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삼베 수의에 관한 연구 / 이수혜 인기도
발행사항
부산 : 신라대학교 대학원, 2011.8
청구기호
TD 646.3 -11-139
형태사항
viii, 205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150934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신라대학교 대학원, 의류학, 2011.8. 지도교수: 이자연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5

1. 연구목적 15

2. 연구방법 및 연구내용 20

1) 연구방법 20

2) 연구내용 21

II. 상·장례와 수의에 관한 고찰 23

1. 상·장례의 개념과 변천 23

1) 상·장례의 개념 23

2) 상·장례의 변천 24

2. 수의의 개념과 품목 42

1) 수의의 개념 42

2) 수의의 품목 50

III. 삼베 수의의 고찰과 특성 82

1. 삼베 수의의 역사적 고찰 82

1) 삼국·통일신라시대 83

2) 고려시대 88

3) 조선시대 93

2. 생산지별 삼베의 특성 104

1) 지역적 특성 104

2) 생산과정 117

3) 지역별 삼베 특성 131

IV. 삼베수의의 인식 현황 141

1. 연구 설계 141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141

2) 연구가설 및 연구 모형 143

3) 설문지 문항구성 145

4) 자료 분석 방법 147

2. 분석 및 결과 148

1)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48

2) 수의 인식과 삼베 인식의 영향 관계 150

3) 삼베인식과 내세관 및 장례방식의 영향 관계 156

4) 수의 선택시 인식조사 160

V. 삼베 특성분석 167

1. 수의 소재 168

2. 인열강도 특성 170

1) 시험편 준비 171

2) 실험절차 171

3) 결과 및 고찰 172

3. 방매도 특성 173

1) 실험 준비 173

2) 실험절차 174

3) 결과 및 고찰 174

4. 항균성 특성 176

1) 실험 준비 177

2) 실험절차 178

3) 결과 및 고찰 181

VI. 결론 193

참고문헌 199

ABSTRACT 207

부록 211

[표 1] 연도별 화장률 변화추이 (보건 복지부 보도자료) 16

[표 2] 시대별 장례 방식과 특징의 변화 37

[표 3] 전통 장례절차와 현대 간소화된 장례절차의 비교 38

[표 4] 현대 장례 절차 40

[표 5] 문헌에 사용된 수의 품목 52

[표 6] 두식류(頭飾類) 56

[표 7] 표의(表衣) 60

[표 8] 저고리[유] 61

[표 9] 바지[袴] 64

[표 10] 대(帶) 67

[표 11] 수의(手衣)·족의(足衣) 68

[표 12] 두식류(頭飾衣) 73

[표 13] 표의(表衣) 74

[표 14] 저고리[유] 75

[표 15] 치마와 속바지 76

[표 16] 대[帶] 77

[표 17] 수의(手衣)·족의(足衣) 78

[표 18] 『三國史記』의 삼베 사용 83

[표 19] 『高麗史』에 기록된 삼베에 관한 내용 88

[표 20] 『高麗史節要』에 기록된 삼베에 관한 내용 91

[표 21] 『朝鮮王朝實錄』에 기록된 삼베에 관한 내용 93

[표 22] 안동지역 대마 생산 현황 109

[표 23] 보성군 대마재배 현황 111

[표 24] 보성군 대마 생산량 111

[표 25] 보성 대마 생산량 112

[표 26] 남해지역 삼(대마) 재배지 현황 113

