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제5회) K-CESA 활용 대학생 핵심역량 학술대회 논문집 [전자자료]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주최]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한국직업능력개발원(KRIVET), 2019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형태사항
1 온라인 자료 : PDF
출처
외부기관 원문
면수
324
제어번호
PAMP1000060941
주기사항
일시: 2019.2.14(목) 13:00~18:00, 연세재단 세브란스빌딩 대회의실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모시는 글 / 나영선 3

1부 6

전문대 유아교육과 학생들의 핵심역량 변화에 대한 종단적 연구 -B대학교 유아교육과를 중심으로 / 황지원 7

국문초록 8

Ⅰ. 서론 9

Ⅱ. 이론적 배경 10

Ⅲ. 자료의 활용 및 분석 방법 13

Ⅳ. 분석 결과 17

Ⅴ. 결론 및 제언 32

참고문헌 35

ABSTRACT 36

K-CESA를 활용한 대학생 핵심역량 강화 교육방안 연구 -의사소통 역량 강화를 중심으로 / 이영환;이효인;김용기;송하종 37

국문초록 38

Ⅰ. 서론 39

Ⅱ. K-CESA를 활용한 역량 진단과 분석 40

Ⅲ. 의사소통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방안 43

Ⅳ. 결론 55

참고문헌 59

ABSTRACT 60

액션러닝 기반 간호관리학 실습이 핵심역량(K-CESA)과 팀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박인숙;문영실 61

국문초록 62

Ⅰ. 서론 63

Ⅱ. 이론적 배경 65

Ⅲ. 연구방법 68

Ⅳ. 연구결과 71

Ⅴ. 결론 및 제언 74

참고문헌 75

ABSTRACT 79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 기반 학과 단위 동아리 프로그램 개선 / 이종연;서범종;이길재;길혜지 80

국문초록 81

Ⅰ. 연구의 필요성 82

Ⅱ. 이론적 배경: 동아리 활동 참여의 의미를 중심으로 83

Ⅲ. 연구 방법 85

Ⅳ. 연구 결과 87

Ⅴ. 결론: 학과 단위 동아리 프로그램 개선에 대한 시사점 94

참고문헌 100

토론, 질의응답 102

01. '전문대 유아교육과 학생들의 핵심역량 변화에 대한 종단적 연구'에 대한 토론문 / 이길재 103

02. 'K-CESA를 활용한 대학생 핵심역량 강화 교육방안 연구: 의사소통 역량 강화를 중심으로'에 대한 토론문 / 김대중 105

03. '액션러닝 기반 간호관리학 실습이 핵심역량(K-CESA)과 팀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토론문 / 이수영 106

04.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 기반 학과 단위 동아리 프로그램 개선'에 대한 토론문 / 윤혜준 108

