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개회사 / 홍장표 5

개회사 / 강현수 7

축사 / 성경륭 10

축사 / 황덕순 11

[기조발제] 건축물 그린뉴딜의 의의와 과제 / 변창흠 12

Ⅰ. 왜 '그린뉴딜'인가? 14

Ⅱ. 건축물 그린뉴딜 추진과제 17

Ⅲ. 기대효과 및 향후 과제 29

[발표 1] 노후 공공건축물 제로모델링 확장 가능성과 일자리 창출 방안 / 이명주 32

1. 그린리모델링의 필요성 34

2. 제로모델링의 정의 및 방법 44

3. 생활 SOC 2.0 비젼과 전략 49

4. 정책 제안 52

5. 일자리 창출 방안 55

[발표 2] 공공임대주택의 선제적 투자와 그린리모델링 민간시장의 조성 / 이후빈;이치주 60

1. 맥락적 설명 62

전환적 뉴딜, 그린 뉴딜 그리고 전략적 재정투자 62

그린리모델링의 다양한 사회경제적 효과 63

그린리모델링에서 주택이 중요한 이유 63

2. 그린리모델링의 활성화 조건 64

그린리모델링의 시장 실패 64

그린리모델링의 정부 실패 66

그린리모델링의 가능성 67

그린리모델링 활성화 전략 67

3. 공공임대주택을 통한 선제적 투자 68

공공임대주택의 전략적 의미 68

노후 공공임대주택 현황 70

그린리모델링 추진방안 70

4. 그린리모델링의 일자리 창출 72

일자리의 질적 측면 72

새로운 에너지진단업 73

오래된 건설업 74

일자리 창출 전략 76

참고문헌 76

[발표 3] 건물 에너지효율 사업 활성화를 위한 추진과제 / 이성인 77

Ⅰ. 건물 에너지소비, 건물 노후화 및 에너지성능 개선 잠재력 79

1. 국내 건물 에너지소비 현황 및 특징 79

2/1. 국내 건출물 현황 80

3/2. 국내 건축물 단열기준 81

4/3. 국내 건축물 노후화 82

Ⅱ. 국내외 건물 에너지성능 개선을 위한 에너지효율 시책 84

1. 국내 건축물에너지관리 제도 현황 84

2. European Green Deal 85

3. 건물 리노베이션 추진 전략(EU) 86

4. 추진방향(EPBD, EU) 87

5. 주요 선진국 노후건물 리모델링 지원 유사 제도 87

Ⅲ. 노후건물 에너지성능 개선을 위한 정책 추진과제 88

1. 건물 에너지효율 투자를 저해하는 장애요인 88

2. 건물 에너지효율 거버넌스 구축 및 정책패키지 수단 89

3. 노후건물 에너지효율 투자 활성화를 위한 정책 패키지 89

4. 요약 및 맺음말 91

[참고 1] 건물 에너지효율 개선 효과 92

[참고 2] 건물 에너지효율 향상과 고용 창출 93

[참고 3] 건물 에너지효율 우선순위 및 정책패키지 93

[참고 4] 에너지효율관리 서비스 플랫폼 94

[종합토론 1] (제목없음) / 이유진 96

3중 위기에 대응하는 그린 뉴딜 96

기후 대응 녹색건물 도시 97

가꿈 주택과 동네 경제 99

가꿈 주택과 데이터 + 디지털 결합 99

스마트 에너지 시티 - 스마트시티(+에너지) 100

녹색 건물 그린 뉴딜 내용과 평가 100

[종합토론 2] (제목없음) / 김병권 101

1. 2008년 그린뉴딜(녹색성장)과 2020년 그린뉴딜 101

2. 그린 리모델링의 특징 102

3. 해외 그린리모델링 정책의 특징 103

4. 도시재생의 차기 진화 버전으로서 '그린 리모델링' 104

[참고] 정의당의 그린 리모델링 정책 예시 105

[종합토론 3] (제목없음) / 김상문 106

[종합토론 4] (제목없음) / 김성보 110

1. 서울시 건축물 리모델링 관련 사업현황 110

2. 그린리모델링 사업추진의 필요성 113

3. 개선방향 115

[종합토론 5] (제목없음) / 정진석 117

1. 서론 : 건축물 리모델링의 필요성 117

2. 그린리모델링 활성화 부진의 원인 117

3. 그린리모델링의 설계/시공 기술 118

4. 그린리모델링 활성화를 위한 민ㆍ관 협력 방안 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