[표 27] 삼재배지 생산 환경 115

[표 28] 생산과정 비교 130

[표 29] 안동포의 장단점 132

[표 30] 보성포의 장단점 134

[표 31] 남해포의 장단점 136

[표 32] 우리나라 길쌈 비교 137

[표 33] 설문조사 대상자 142

[표 34] 가설 144

[표 35] 수의의 인식에 관한 설문지 문항구성 146

[표 36] 삼베의 인식에 관한 설문지 문항구성 146

[표 37] 내세관 유형과 선호 장례 방식에 관한 설문지 문항구성 147

[표 38] 응답자의 일반적 사항 149

[표 39] 가설 1 150

[표 40] 수의의 관념성이 삼베인식에 미치는 영향 검증(가설 1) 151

[표 41] 가설 2 153

[표 42] 수의의 재료와 디자인에 대한 인식이 삼베인식에 미치는 영향 153

[표 43] 가설 3 155

[표 44] 수의가격에 대한 인식이 삼베인식에 미치는 영향 검증 155

[표 45] 가설 4 157

[표 46] 내세관 유형에 따른 삼베 인식의 차이검증 157

[표 47] 종교에 따른 내세관유형 차이 158

[표 48] 가설 5 159

[표 49] 수의 기타사항 인식의 빈도분석 159

[표 50] 수의 기타사항 인식의 빈도분석 161

[표 51] 수의 판매자 인식조사 164

[표 52] 수의 소재 직물 구입 정보 168

[표 53] 기본 특성 조사 172

[표 54] 방매도 판정 기준 174

[표 55] 시약과 조제방법 178

[표 56] 천연 안동포의 시험 결과 182

[표 57] 염색 안동포의 시험결과 183

[표 58] 보성포의 시험결과 184

[표 59] 남해포의 시험결과 185

[표 60] 중국산 수제직의 시험결과 186

[표 61] 중국산 기계직의 시험결과 187

[표 62] 명주의 시험결과 188

[표 63] 인견의 시험결과 189

[표 64] 광목의 시험결과 190

[그림 1] 연구의 흐름도 21

[그림 2] 1527년 옥산서원본 (보물 제525호) 29

[그림 3] 현행 판매되는 남자수의 품목 54

[그림 4] 두식류(頭飾類) 55

[그림 5] 표의(表衣) 58

[그림 6] 저고리류[유] 59

[그림 7] 바지류[袴] 63

[그림 8] 소품류 1 66

[그림 9] 소품류 2 66

[그림 10] 현행 판매되는 여자 수의품목들 70

[그림 11] 여자 수의 품목 72

[그림 12] 고구려 고분벽화 대안리 1호분 벽화 -베 짜는 여인- 87

[그림 13] 경상남도 삼베 원단 수출입현황 114

[그림 14] 생산 공정 과정 117

[그림 15] 다 자란 삼과 삼 가꾸기 모습 118

[그림 16] 재래식 삼 찌기 119

[그림 17] 삼 말리기 120

[그림 18] 겉껍질 벗기기 121

[그림 19] 계추리 바래기 122

[그림 20] 삼 째기 123

[그림 21] 삼 삼기 124

[그림 22] 매내삼기와 곱비벼 삼기 124

[그림 23] 베 날기 125

[그림 24] 양잿물 삼기 126

[그림 25] 바디에 실 끼우기 127

[그림 26] 베매기 128

[그림 27] 전통 베틀 129

[그림 28] 현대적 베틀 129

[그림 29] 지리적 표시 등록증과 특산품 표시 133

[그림 30] 안동포 복제 방지 홀로그램 133

[그림 31] 연구 모형 145

[그림 32] 삼베 수의 디자인 162

[그림 33] 시료별 곰팡이 배양 결과 175

[그림 34] 18시간 대조편의 황색포도상 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과 폐렴균(Klebsiella pneumoniae ATCC 4352) 181