2부 110

잠재계층분석을 통한 대학생 핵심역량(K-CESA) 유형 분류 및 개인 변인에 따른 차이 분석 / 정지영;민경석;김민희 111

국문초록 112

Ⅰ. 서론 113

Ⅱ. 이론적 배경 114

Ⅲ. 연구방법 119

Ⅳ. 연구결과 121

Ⅴ. 논의 및 결론 124

참고문헌 126

ABSTRACT 128

대학생 성격 5요인과 비인지적 핵심역량 및 창의융합역량 간의 관계 분석 / 박지영;한상길;김미성 129

국문초록 130

Ⅰ. 서론 131

Ⅱ. 연구방법 134

Ⅲ. 연구결과 137

Ⅳ. 논의 및 결론 146

참고문헌 149

ABSTRACT 152

한국 바둑의 국제화 및 마인드스포츠를 활용한 스포츠 외교인력 양성을 위한 핵심역량기반 교육훈련프로그램 개발 / 박병근 153

국문초록 154

Ⅰ. 서론 155

Ⅱ. 연구방법 156

Ⅲ. 연구결과 159

Ⅳ. 논의 및 결론 168

참고문헌 169

ABSTRACT 170

튜터링 프로그램 참여 자연계 대학생의 핵심역량특성분석 / 박진희;심화영 171

국문초록 172

Ⅰ. 서론 173

Ⅱ. 이론적 배경 174

Ⅲ. 연구방법 177

Ⅳ. 연구결과 180

Ⅴ. 결론 및 제언 183

참고문헌 184

ABSTRACT 187

토론, 질의응답 188

01. '잠재계층분석을 통한 대학생 핵심역량(K-CESA) 유형 분류 및 개인 변인에 따른 차이 분석'에 대한 토론문 / 이재열 189

02. '대학생 성격 5요인과 비인지적 핵심역량 및 창의융합역량 간의 관계 분석'에 대한 토론문 / 이현정 191

03. '한국 바둑의 국제화 및 마인드스포츠를 활용한 스포츠외교인력 양성을 위한 핵심역량기반 교육훈련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토론문 / 이강주 192

04. '튜터링 프로그램 참여 자연계 대학생의 핵심역량 특성 분석'에 대한 토론문 / 최명원 193

3부 195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대학생의 학습역량이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 김미성;송윤숙;박윤경 196

국문초록 197

Ⅰ. 서론 198

Ⅱ. 연구방법 200

Ⅲ. 결과분석 202

Ⅳ. 결론 및 논의 207

참고문헌 211

핵심역량 진단에 대한 측정학적 특성 연구-자기점검식 설문 도구 개발 및 K-CESA 결과 예측 모형 구축 / 이희원;변상민;박소현 213

국문초록 214

Ⅰ. 연구 목적 215

Ⅱ. 이론적 배경 217

Ⅲ. 연구대상 및 방법 221

Ⅳ. 연구결과 227

Ⅴ. 요약 및 제언 241

참고문헌 243

ABSTRACT 245

토론, 질의응답 246

01. '비교과프로그램 참여 대학생의 학습역량이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토론문 / 민숙원 247

02. '핵심역량 진단에 대한 측정학적 특성 연구: 자기점검식 설문 도구 개발 및 K-CESA 결과 예측 모형 구축'에 대한 토론문 / 김대중 249

학생 부문 251

공학계열 대학생의 핵심역량 특성 분석 / 이정숙;김하얀 252

국문초록 253

Ⅰ. 서론 254

Ⅱ. 이론적 배경 255

Ⅲ. 연구방법 257

Ⅳ. 연구결과 259

Ⅴ/Ⅳ. 결론 277

참고문헌 278

미국과 한국 대학의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비교 분석: 통계학과를 중심으로 / 강윤경;배상영 280

국문초록 281

Ⅰ. 서론 282

Ⅱ. 이론적 배경 283

Ⅲ. 국내외 통계학과 교육과정 292

Ⅳ. 교육과정의 의미연결망 분석 296

Ⅴ. 결론 및 논의 306

참고문헌 307

ABSTRACT 311

[부록 1] 국내ㆍ외 대학 교육과정 비교 312

[부록 2] 국내외 대학의 교과목 비교 정리 315

토론, 질의응답 319

01. '공학계열 대학생의 핵심역량 특성 분석'에 대한 토론문 / 신선미 320

02. '미국과 한국 대학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비교 분석: 통계학과를 중심으로'에 대한 토론문 / 김영식 323

