한민국 균형발전 정책박람회 [전자자료] =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policy conference : 발표자료집[분권] / 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대통령소속 자치분권위원회, 국토지리학회,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대한지리학회, 한국갈등학회, 한국거버넌스학회, 한국경제지리학회, 한국경제학회, 한국공간환경학회 [외] 주최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2018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형태사항
1 온라인 자료 : PDF
출처
외부기관 원문
면수
277
제어번호
PAMP1000059299
주기사항
일시: 2018.9.7(금)-9.8(토), 장소:대전컨벤션센터(DCC)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마을만들기 거버넌스의 탐색 : 부산시 산복도로 르네상스 사례들의 비교와 전망 / 장세훈 8

1. 왜 마을 만들기인가? 10

2. 무엇을 볼 것인가? 11

3. 어떻게 볼 것인가? 11

4. 부산의 마을 만들기, 산복도로 르네상스 12

5. 부산의 마을 만들기 14

1) 산리공동체 14

2) 감천문화마을 15

3) 안창호랭이마을 16

6. 되짚어 생각하기 17

참고문헌 18

토건국가의 스케일조정(rescaling)을 통해 본 신발전주의 국가공간 / 김동완 20

발표개요 21

국가공간과 스케일 조정 22

국가공간의 매개변수 22

한국의 발전주의와 국가공간 24

토건국가 발전주의 국가공간의 한 가지 형태 25

한국의 토건국가 25

1990년대 토건국가가 변화한다 26

토건국가의 스케일 조정 rescaling 27

불완전한 지방자치, 기형적 지역 28

신발전주의 국가공간 29

결론 31

풀뿌리자치의 복원방향과 과제 / 이기우 32

Ⅰ. 머리말 33

Ⅱ. 한국에서 기초지방자치의 수난사 34

Ⅲ. 한국의 기초지방자치변천에 대한 평가 40

Ⅳ. 주민자치 법제화에 대한 의견 42

Ⅴ. 맺는 말 46

참고문헌 47

지방분권개헌과 풀뿌리주민자치제도 재설계 / 김찬동 49

Ⅰ. 문제제기 51

Ⅱ. 지방자치권과 주민자치권에 관한 이론적 검토 52

1. 국권과 자치권 그리고 주민주권에 대한 이론적 검토 52

2. 생활자치의 토대로서의 동네자치와 광역화로 인한 커뮤니티 구역자치 53

3. 분석틀 54

Ⅲ. 개헌논의에 나타난 주민자치에 대한 현황과 분석 55

1. 헌법과 지방자치법에 나타난 주민자치에 대한 현황 55

2. 개헌논의과정에 나타나는 주민자치권에 대한 분석 57

3. 주민자치위원회 및 주민자치회에 나타난 비주민자치 58

Ⅳ. 지방분권개헌을 위한 주민자치권에 입각한 지방자치제도의 실질화 59

1. 주민자치권의 권리로서의 헌법조항 59

2. 집합주거단지에 현실적 필요로서 나타나는 자치관리제도 60

3. 읍면동 행정관리구로서의 폐지 및 전면 개혁필요성 62

Ⅴ. 결론 및 제언 64

참고문헌 65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합의형성의 탐색 : 서울시 사례 / 하동현 66