[그림 35] 천연안동포의 황색 포도상 구균과 폐렴균 182

[그림 36] 염색안동포의 황색 포도상 구균과 폐렴균 183

[그림 37] 보성포의 황색 포도상 구균과 폐렴균 184

[그림 38] 남해포의 황색 포도상 구균과 폐렴균 185

[그림 39] 중국산 수제직의 황색포도상 구균과 폐렴균 186

[그림 40] 중국산 기계직의 황색포도상 구균과 폐렴균 187

[그림 41] 명주의 황색포도상 구균과 폐렴균 188

[그림 42] 인견의 황색포도상 구균과 폐렴균 189

[그림 43] 광목의 황색포도상 구균과 폐렴균 190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는 현재 수의(수衣)의 재료로 가장 선호되고 있고, 수의 착용 당사자에 의해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고 있는 삼베 수의의 역사성과 근원을 밝힘으로써 삼베 수의의 전통성을 고찰하고, 국내의 대표적인 전통 삼베 생산지의 자연환경과 지역적 특성·생산과정·지역별 삼베 특성 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향후 삼베가 수의 소재로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아울러 삼베 수의의 인식현황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현대에 적합한 수의 디자인을 제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며, 보관 측면에서 삼베 수의의 적합성을 검증함으로써 올바른 수의 문화를 이해하는데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문헌 연구과 실증 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 연구를 위하여 『三國史記』·『高麗史』·『朝鮮王朝實錄』·『四禮便覽』·『朱子家禮』등의 사서류(史書類), 개인문집류, 복식사(服飾史)와 민속학 관련 서적·논문·보고서, 박물관 전시도록, 인터넷 자료 등을 참고하였다. 실증 연구를 위하여 우리나라 20세 이상 성인 남녀 451명을 대상으로 2010년 10월 15일부터 10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통계처리는 빈도분석, 다중회귀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였다. 또한 'KOTITI 한국섬유기술연구소'에 의뢰하여 삼베의 인열강도, 방매도, 항균성 등을 실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리 민족은 망자를 대하는 태도에 따라 산자의 길흉화복이 달라질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에 망자에게 최대한 예의를 갖추려고 하였다. 우리나라의 전통상례는 주자가례에 의한 유교적 의례가 주를 이루는 가운데 불교와 민간신앙 요소도 공존하였으며, 근대초기에는 기독교로 대표되는 서구 문화가 도입됨으로써 장례 및 제사 절차에 많은 변화가 초래되었다. 특히 일제강점기의 경제적 어려움, 1973년 개정 발표된 '가정의례준칙'의 시행, 장례식장 문화에 병원의 도입 등으로 인해 장례절차와 복식·의식은 편의적 측면에서도 더욱 간소화되었다. 그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예의와 법도를 존중하는 우리 민족 고유의 정신은 계승되어 수의에 반영되어 왔다.

상·장례문화는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계승되는 경향을 보이는데,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가장 보편적인 수의 재료는 삼베로써 삼베는 평상복·상복(喪服)·진상품·조공품·하사품·교역품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면서 그 역사를 이어왔다.

우리 민족은 죽어서도 삶이 이어지거나 새로운 삶을 산다는 내세관을 가지고 있으므로 생시에 입던 옷을 수의로 쓰거나 새롭게 지은 옷을 수의로 사용하였다. 이처럼 삼베가 평소 서민들이 즐겨 사용했던 소재이고, 수의로 평상시 입던 옷을 사용하였다는 점에서 삼베 수의의 전통이 일제 강점기가 아닌 그 이전부터 이어져왔다고 생각된다.

