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최정순 한글 디자인의 연구 : 국정교과서체와 문화부바탕체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 손민지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3.8
청구기호
TM 741.6 -13-287
형태사항
127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355980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홍익대학교 대학원, 시각디자인과, 2013.8. 지도교수: 장동련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간추린글

얼개그림

목차

시작 글 14

1. 연구 배경 및 목적 14

2. 연구 범위 및 방법 15

3. 용어 정의 16

1. 한글 글꼴 디자이너로서의 최정순 18

1.1. 최정순의 삶 18

1.1.1. 초년기 18

1.1.2. 중년기 21

1.1.3. 말년기 23

1.2. 한글디자이너들이 본 최정순 27

1.2.1. 문화부바탕체 개발에 함께 힘쓰다_ 이기성 〈한국전자출판학회〉 명예회장 27

1.2.2. 장인정신을 말하다_ 박한수 〈파주활판공방〉 실장 28

1.2.3. 한글디자이너로서 최정순_ 임진욱 〈타이포디자인연구소〉 소장 30

2. 최정순 한글 글꼴의 시작 33

2.1. 한글 글꼴의 역사적 변천 33

2.2. 최정순 한글 글꼴의 시대적 배경 39

3. 최정순의 한글 글꼴의 변천과정 43

3.1. 국정교과서체 43

3.2. 평화당서체 45

3.3. 신문용서체 47

3.4. 문화부 바탕체 50

4. 최정순 한글 글꼴의 비교 분석 53

4.1. 형태적 비교 분석 57

4.1.1. 첫닿자 57

4.1.2. 홀자 61

4.1.3. 받침글자 65

4.2. 구조적 비교 분석 69

4.2.1. 조합규칙 69

4.2.2. 공간 75

4.2.3. 비례 75

5. 최정순 한글 글꼴이 디지털 글꼴에 미친 영향 79

5.1. 최정순 한글 글꼴과 디지털 글꼴 비교 분석 81

문화부바탕체, SM신명조체, 윤명조체 - 가/다/자 81

문화부바탕체, SM신명조체, 윤명조체 - 서/이/하 83

문화부바탕체, SM신명조체, 윤명조체 - 수/로/보 85

문화부바탕체, SM신명조체, 윤명조체 - 는/용/을 87

문화부바탕체, SM신명조체, 윤명조체 - 야/에/여 89

문화부바탕체, SM신명조체, 윤명조체 - 각/면/련 91

문화부바탕체, SM신명조체, 윤명조체 - 잦/컴/램 93

문화부바탕체, SM신명조체, 윤명조체 - 퓨/균/였 95

문화부바탕체, SM신명조체, 윤명조체 - 의/화/된 97

문화부바탕체, SM신명조체, 윤명조체 - 궐/원/윙 99

5.2. 디지털 시대 한글 글꼴에 미친 영향 101

맺음 글 105

1. 결론 105

2. 연구의 한계 및 제언 107

참고문헌 109

부록 112

부록 1. (제목없음) 112

부록 2. (제목없음) 121

abstract 127

〈표 1-1〉 최정순 연표 20

〈표 4-1〉 글꼴의 형태적 분석표 54

〈표 4-2〉 조합규칙 비교표 55

〈표 4-3〉 글꼴의 구조적 분석표 56