전문대 유아교육과 학생들의 핵심역량 변화에 대한 종단적 연구 -B대학교 유아교육과를 중심으로 / 황지원 11

〈표 1〉 K-CESA 6개 역량의 정의 11

〈표 2〉 K-CESA 활용 4개 역량의 세부영역 정의 12

〈표 3〉 연구대상자 기초통계값(2차년도 참여자 기준) 17

〈표 4〉 연구대상자 기초통계값(졸업자 진로 관련) 17

〈표 5〉 핵심역량 세부영역별 T점수 1-2차년도 비교 18

〈표 6〉 핵심역량 세부영역별 T점수 학년별 비교(2학년) 19

〈표 7〉 핵심역량 세부영역별 T점수 학년별 비교(3학년) 20

〈표 8〉 핵심역량 세부영역별 T점수 대응표본 t 검정 분석 결과(2018학년도 2학년) 21

〈표 9〉 핵심역량 세부영역별 T점수 대응표본 t 검정 분석 결과(2018학년도 3학년) 22

〈표 10〉 핵심역량 세부영역별 T점수 대응표본 t 검정 분석 결과(2018학년도 졸업생) 23

〈표 11〉 핵심역량 세부영역별 T점수 대응표본 t 검정 분석 결과(2018학년도 졸업생 취업자) 25

〈표 12〉 핵심역량 세부영역별 T점수 대응표본 t 검정 분석 결과(2018학년도 졸업생 미취업자) 25

〈표 13〉 핵심역량 세부영역별 T점수 대응표본 t 검정 분석 결과(2018학년도 전공심화과정 진학자) 26

〈표 14〉 핵심역량 세부영역별 T점수 대응표본 t 검정 분석 결과(남학생) 27

〈표 15〉 핵심역량 세부영역별 T점수 대응표본 t 검정 분석 결과(성적 상위권) 28

〈표 16〉 2차년도 역량 점수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종합표(표준화 계수) 30

〈표 17〉 연도 간 역량 증가분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종합표(표준화 계수) 31

K-CESA를 활용한 대학생 핵심역량 강화 교육방안 연구 -의사소통 역량 강화를 중심으로 / 이영환;이효인;김용기;송하종 41

〈표 1〉 의사소통 역량의 구성요인 41

〈표 2〉 2017년 의사소통 역량의 수준별 인원 수 42

〈표 3〉 스무고개 형식의 글쓰기 교육 만족도 49

〈표 4〉 글쓰기 특강의 주차별 내용 50

〈표 5〉 독서와 인문학 토크의 주차별 내용 52

〈표 6〉 의사소통 역량의 개선 정도 56

〈표 7〉 2018학년도 K-CESA 진단 대상자의 구성 57

〈표 8〉 2017학년도 대비 2018학년도 K-CESA 의사소통 역량의 변화 정도 57

〈표 9〉 2017학년도 대비 2018학년도 K-CESA 의사소통 역량의 구성요소별 변화 정도 58

액션러닝 기반 간호관리학 실습이 핵심역량(K-CESA)과 팀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박인숙;문영실 66

〈표 1〉 K-CESA 진단영역 및 구성 요인 66

〈표 2〉 대학생 핵심역량 K-CESA의 문항 구성 70

〈표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동질성 검정 72

〈표 4〉 대상자의 차이 검정 74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 기반 학과 단위 동아리 프로그램 개선 / 이종연;서범종;이길재;길혜지 85