전통적인 방법으로 현재까지 생산되고 있는 우리나라 삼베의 생산지별 지역적 특성과 생산 과정, 지역별 삼베의 특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에서는 청동기시대부터 삼베가 생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삼베의 재료가 되는 대마 수확에는 기온·강우량·바람·토질·파종·수확시기 등이 영향을 미치는데 국내 삼베 생산지는 모두 이러한 대마 생육조건에 대체로 적합하였다. 지역별 생산과정에 따라 최종 생산되는 삼베의 품질과 특성에 차이가 있는데, 안동포의 경우 겉껍질을 벗기고 속껍질을 이용하며 양잿물을 이용한 탈색 과정을 거치치 않으므로 다른 지역의 삼베보다 노랗고 결이 고운 삼베가 만들어지는 특징이 있다. 각 지역은 삼베를 특산품으로 개발하거나 복제방지를 위한 홀로그램을 부착하는 등 삼베의 대중화와 경쟁력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수의는 착용자 본인이 준비하기도 하고 가족이나 후손들에 의해 준비되기도 하는데, 대개 구매 당사자가 직접 착용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실제로 구매한 사람의 장례관과 내세관이 수의의 구입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실구매자의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수의에 대한 인식이 수의의 재료로써 삼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알아보고, 내세관 및 장례방식에 따른 삼베 인식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수의에 대한 인식 중 관념성이 삼베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수의의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수의의 재료로써 삼베를 인식하고 삼베의 특성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의의 재료와 디자인에 대한 인식이 삼베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수의의 재료에 따른 기능 차이가 있다고 생각할수록 삼베의 특성을 잘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은 삼베가 수의로써 적합성이 우수하다고 인식하고 있고, 황금문양수의라는 고급 디자인을 선호하면서도 삼베를 수의의 소재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은 과거에 비해 삼베를 고급 직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수의 가격에 대한 인식이 삼베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적당한 가격대이거나 저렴하다면 수의 재료로 삼베가 적합하고 삼베를 고려하겠다는 인식이 높게 조사되었다. 삼베 특성에 대한 인식이나 현대 수의로 삼베가 적합하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해서는 내세관 유형이 천당/연옥/지옥형인 응답자가 수의의 소재로 삼베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선호하는 장례 방식이 매장인 소비자층이 삼베 수의를 고려하는 비율이 높았는데, 이는 매장을 선호하는 사람은 풍수지리사상과 더불어 사체를 훼손해서는 안된다는 유교적인 사고와 효사상이 결부되어 있기 때문으로 이해된다. 수의를 선택할 때의 인식조사 결과, 구매자는 삼베가 수의로 가장 적합하고 국내산이면서 옷감 본래의 색을 가지고 있는 수의를 선호하였다. 판매자 또한 삼베가 수의로 가장 적합하다고 하였는데, 그 이유로는 항균작용이 탁월하고 수의로써 적합하기 때문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에서 삼베는 수의의 소재로 가장 선호되고 있으며, 삼베 자체가 가지고 있는 기능성과 적합성이 우수하다고 인식을 하고 있기 때문에 가격이 적당하다면 삼베를 수의 소재로 구입할 의사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삼베 수의가 보관하기에 위생적이고 적합한 소재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생산된 안동포·남해포·보성포, 그리고 중국산 삼베·명주·광목·인견 등을 비교 분석한 결과, 인열강도와 항균성은 모든 종류의 삼베 시료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성포와 남해포의 인열강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익냉이 길쌈으로 겉껍질까지 사용하기 때문으로 짐작 된다. 