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지]

인사말 / 박광온

인사말 / 정재호

인사말 / 김현정

인사말 / 신필균

목차

발제 1. 한국사회의 대전환과 노동운동의 역할 / 이정우 11

발제 2. 사회적연대를 통한 사회대개혁 : 스웨덴의 경험과 한국에 대한 함의 / 조돈문 29

I. 노동계급이 만든 나라 스웨덴 ⇔ 노동계급이 배제된 나라 한국 30

1. 스웨덴 : 경제적 효율성 & 사회통합 동시 구현 30

2. 평등하지도 공정하지도 않은 한국 31

II. 스웨덴 노동계급의 계급형성 & 정치세력화 성공 33

1. 스웨덴 노동계급의 계급형성과 노사관계 33

2. 노동계급 정치세력화 성공과 사민당의 장기집권 34

III. 스웨덴 모델 : 노동계급이 만든 나라 35

1. 사민당정부와 거시경제 재정 정책 패러다임 : 렌-마이드너 모델 35

2. 노동-농민 계급동맹으로 수립한 보편주의 복지국가 35

3. 노동-중간 계급연대로 수립한 경제민주주의와 노동-자본의 공생 37

IV. 스웨덴 노동시장 내 노동과 자본의 공존·상생 : 관리된 유연성과 적극적 노동시장정책 39

1. 황금삼각형과 노동시장의 유연성-안정성 균형 39

2. 관리된 유연성과 비정규직 노동자 보호 40

3. 적극적 노동시장정책과 고용안정성 40

4. 노사 자율 경제위기 대응 : 2008-09년 & 2014년 위기협약 41

V. 촛불 항쟁 & 정치적 기회구조 변화 43

1. 신자유주의 & 촛불항쟁의 위력 43

2. 문재인정부 소득주도성장 전략 폐기 & 노동정책 후퇴 46

3. 노동-자본의 공존·상생 & 자본의 전략적 선택 48

VI. 사회진보를 위한 노동운동의 과제 & 사회적 연대 50

1. 사회적 연대를 통한 사회진보 50

2. 노동계급 계급형성 과제 : 계급이익 대변 & 계급내 사회적 연대 51

3. 노동계급 헤게모니 과제 : 사회 보편이익 & 계급간 사회적 연대 53

토론 1. 노동운동의 사회대개혁 전략 / 이주희 55

I. 배경 56

II. 진단 56

III. 제안 57

토론 2. / 이창곤(내용없음) 59

토론 3. 민주노총의 사회연대운동 관련 토론문 / 이주호 60

1. 발표문에 대한 코멘트 61

2. 사회연대운동? 61

3. 사회연대를 둘러싼 논의지형 62

4. 민주노총의 사회연대 실천 62

1) 개요 62

2) 주요 실천 사례(지난 5월 29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발표) 63

3) 초기업 교섭 활성화를 통한 사회연대 모색 64

5. 민주노총의 향후 과제 66

1) 2020년 전태일 50주기, 민주노총 25주년 사업 준비 66

2) 사회공공성사업단에 이어 사회연대위원회 재정비, 활동 본격화 66

3) 경사노위 참여-불참 논쟁을 넘어 사회적 교섭, 초기업교섭과 투쟁, 사회연대운동모색 67

토론 4. 사회 대개혁을 위한 심포지엄 "한국사회 대전환과 노동운동의 역할을 모색한다" 토론문 / 황선자 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