〈표 1〉 핵심역량 진단 참여자(N=37) 85

〈표 2〉 K-CESA의 진단 영역 및 구성 요인 86

〈표 3〉 전국 4년제 인문사회계열과 핵심역량 진단 결과 비교(N=37) 87

〈표 4〉 성별 6가지 핵심역량 진단 결과(T점수) 88

〈표 5〉 학년별 6가지 핵심역량 진단 결과(T점수) 89

〈표 6〉 6가지 핵심역량과 학점 간 상관관계 분석 89

〈표 7〉 성별 6가지 핵심역량의 상세 진단 결과(T점수) 90

〈표 8〉 학년별 6가지 핵심역량의 상세 진단 결과(T점수) 92

〈표 9〉 학생 특성별 핵심역량의 강점과 약점 요약 98

〈표 10〉 동아리 참여 학생별 6가지 핵심역량의 진단 결과(T점수) 99

잠재계층분석을 통한 대학생 핵심역량(K-CESA) 유형 분류 및 개인 변인에 따른 차이 분석 / 정지영;민경석;김민희 120

〈표 1〉 K-CESA의 핵심역량 및 하위영역 120

〈표 2〉 잠재계층분류 기준 비교 결과 121

〈표 3〉 대학생 핵심역량 잠재계층에 따른 역량 평균 및 표준편차 122

〈표 4〉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 핵심역량 계층별 특성 분석 123

대학생 성격 5요인과 비인지적 핵심역량 및 창의융합역량 간의 관계 분석 / 박지영;한상길;김미성 135

〈표 1〉 성격 측정도구와 신뢰도 135

〈표 2〉 K-CESA 진단영역별 평가사항 135

〈표 3〉/〈표 1〉 대학생 Big five에 기초한 성격의 일반적 특성 137

〈표 4〉/〈표 2〉 K-CESA에 기초한 자기관리역량의 일반적 특성 137

〈표 5〉/〈표 3〉 K-CESA에 기초한 대인관계역량의 일반적 특성 138

〈표 6〉/〈표 4〉 창의융합역량의 일반적 특성 138

〈표 7〉/〈표 5〉 Big five에 기초한 성격의 계열별 차이 분석 139

〈표 8〉/〈표 6〉 K-CESA에 기초한 자기관리역량의 계열별 차이 분석 140

〈표 9〉/〈표 7〉 K-CESA에 기초한 대인관계역량의 계열별 차이 분석 141

〈표 10〉/〈표 8〉 창의융합역량의 계열별 차이 분석 142

〈표 11〉/〈표 9〉 K-CESA에 기초한 자기관리능력에 따른 창의융합역량의 차이 분석 143

〈표 12〉/〈표 10〉 K-CESA에 기초한 대인관계능력에 따른 창의융합역량의 차이 분석 143

〈표 13〉/〈표 11〉 Big five에 기초한 성격과 창의융합역량 간의 관계 144

〈표 14〉/〈표 12〉 성격 5요인이 창의융합역량에 미치는 영향력 145

한국 바둑의 국제화 및 마인드스포츠를 활용한 스포츠 외교인력 양성을 위한 핵심역량기반 교육훈련프로그램 개발 / 박병근 157

〈표 1〉 조사 대상자의 특성 157

〈표 2〉 변인의 특성, 활용방향 및 문항구성 157

〈표 3〉 NCS 기반 교육프로그램과 핵심역량과의 연계 163

〈표 4〉 러시아 체스 대학 기본과정 교육프로그램과 핵심역량과의 연계 164

〈표 5〉 러시아 체스 대학 응용과정 교육프로그램과 핵심역량과의 연계 164

〈표 6〉 스포츠외교 인력양성 목적의 교육프로그램과 핵심역량과의 연계 165

〈표 7〉 정신체육학 구조를 기반으로한 교육프로그램과 핵심역량과의 연계 167

튜터링 프로그램 참여 자연계 대학생의 핵심역량특성분석 / 박진희;심화영 177

〈표 1〉 참여 학생 학년, 역할(튜터ㆍ학습자), 성별 기술통계 177

〈표 2〉 진단영역 구성요인과 문항 수 178

〈표 3〉 핵심역량, 학습효과, 튜터링 프로그램 참여율의 기술통계 180

〈표 4〉 변수 간 상관관계(N=48) 181

〈표 5〉 대인관계역량과 자기관리역량의 남녀 집단별 평균비교 182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대학생의 학습역량이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 김미성;송윤숙;박윤경 200

〈표 1〉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N=212) 200

〈표 2〉 대학생 핵심역량(K-CESA) 문항 구성 201

〈표 3〉 LCT-CMB 학습역량 진단도구 문항구성 및 신뢰도 201

〈표 4〉 대학생 핵심역량과 학습역량 기술통계 202

〈표 5〉 비교과 참여자와 비참여자의 K-CESA t검증(n=212) 203

〈표 6〉 비교과 참여자와 비참여자의 LCT-CMB 학습역량 t검증(n=212) 204

〈표 7〉 대학생 핵심역량과 학습역량의 상관관계 205

〈표 8〉 비교과 참여자의 핵심역량 영향요인 206

〈표 9〉 비교과 참여자의 자기관리역량 영향요인 206

〈표 10〉 비교과 참여자의 자원정보기술역량 영향요인 206

〈표 11〉 비교과 참여자의 종합적 사고력 영향요인 207

핵심역량 진단에 대한 측정학적 특성 연구-자기점검식 설문 도구 개발 및 K-CESA 결과 예측 모형 구축 / 이희원;변상민;박소현 216

〈표 1〉 K-CESA 진단도구의 대영역과 구성요인 216

〈표 2〉 연구자별 핵심역량 요소 218

〈표 3〉 대학별 핵심역량 진단도구 219

〈표 4〉 응답자 정보 221

〈표 5〉 자기보고식 설문 영역 및 문항 223

〈표 6〉 자기보고식 설문문항 제작 절차 224

〈표 7〉 커널의 종류 225

〈표 8〉 서울대학교 재학생의 K-CESA t점수 및 수준의 기술통계(N=117) 227

〈표 9〉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에 관한 설문의 기술통계(N=117) 229