방매도 실험결과 9개의 소재 모두 천연 재료이므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모두 곰팡이 균에 취약하였다. 항균성 실험 결과 삼베는 모두 항균성이 뛰어나서 변색·착색·취화에 강함으로 수의를 보관함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인식에 관한 설문 조사 대상을 부산 지역 거주자로 한정했기 때문에 설문의 결과가 타 지역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삼베와 다른 수의 시료간의 관능검사를 통해 다양한 방법으로 선호도를 연구하고, 지역 경제 발전의 측면에서 지역 삼베 산업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아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16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家禮考證』 미소장
2 『家禮諺解』 미소장
3 『家禮源流』 미소장
4 『家禮輯覽』 미소장
5 『家禮增解』 미소장
6 『國朝五禮儀』 미소장
7 『高麗史』 미소장
8 『高麗史節要』 미소장
9 『四禮便覽』 미소장
10 『三國史記』 미소장
11 『喪禮備要』 미소장
12 『常變通攷』 미소장
13 『隨書』 미소장
14 『承政院日記』 미소장
15 『鄭文公愼終錄』 미소장
16 『朝鮮王朝實錄』 미소장
17 『周書』 미소장
18 『周易』 미소장
19 『朱子家禮』 미소장
20 『增補文獻備考』 미소장
21 『冊府元龜』 미소장
22 『靑莊館全書』 미소장
23 『忠武公愼終錄』 미소장
24 국사 편찬 위원회,『상장례, 삶과 죽음의 방정식』, 두산 동아, 2005. 미소장
25 『國朝五禮儀』, 민창 문화사, 1994. 미소장
26 『최신 섬유소재학』, 문운당, 1998. 미소장
27 습복식의 디자인에 관한 연구 소장
28 『꼭 알아야할 관혼상제 백과』,하서출판사, 2000. 미소장
29 『알기 쉬운 冠婚喪祭』, 2002. 미소장
30 『朝鮮裁縫全書』, 민속원, 1925. 미소장
31 『국역 주자가례』, 성균관, 2005. 미소장
32 『조선의 관혼상제: 북한의 우리역사 연구 알기 6』, 사회과학원저, 2002. 미소장
33 『우리민족의 삶과 죽음』. 1993. 미소장
34 『상장 의례학』, 시그마프레스, 2002. 미소장
35 『수의 만들기』, 우리 출판사, 2007. 미소장
36 『다비와 사리』, 서울: 대원사, 2001. 미소장
37 『관혼상제와 그 뿌리』, 東信出版社, 2008. 미소장
38 서울대학교 규장각,『奎章閣韓國本圖書觧題-經子部』, 保景文化史, 1993. 미소장
39 『韓國復飾史』, 주식회사寶晉齊, 1971. 미소장
40 『우리가 꼭 알아야 할 관혼상제』, 신라출판사, 2010. 미소장
41 『한국의 상례: 한국인의 생사관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 한길사, 2010. 미소장
42 『한국사연구』, 서울이대출판사, 1997. 미소장
43 『가정의례법령해설』, 남문각, 1973. 미소장
44 『전통관혼상제』, 한국전통의례연구회, 2006. 미소장
45 『韓國의 壽衣文化: 조선시대 壽衣에 대한 역사적 고찰』, 도서출판 신유, 2002. 미소장
46 『수의 문화와 구성』, 도서출판 경춘사, 2006. 미소장
47 『꼭 알아야 할 관혼상제백과』, 하서출판사, 2000. 미소장
48 『역주 삼국사기』4 주석편(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미소장
49 『섬유작물』, 서울:부민출판사, p. 47. 미소장
50 『한국상장례』, 미진사, 1990. 미소장
51 『재미있는 사례편람 이야기』, 해인출판사, 2010. 미소장
52 『被服衛生學』,형설출판사, 1997. 미소장
53 『韓國復飾風俗硏究』, 一志社, 1988. 미소장
54 『韓國의 壽衣文化: 현대사회의 바람직한 수의문화』, 도서출판신유, 2002. 미소장
55 『중학교 사회1 교사용지도서』, (주)금성출판사, 2005. 미소장
56 『선비와 피어싱』, 동아시아, 2003. 미소장
57 『주자가례』, 예문서원, 1999. 미소장
58 『최신 가정보감』, 홍신문화사, 1995. 미소장
59 편집부 편,『관혼상제 家庭儀禮百科』, 根永出版社, 2007. 미소장
60 편집부 엮음,『현대 冠婚喪祭』, 필문당, 2008. 미소장
61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 민속문화 대백과사전』권17, 1999. 미소장
62 『한국근대사연구』, 조선문화사, 1899. 미소장
63 민속조사에 나타난 수의의 과거, 현황과 과제 소장
64 Research on Hemp Fabrics Produced at Boseong 소장
