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몰정보
소속
직위
직업
활동분야
주기
서지
국회도서관 서비스 이용에 대한 안내를 해드립니다.
검색결과 (전체 1건)
원문 있는 자료 (1) 열기
원문 아이콘이 없는 경우 국회도서관 방문 시 책자로 이용 가능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6
제1절 문제제기 및 의의 6
제2절 선행연구 검토 8
제3절 연구 방법 13
제2장 이론적 배경 15
제1절 축제 15
1. 축제의 개념 15
2. 축제의 기원 16
3. 축제의 의미 17
제2절 축제기획과 콘텐츠화 21
1. 축제기획 21
2. 문화기호학적 방법론 24
제3장 구체적 사례 29
제1절 한국의 전통주 관련 축제 29
1. 경주 한국의 술과 떡 축제 29
2. 포천 ‘대한민국 술 축제’ 40
제2절 프랑스의 Cidre & Dragon 축제 45
1. 프랑스의 Cidre 45
2. 축제 개최의 논의와 목적 46
3. 축제 내용 47
4. 평가 53
제4장 의성 사과주 축제이벤트 콘텐츠 기획 54
제1절 문화원형의 리서치 단계 55
1. 문화원형 리서치 55
2. 유사콘텐츠 분석 68
제2절 문화콘텐츠의 컨셉 설계 단계 85
1. 문화트렌드와 소비자 라이프스타일 85
2. 콘텐츠 컨셉의 포지셔닝 90
제3절 축제이벤트 콘텐츠 기획 단계 95
1. 홍보 동영상 제작 95
2. 교룡 출현의 알림 96
3. 교룡 출현의 이유 점치기 96
4. 헤나문신 97
5. 제사음식 만들기 97
6. 뱀과 까마귀의 싸움 98
7. 사과주 담그기 98
8. 천제(天祭) 99
9. 의미생성모델로 미리 보는 의성 사과주 축제 100
제5장 결론 102
참고문헌 105
ABSTRACT 109
〈표1-1〉 지역축제의 효과 7
〈표1-2〉 연도별 대표적 문화관광축제 11
〈표1-3〉 문화관광축제 실행조직 전문가 유무 변화현황 12
〈표2-1〉 축제기간과 일상적 삶의 이항대립 19
〈표2-2〉 전통적 축제와 스펙타클화된 축제 20
〈표2-3〉 축제콘텐츠 기획을 위한 스토리텔링 단계 24
〈표2-4〉 문화콘텐츠 기획 프로세스 27
〈표3-1〉 경주 한국의 술과 떡 축제 1회-5회 축제 개요 31
〈표3-2〉 경주 한국의 술과 떡 잔치 2005 주요 행사 내용 33
〈표3-3〉 경주 한국의 술과 떡 잔치 2006 주요 행사 내용 35
〈표3-4〉 경주 한국의 술과 떡 잔치 2007 주요 행사 내용 37
〈표3-5〉 제1회 2005 대한민국 술 축제 주요 행사 내용 42
〈표3-6〉 제2회 2005 대한민국 술 축제 주요 행사 내용 43
〈표4-1〉 축제 주 소재와의 연관성 유무에 따른 2006 경주 한국의 술과 떡 축제 개별콘텐츠 분류 69
〈표4-2〉 경주 한국의 술과 떡 잔치 2006, 2007 관광객 인적 특징 71
〈표4-3〉 방문객의 참여기회제공 여부에 따른 2006 경주 한국의 술과 떡 축제 개별콘텐츠 분류 72
〈표4-4〉 교육적 성격에 따른 2006 경주 한국의 술과 떡 축제 개별콘텐츠 분류 74
〈표4-5〉 축제 주 소재와의 연관성 유무에 따른 2006 포천 대한민국 술 축제 이벤트콘텐츠 분류 76
〈표4-6〉 방문객의 참여기회제공 여부에 따른 2006 포천 대한민국 술 축제 이벤트콘텐츠 분류 77
〈표4-7〉 교육적 성격에 따른 2006 포천 대한민국 술 축제 이벤트콘텐츠 분류 77
〈표4-8〉 주요행동별 시간활용 변화 86
[그림 2-1] 문화콘텐츠 컨셉설계를 위한 의미생성모델 28
[그림 3-1] 2006 Cidre & Dragon 축제 포스터 47
[그림 4-1] 2006 Cidre & Dragon 축제의 의미생성모델 82
[그림 4-1] 인터넷 이용에 따른 일상생활 소요 시간의 변화 88
[그림 4-3] 의성 사과주 축제의 의미생성모델 101
초록보기 더보기
In Korea, countless local festivals are held each year. The matter of fact is that only few festivals succeed in receiving attention and positive remarks from the public.Others just vanish, fading away in silence. Such can be attributed to the ignorance of the underlying cultural traits. Local festivals are oftentimes merely intended to invigorate the local economy, no more and no less. As local festivals can be regarded as a Cultural Content, the priority must be placed on their development and the implicit value therein. Cultural values turn out to be better off in terms of competitiveness if originality, potentiality and applications are properly measured. That said, local festivals may produce a fruitful outcome only if the originality such as inherent characteristics, history and culture of the region is excavated. Thereafter,selected items must be refined into a competitive Cultural Content to anticipate favorable outcome. Thus far, researches on Cultural Content were focused primarily on contentization of literature, excavation and development of original forms of culture.Excavation and development of cultural origins are the foundations to processing these into Cultural Content, a base work for the evolution of Cultural Content industry. Some claim that numerous original cultural forms are limited as to the subjects, or, that these cannot be redirected to an industrial application. However, this produce should employ a Cultural Content Methodology to be remodeled into distributable content in the days ahead. As such, the studies of Cultural Content play a significant role at this level. Also, the involvement of culture experts in local festivals falls short in supply,and a great number, if not all, of festival organizers who take on the role of experts are not armed with theoretical backing. Without doubt, the government is attempting to facilitate a vast array of training projects to the public-sector workers to reinforce the culture sector along with increased sponsor of local events. Despite such efforts,there is a lot of room to improve in order to meet the demands of this era. This research suggests to employ ‘storytelling’ and a methodology of Semiology of Culture which are the key-models Festival Event Content. This research also has set a hypothesis based on the analysis of similar content and consumer’s trend subsequent to the research of culture origins in accordance with the procedure of Cultural Content planning as suggested in the Semiology of Culture. The background setting is the Samhan era with Gyungsangbuk-do Uiseong as its location. Concerning the theme, this research has selected ‘Jaechon’ ceremony as its storytelling source in a cohesive manner. Also, the targeted audience consists of those in their 20s and 30s plus family visitors who have an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history and fantasy. In addition, this research has attempted to stimulate active involvement of visitors by combining performance content with inter-active content. This is the so called Festival Event Content.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since it deals only with the planning of Festival Event Content. Planning a festival or event in details involves issues of budget, number of host, sponsorship and support, estimated number of visitors, venue,time and so forth. Therefore, the specifics of the plan may be subject to modification,and such elements must be taken into account to host the Apple-wine festival which is the ultimate objective.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 표시는 필수사항 입니다.
* 주의: 국회도서관 이용자 모두에게 공유서재로 서비스 됩니다.
저장 되었습니다.
로그인을 하시려면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모바일 간편 열람증으로 입실한 경우 회원가입을 해야합니다.
공용 PC이므로 한번 더 로그인 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이디 또는 비밀번호를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