〈표 10〉 예측변수 기술통계(N=117) 230

〈표 11〉 서울대학교 학부생의 K-CESA 소영역 및 대영역별 T점수 간 상관계수(N=117) 231

〈표 12〉 대학생 핵심역량에 인식에 관한 설문 문항 간 상관계수(N=117) 233

〈표 13〉 K-CESA 소영역별 수준과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에 관한 설문 문항 간 상관계수(N=117) 235

〈표 14〉 자기관리역량 영역의 수준에 대한 서포트벡터머신의 예측결과(N=117) 236

〈표 15〉 자기관리역량 영역의 수준에 대한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의 예측결과(N=117) 237

〈표 16〉 대인관계역량 영역의 T점수에 대한 선형회귀 분석 결과(N=117) 238

〈표 17〉 대인관계역량 영역의 수준에 대한 서포트벡터머신의 예측결과(N=117) 239

〈표 18〉 대인관계역량 영역의 수준에 대한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의 예측결과(N=117) 239

〈표 19〉 대인관계역량 영역의 T점수에 대한 선형회귀 분석 결과(N=117) 240

공학계열 대학생의 핵심역량 특성 분석 / 이정숙;김하얀 257

〈표 Ⅲ-1〉 응답자 특성 257

〈표 Ⅲ-2〉 K-CESA 구성 258

〈표 Ⅳ-1〉 자기관리 역량 영역별 분산분석 결과 259

〈표 Ⅳ-2〉 대인 관계 역량 영역별 점수 분산분석 결과 260

〈표 Ⅳ-3〉 자원정보기술의 활용 역량 영역별 분산분석 결과 261

〈표 Ⅳ-4〉 자원정보기술의 활용 역량 '자원' 집단 내 차이 분석 결과 261

〈표 Ⅳ-5〉 자원정보기술의 활용 역량 영역 내 기술 집단내 차이 분석 결과 262

〈표 Ⅳ-6〉 자원정보기술의 활용 역량 영역 총점의 집단 내 차이 분석 결과 263

〈표 Ⅳ-7〉 글로벌 역량 영역별 점수 분산분석 결과 264

〈표 Ⅳ-8〉 글로벌 역량 영역 내 타문화 이해 및 수용능력 점수의 집단 내 차이 분석 결과 264

〈표 Ⅳ-9〉 글로벌 역량 영역 내 글로벌화 및 글로벌 경제에 대한 이해 점수의 집단 내 차이 분석 결과 265

〈표 Ⅳ-10〉 글로벌 역량 영역 총점의 집단 내 차이 분석 결과 266

〈표 Ⅳ-11〉 의사소통 역량 영역별 점수 분산분석 결과 267

〈표 Ⅳ-12〉 의사소통 역량 영역 내 쓰기능력 점수의 집단 내 차이 분석 결과 268

〈표 Ⅳ-13〉 의사소통 역량 영역 내 말하기능력 점수의 집단 내 차이 분석 결과 269

〈표 Ⅳ-14〉 의사소통 역량 영역 총점의 집단 내 차이 분석 결과 270

〈표 Ⅳ-15〉 종합적 사고력 영역별 점수 분산분석 결과 271

〈표 Ⅳ-16〉 종합적 사고력 영역 내 분석 능력 점수의 집단 내 차이 분석 결과 272

〈표 Ⅳ-17〉 종합적 사고력 영역 내 추론 능력 점수의 집단 내 차이 분석 결과 273

〈표 Ⅳ-18〉 종합적 사고력 영역 내 평가 능력 점수의 집단 내 차이 분석 결과 274

〈표 Ⅳ-19〉 종합적 사고력 영역 내 대안 능력 점수의 집단 내 차이 분석 결과 275

〈표 Ⅳ-20〉 종합적 사고력 영역 총점의 집단 내 차이 분석 결과 276

미국과 한국 대학의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비교 분석: 통계학과를 중심으로 / 강윤경;배상영 284