65 한국 상·장례 변천에 따른 현대 수의문화 연구 소장
66 허브 추출액을 이용한 직물의 염색성 및 항균성 소장
67 安東布의 歷史 소장
68 襲服飾의 디자인에 관한 硏究 소장
69 慶北 安東 大麻織布에 관한 硏究 : 安東市를 中心으로 소장
70 가정의례준칙이 현행 상례에 미친 영향 소장
71 Changes of Contemporary Korean Funeral Rites 소장
72 현대 도시공간의 상장례 문화 소장
73 조선시대 조대의 형태적 특징과 제작법에 관한 연구 소장
74 색채 배색을 통한 안동포 제품디자인 개발과 실용화 연구 소장
75 慶北 安東 大麻織布에 관한 硏究 : 安東市를 中心으로 소장
76 전통수의에 관한 연구 소장
77 The Vision of 21C Funeral Cultures 네이버 미소장
78 우리나라 수의와 그 착의법에 관한 연구 소장
79 대마섬유 직물의 반복 세탁에 따른 고차구조 및 역학적 특성의 변화 : 국산·중국산 대마섬유 직물을 중심으로 소장
80 우암 송시열의 상장례에 관한 연구 : 「초산일기」를 중심으로 소장
81 A Study on Shroud Construction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in Funeral Culture : Focused on Daegu Region 네이버 미소장
82 수의 마련 풍속의 전승양상 : 안동시 임하면 고곡마을을 중심으로 소장
83 『조선전반기 출토복식 연구』,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미소장
84 15~18세기 출토직물 분석을 통한 조선시대 섬유산업 연구 소장
85 A Study of the regulation olicy actual state on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Cannabis offence 네이버 미소장
86 우리나라 壽衣에 관한 硏究 : 現行 壽衣를 中心으로 소장
87 『조선 초 중기 여산 송씨 출토복식 허리끈의 구조 분석』, 부산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09. 미소장
88 17세기 초기 상례기록을 통해본 조선시대 여자 복식 소장
89 壽衣에 나타난 來世觀에 관한 연구 소장
90 Article : The Flora of Namhae Koon 네이버 미소장
91 「文獻에 나타난 襚衣와 現行襚衣와의 比較硏究」,『服飾』39, 1998. 미소장
92 「한국수의의 문헌적 고찰」,『服食』-(17), 1991. 미소장
93 『염습의: 안동김씨 분묘 발굴 조사 보고서』, 온양 민속 박물관, 1989. 미소장
94 A Study on Desirable Shroud Construction in Modern Funeral Culture 소장
95 「상장례문화의 변화에 따른 수의연구」,『韓服文化』8(6), 2000. 미소장
96 『韓國의 壽衣文化: 조선시대 수의에 대한 역사적 고찰』, 도서출판 신유, 2002. 미소장
97 조선시대 직령 연구 소장
98 『한국인의 내세관과 사회 성격 심리학적 요인과의 관계』, 창원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06. 미소장
99 「健全葬墓모델개발 및 실천방안」,『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8. 미소장
100 수의의 지역별 실태와 특성에 관한 연구 : 광주·전남지역을 중심으로 소장
101 광주·전남지역 수의에 관한 실태 조사 소장
102 喪禮儀式과 襲服에 關한 考察 소장
103 壽衣 에 關한 硏究 소장
104 직물문화와 가락바퀴(紡錘車) 소장
105 「남해삼베의 역사를 찾아서」, 남해삼베 활성화 심포지엄, 삼베테마마을 조성사업단, 2008. 미소장
106 『제주도 농촌사회 상례문화의 특성과 변화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미소장
107 현행수의의 실태 및 문제점 소장
108 조선시대 출토복식 중 포류(袍類)에 사용된 직물유형 연구 소장
109 장례식장 운영실태 분석 및 발전방향 : 동대문구·구로구·강동구·서대문구·성북구를 중심으로 소장
110 A social structural analysis on the reason we die "differently" in modern society 네이버 미소장
111 Antibacterial Activity of chitosan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네이버 미소장
112 우리나라 수의에 관한 연구 소장
113 경기 박물관,『이승에서의 마지막 치장』, feelcom, 2011. 미소장
114 경기 박물관,『출토복식 명품선: 김확의 묘』, 나인애드, 2008. 미소장
115 문화재청, 「자연문화재지도: 천연기념물,명승,사적및명승」,『문화재청』, 2000. 미소장