발표의 흐름 67

격차사회(格差社会) 68

지역격차의 개념 68

지역격차의 측정방법 69

지역격차에 대한 선행연구(박승규, 2008 등) 69

지역 불균형의 개념적 논점(豊田 哲也, 2015) 70

지역 불균형의 공간전 문제(安髙, 2014) 70

지역불균형의 지표 71

지역격차 분석 지표(박승규 등, 2008) 71

빈곤/격차의 지표(일본 후생노동성) 72

타치바나키/오타케 논쟁(橘木ㆍ大竹論争) 72

격차의 원인에 대한 논의 73

행복도의 지표 73

지역불균형을 어떻게 살펴볼 것인가? 74

지역격차에 대한 시민들 간의 논의 필요성 74

대도시(서울) 행정의 특징 75

서울시의 지표 76

도쿄도의 지표 77

시민 참여에 의한 공론화 79

정책단게 79

정책과정별 시민참여제도 80

시민참여의 수준 80

참여적 의사결정 방법(공론화) 81

참여형 의사결정방법의 keyword 81

(대표적) 참여적 의사결정 방법 82

참여형 의사결정의 의미 82

어떠한 주제가 논의되었나? 83

안양시 시민참정 기본 조례 84

참여형 의사결정 제도설계 84

참여형 주민조사의 해결 과제 85

2006 강남북 균형발전 서울시민 인식조사 85

2018 지역 균형발전에 대한 서울시민 인식조사 86

1. 서울시 균형 발전의 인식 87

2. 불균형 요소와 대상 지역 87

3. 균형발전 정책수단 88

응답자 통계분석 88

정책분야별 공론화 적합도 평가 89

정책성격별 공론화 적합도 평가 89

시민참여형 조사(공론화)의 유용성 90

서울형 공론화 절차의 도입 90

서울형 공론 모델의 주요 내용 91

서울형 공론화의 실시구조 특징 91

신고리 5, 6호기 공론조사 92

마무리 92

참고문헌 93

지방분권과 균형발전을 위한 정부 간 정책소통 / 박관규 94

지역의 시대, 혁신의 시작 - 거버넌스 담론과 시민문화 사례를 중심으로 / 조광호 100

Ⅰ. 거버넌스 - 지역문화 정책과 현장에서 101

Ⅱ. 시민문화 - 문화도시 사례중심으로 106

Ⅲ. 결언 109

소프트파워의 중요성과 정책 이슈 / 김규찬 110

지역발전의 성공 조건 / 구문모 113

문제의 제기 115

지방 인구의 수도권 이동 요인 116

지방 소도시의 성장 패러다임 변화 117

창의인력과 지역발전 117

창의계층 인력의 개념과 구성 118

창의인력의 유형별 선호환경 119

창의성 접근과 관련한 해외 사례 119

경남 함안 해바라기 마을 120

마을 주민과의 소통과 관용 121

해바라기 경관 축제 123

함안군 현황 124

강주마을의 성과 분석 125

소규모 지역의 개발 이슈 126

캐나다 PEC의 시사점 126

국내외 사례의 시사점 127

우리에게 시사점 127

정책의 방향 : 규모에서 가치로 128

참고문헌 128

행정구역 개편없는 지방분권의 위험성 / 마강래 129

지방자치분권과 국가균형발전 130

지방의 세 가지 의미 131

분권과 균형발전이 맞물릴까? 131

지방의 위기에 즈음해서... 132

줄어드는 인구, 늘어나는 소요예산 133

대도시권화를 부추기는 메가트렌드 134

아직도 성장, 성장, 성장! 135

쇠퇴도시 속초의 시정계획 136

쇠퇴도시 보령시의 장기발전계획 136

쇠퇴도시 군산의 시정계획 137

이상과 현실의 부조화 137

디트로이트 파산 138

유바리 파산 138

시대적 흐름을 반영한 일본의 노력 139

현 정부 노력, 도시재생뉴딜사업 139

일본의 뭉치기 연결하기 전략 140

일본의 행정구역 통합 140

시대적 흐름을 반영한 우리의 노력? 141

뭉치고 연결하기 전략 141

분권을 위한 행정구역의 통합(예시) 142

빅데이타로 살펴 본 지역사회의 물관리 이슈 특성 분석 / 김철민 143

1. 서론 145

2. 빅데이터 분석 방법론 146

3. 실증분석 147

4. 결론 및 시사점 151

스마트 국토를 위한 성찰, 전망, 과제 / 이영성 153

성찰 1. 쇠퇴의 악순환 154

성찰 2. 건강의 쇠퇴와 확산 155

성찰 3. 인구와 일자리의 인과간계 157

성찰 4. 지방정부 공공 선택의 시사점 158

성찰 5. 생산성의 추이 158

성찰 6. 특화 vs. 다양성 159

성찰 7. 결국, 사람이 가장 중요하다 160

전망 1. 와해성 기술의 파괴력 160

전망 2. 소프트웨어 중심사회 161

전망 3. 에너지 혁명 2030(토니세바) 162

전망 4. 자율주행 전기자동차의 폭발력 163

전망 5. 미래 일자리 창출할 산업은? 163

전망 6/전망 4. 신산업의 입지 특성은? 164

전망 7. 산업 입지의 변화 165

전망 8. 남북협력의 시대 166

전망 9. 스마트시티에 대한 이해 168

축적의 시간 : 우리는 무엇을 배웠는가? 170

주변지역과 상생을 위한 혁신도시 시즌2 추진전략 탐색 / 윤정란 171

1. 혁신도시, 지난 10년의 위상 172

2. 혁신도시의 오늘, 당면과제 174