〈표 1〉 보유역량(competence) vs. 발휘역량(competency)(김대중, 김소영, 2017) 284

〈표 2〉 고등교육기관 핵심역량 비교(진미석 외, 2011) 286

〈표 3〉 통계학의 연구영역과 세부영역(박정식 외, 2010) 290

〈표 4〉 8가지 분류의 비수학적 과목(Higgins, 1999) 291

〈표 5〉 통계학과의 연구영역과 세부영역(재정의) 291

〈표 6〉 고려대학교 통계학과 과정 구분 292

〈표 7〉 연세대학교 응용통계학과 교육과정 293

〈표 8〉 하버드 대학교 통계학과 교육과정 294

〈표 9〉 스탠포드 대학교 수학 및 수리과학 교육과정 295

〈표 10〉 하버드 대학교 통계학과 교육과정 298

〈표 11〉 한국 대학과 미국 대학의 연결중심성 분석 결과 300

〈표 12〉 매개중심성 분석결과 302

〈표 13〉 한국 대학과 미국 대학의 매개중심성 분석결과 303

〈표 14〉 클리스터 분석결과 305

전문대 유아교육과 학생들의 핵심역량 변화에 대한 종단적 연구 -B대학교 유아교육과를 중심으로 / 황지원 15

[그림 1] 연구 설계 및 분석 대상 개요 15

K-CESA를 활용한 대학생 핵심역량 강화 교육방안 연구 -의사소통 역량 강화를 중심으로 / 이영환;이효인;김용기;송하종 40

[그림 1] 2017년 핵심역량 수준별 현황 40

[그림 2] 타 대학과의 핵심역량 비교 41

[그림 3] 2017년 의사소통 역량의 구성요인 측정 결과 42

[그림 4] 2016년 대비 2017년 의사소통 역량 수준 현황 42

[그림 5] 글쓰기 특강의 만족도 51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 기반 학과 단위 동아리 프로그램 개선 / 이종연;서범종;이길재;길혜지 86

[그림 1] 본 연구의 수행 절차 86

[그림 2] E학과 학생들의 핵심역량에 관한 대표적인 프로파일 93

[그림 3] C대학교 E학과의 교육목표 94

[그림 4] E학과 학생들의 6가지 핵심역량의 T점수 분포(전체) 96

[그림 5] 6가지 핵심역량의 T점수 분포(좌: 성별, 우: 학년별) 97

잠재계층분석을 통한 대학생 핵심역량(K-CESA) 유형 분류 및 개인 변인에 따른 차이 분석 / 정지영;민경석;김민희 119

[그림 1] K-CESA 영역별 역량 수준 분포 119

[그림 2] 대학생 핵심역량 잠재계층 분류 122

한국 바둑의 국제화 및 마인드스포츠를 활용한 스포츠 외교인력 양성을 위한 핵심역량기반 교육훈련프로그램 개발 / 박병근 159

[그림 1] 자기관리역량 159

[그림 2] 대인관계역량영역 160

[그림 3] 자원, 정보 기술 활용역량 160

[그림 4] 글로벌 역량 영역 161

[그림 5] 의사소통 역량 영역 162

[그림 6] 종합적 사고역량 영역 162

핵심역량 진단에 대한 측정학적 특성 연구-자기점검식 설문 도구 개발 및 K-CESA 결과 예측 모형 구축 / 이희원;변상민;박소현 238

[그림 1] K-CESA 자기관리역량 영역의 T점수와 선형모형의 예측값 간의 산점도 238

[그림 2] K-CESA 대인관계역량 영역의 T점수와 선형모형의 예측값 간의 산점도 241

미국과 한국 대학의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비교 분석: 통계학과를 중심으로 / 강윤경;배상영 299

[그림 1] 전체 교육과정의 네트워크 맵 299

[그림 2] 한국 대학의 네트워크맵 301

[그림 3] 미국 대학의 네트워크맵 301

[그림 4] 클리스터 분석 304

[그림 5] 한국 대학의 클리스터 305

[그림 6] 미국 대학의 클리스터 305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