116 사단법인 한국장례업협회,『장례식장명부』, 2010. 미소장
117 溫陽民俗博物館,『安東金氏墳墓發掘調査報告書』, 1989. 미소장
118 안동대학교 박물관,『안동 정하동 유적』, 안동대학교 출판부, 2000. 미소장
119 안동대학교 박물관,『안동 안막동 분묘군 발굴조사 약보고서』, 안동대학교 출판부, 1998. 미소장
120 전라남도지 편찬위원회,『전라남도지』제3권, 1984. 미소장
121 충북대학교 박물관,『한성부 판윤 김원택 묘역: 청송 심씨 출토복식』, 2006. 미소장
122 문화재청,「자연문화재지도:천연기념물,명승,사적및명승」,『문화재청』, 2000. 미소장
123 김영신,「‘보물섬 남해 삼베마을’ 관광명소 예감」, 경남도민일보, 2008. 3. 31. 미소장
124 동아일보,「家庭儀禮준칙, 宣布」, 1969. 3. 5. 미소장
125 로동신문,「조선의 관혼상제: 북한의 우리역사 바로 알기」, 1995. 1. 29. 미소장
126 문예인,「보성 삼베 명품화 청신호」,시티 저널, 2009, 10, 19.http://www.gocj.net/news. 미소장
127 보건복지부 보도자료,「장례방법 중 화장(火葬) 선호 비율 80% 육박」,www.mohw.go.kr 미소장
128 안영옥, 「‘전통 삼찌기 구경오세요’」,강원도민일보, 2009. 7. 30 미소장
129 임정환 ,「'삼베 알아 둡시다'」, 대전일보, 2006. 08. 29. 미소장
130 정안수,「보성 삼껍질 벗기기 막바지 작업」, 한국뉴스, 2010, 8, 16.http://www.fntoday.co.kr 미소장
131 가화 한지수의 http://www.hanjisui.com. 미소장
132 국가표준인증종합정보센터 http://www.standard.go.kr. 미소장
133 보건복지부 보도자료(2011) http://www.mohw.go.kr. 미소장
134 보건복지부, 정보 법령자료 http://www.mohw.go.kr , 2011년 5월 11일 검색 미소장
135 서울대학교 규장각 홈페이지 http://kyujanggak.snu.ac.kr. 미소장
136 국가표준 인증 종합센타 http://www.standard.go.kr. 미소장
137 김영악수의, 전남 순천시 풍덕동 1278-16 (3/4) 미소장
138 길쌈수의 http://www.gilssam.net. 미소장
139 남해군청 홈페이지 http://www.namhae.go.kr. 미소장
140 남해삼베마을 http://www.nhsambe.com. 미소장
141 남해역사연구회 http://www.nhistory.kr. 미소장
142 명신수의 http://mssambe.com. 미소장
143 명품금장수의 http://www.sambe100.co.kr. 미소장
144 보물섬 남해 삼베마을홈페이지 http://shop.nhsambe.com. 미소장
145 보성군청 http://www.boseong.go.kr. 미소장
146 보성군농업기술센터 http://boseong.jares.go.kr. 미소장
147 보성삼베닷컴 http://www.bshemp.co.kr. 미소장
148 보성농업협동조합 http://www.boseongnonghyup.com. 미소장
149 삼베닷컴 http://www.andongsambe.com. 미소장
150 시티저널,「보성삼베 명품화 청신호」, 2009년 10월 19일자 http://www.gocj.net. 미소장
151 안동삼베닷컴 http://www.andongsambe.com. 미소장
152 안동시 홈페이지 통계연보자료(2008) http://www.andong.go.kr. 미소장
153 안동포 정보화마을 홈페이지 http://andongpo.invil.org. 미소장
154 안동황금수의 http://www.goldsui.com. 미소장
155 이은주, 유교문화지도,「안동포의 생산」http://www.ugyo.net. 미소장
156 파이낸스투데이 http://www.fntoday.co.kr. 미소장
157 하루의 국산수의 http://www.harueui.com. 미소장
158 한국무역협회 홈페이지 http://www.kita.net. 미소장
159 KOTITI 한국섬유기술 연구소 Korea, Textile Inspection Et Testing Institute:http://kotiti.re.kr. 미소장
160 한국지질자원 연구원 http://www.kigam.re.kr. 미소장
161 함창명주 허씨비단직물 http://hcsilk.oranc.co.kr. 미소장
162 허씨 비단 직물 http://hcsilk.oranc.co.kr. 미소장
163 법제처,『가정의례 준칙에 관한법률』법률 제2604호, 1973. 3.13 전부개정, 시행1973. 6. 1. 미소장
164 남해군, 신활력 「보물섬 삼베테마마을조성」, 남해군 2009 주요업무 자체평가결과, 2010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