3. 혁신도시, 이후 10년을 위한 전략 176

지방분권시대의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 엄수원 183

01. 지방분권과 균형발전은 필요한가? 185

02. 중앙집권과 지역불균형 격차의 실상 186

03. 지방분권과 지역균형발전 정책동향 192

04. 지방분권과 지역균형발전의 쟁점과 관계성 195

05. 지방분권시대의 지역균형발전 정책과제 198

참고문헌 211

지방자치의 현안과 과제 : 인천과 경기 / 이준한 212

Ⅰ. 지방자치의 역사 213

Ⅱ. 지방자치와 인천의 위상 213

Ⅲ. 인천 지방자치의 현안 215

Ⅳ. 경기 지방자치의 현안 218

지방분권ㆍ균형발전에 대한 권역별 인식 격차에 관한 연구 / 한정택 219

Ⅰ. 서론 220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222

Ⅲ. 지방분권ㆍ균형발전에 대한 권역별 의식조사 분석 227

Ⅳ. 결론 및 분석적 함의 255

참고문헌 258

제주에서 마을공화국 제도화 방안 / 신용인 261

Ⅰ. 들어가며 262

Ⅱ. 마을공화국의 꿈 263

Ⅲ. 마을공화국의 구성원리 266

Ⅳ. 마을공화국의 제도화 방안 270

Ⅴ. 제주에서의 마을공화국을 향한 발걸음 273

Ⅵ. 마치며 275

참고문헌 276

마을만들기 거버넌스의 탐색 : 부산시 산복도로 르네상스 사례들의 비교와 전망 / 장세훈 13

〈표 1〉 산복도로 르네상스 사업 단계별 주요 행위주체들의 역할 13

〈표 2〉 마을 만들기를 둘러싼 사회적 역학관계 및 행위 전략 비교 17

풀뿌리자치의 복원방향과 과제 / 이기우 44

〈표 1〉 기초자치단체 규모의 국제비교 44

〈표 2〉 한국의 기초자치단체와 읍ㆍ면동 규모 45

지역발전의 성공 조건 / 구문모 124

〈표 1〉 함안군 인구 추이 및 분포 124

〈표 2〉 지역발전 요소로서 Florida의 3T와 강주마을 3T비교 125

지방자치의 현안과 과제 : 인천과 경기 / 이준한 214

〈표 1〉 광역시별 각종 규모의 비교 214

지방분권ㆍ균형발전에 대한 권역별 인식 격차에 관한 연구 / 한정택 221

〈표 Ⅰ-1〉 연구 방법 221

〈표 Ⅰ-2〉 권역별 협력 네트워크 구축 계획 221

〈표 Ⅲ-1〉 권역별 응답자 227

〈표 Ⅲ-2〉 이념성향별 응답자 229

〈표 Ⅲ-3〉 지방자치 실시와 지역 발전 230

〈표 Ⅲ-4〉 지방자치/자치분권과 삶의 질 231

〈표 Ⅲ-5〉 지방자치와 지역발전 장애 요인 (복수 응답) 232

〈표 Ⅲ-6〉 지방자치와 자치분권 강화를 위한 우선적 조치(복수 응답) 234

〈표 Ⅲ-7〉 지방자치와 주민 참여 기회 확대 235

〈표 Ⅲ-8〉 권력구조 개편과 지역분권형 개헌 여부 236

〈표 Ⅲ-9〉 지방분권 관련 개헌에 포함되어야 할 우선 순위 238

〈표 Ⅲ-10〉 지방분권형 개헌의 주체 240

〈표 Ⅲ-11〉 중앙-지방 발전 격차 확대에 대한 인식 241

〈표 Ⅲ-12〉 수도권-비수도권 발전 격차 확대 이유 243

〈표 Ⅲ-13〉 지역균형 발전정책 성과 평가 245

〈표 Ⅲ-14〉 정부의 지역균형발전 방향 246

〈표 Ⅲ-15〉 수도권/비수도권-지역 균형발전 방향 평가 교차분석 247

〈표 Ⅲ-16〉 수도권과 비수도권 발전 격차 분야 248

〈표 Ⅲ-17〉 기초의회 정당공천 폐지를 위한 선거법 개정 250

〈표 Ⅲ-18〉 자치구 개편을 통한 구의회 폐지 252

〈표 Ⅲ-19〉/〈표 Ⅲ-20〉 지방자치단체 기관 구성 다양화 253

지역발전의 성공 조건 / 구문모 124

〈그림 1〉 법수면의 행정구역 124

지방분권ㆍ균형발전에 대한 권역별 인식 격차에 관한 연구 / 한정택 228

〈그림 Ⅲ-1〉 연령별 응답자 분포 228

〈그림 Ⅲ-2〉 지방자치 실시와 지역 발전 (권역별) 230

〈그림 Ⅲ-3〉 지방자치/자치분권과 지역주민 삶의 질 (권역별) 231

〈그림 Ⅲ-4〉 지방자치와 지역발전 장애 요인 (권역별) 233

〈그림 Ⅲ-5〉 지방자치와 주민 참여 기회 확대 (권역별) 235

〈그림 Ⅲ-6〉 권력구조 개편과 지역분권형 개헌 여부 (권역별) 237

〈그림 Ⅲ-7〉 지방분권 관련 개헌에 포함되어야 할 우선 순위 (권역별) 239

〈그림 Ⅲ-8〉 수도권-비수도권 발전 격차 확대 (권역별) 242

〈그림 Ⅲ-9〉 수도권-비수도권 발전 격차 확대 이유 (권역별) 243

〈그림 Ⅲ-10〉 지역균형 발전정책 성과 평가 (권역별) 245

〈그림 Ⅲ-11〉 지역균형 발전을 위한 노력 방향 (권역별) 247

〈그림 Ⅲ-12〉 수도권과 비수도권 발전 격차 분야 249

〈그림 Ⅲ-13〉 기초의회 정당공천 폐지를 위한 선거법 개정 (권역별) 251

〈그림 Ⅲ-14〉 자치구 구의회 폐지 주장 (권역별) 252

〈그림 Ⅲ-15〉 지방자치단체 기관 구성 다양화 (권역별) 254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