〈그림 1-1〉 최정순의 작업실 18

〈그림 1-2〉 2008년 11월, 강연 중인 최정순 18

〈그림 1-3〉 최정순의 습자용 책자 견본서체 25

〈그림 1-4〉 최정순의 습자용 성경서체 25

〈그림 1-5〉 1909년 백학성체 25

〈그림 2-1〉 훈민정음원보목판글자체 34

〈그림 2-2〉 동국정운 전용 나무활자체 34

〈그림 2-3〉 홍무정운전용 나무활자체 35

〈그림 2-4〉 오륜행실도 나무활자체 35

〈그림 2-5〉 최지혁체 37

〈그림 2-6〉 한성주보 새활자체 37

〈그림 2-7〉 최정순체 38

〈그림 2-8〉 최정호체 38

〈그림 2-9〉 네이버, 나눔고딕과 나눔명조 39

〈그림 2-10〉 GS방송전용서체 39

〈그림 2-11〉 삼성인쇄소 활자체, 설계자 미상 40

〈그림 2-12〉 공병우 3벌 타자기체 40

〈그림 2-13〉 1976년 조영제 탈네모틀 글자 시안 41

〈그림 2-14〉 1977년 탈네모틀 글자 시안 41

〈그림 2-15〉 1985년 안상수체 42

〈그림 2-16〉 1990년 금누리체 42

〈그림 3-1〉 1958년 초등학교 교과서 조각활자본 44

〈그림 3-2〉 1966년 초등학교 교과서 조각활자본 44

〈그림 3-3〉 1965년 국정교과서 사회생활 44

〈그림 3-4〉 1973년 국정교과서 도덕 44

〈그림 3-5〉 1960년 〈나의 취미는 고독이다〉의 평화당 인쇄소 활자체 45

〈그림 3-6〉 평화당 인쇄소 활자체 46

〈그림 3-7〉 우리말큰사전 수집 46

〈그림 3-8〉 1936년 8월 13일자 조선중앙일보 48

〈그림 3-9〉 1965년 9월 22일 중앙일보 창간 48

〈그림 3-10〉 1965년 〈중앙일보〉 신문용 조각활자 48

〈그림 3-11〉 1984년 4월 2일 동아일보 49

〈그림 3-12〉 1984년 11월 1일 경향신문 49

〈그림 3-13〉 1985년 서울신문 전자시스템용 활자체 49

〈그림 3-14〉 기존 교과서의 본문 서체 50

〈그림 3-15〉 새로 개발된 교과서의 본문 서체 50

〈그림 3-16〉 최정순의 교과서용 한글 표준 활자 51

〈그림 3-17〉 문화부 개발 표준 문화부바탕체(1991년 제1차년도 교과서 본문용 한글 글자본) 51

〈그림 4-1〉 첫닿자 'ㅇ'의 상투 비교 57

〈그림 4-2〉 첫닿자의 ㄱ/ㅅ/ㄴ/ㄹ/ㅇ/ㅎ 58

〈그림 4-3〉 첫닿자의 ㅁ/ㅂ/ㅈ/ㅋ/ㅌ/ㅍ 59

〈그림 4-4〉 홀자의 기둥/보/이음보 61

〈그림 4-5〉 홀자의 ㅏ/ㅑ/ㅓ/ㅕ 62

〈그림 4-6〉 홀자의 ㅗ/ㅛ/ㅜ/ㅠ/ㅘ 63

〈그림 4-7〉 받침글자의 ㄱ/ㄴ/ㄹ/ㅇ/ㅎ/ㅁ 66

〈그림 4-8〉 받침글자의 ㅂ/ㅌ/ㅆ/ㄴㅎ/ 썩임모임꼴 'ㄴ' 67

〈그림 4-9〉 모임꼴에 따른 'ㄱ'의 비교 70

〈그림 4-10〉 모임꼴에 따른 'ㄹ'의 비교 71

〈그림 4-11〉 모임꼴에 따른 'ㅁ'의 비교 72

〈그림 4-12〉 모임꼴에 따른 'ㅅ'의 비교 73

〈그림 4-13〉 모임꼴에 따른 'ㅇ'의 비교 74

〈그림 4-14〉 바/도/있/를/뻐/째의 속공간 76

〈그림 4-15〉 마/라/좋/를/한/관의 공간비례 77

〈그림 5-1〉 겹쳐보기 80

〈그림 5-2〉 낱글자 분석 80

〈그림 5-3〉 문화부바탕체, SM신명조체, 윤명조체 겹쳐보기 - 가/다/자 81

〈그림 5-4〉 문화부바탕체, SM신명조체, 윤명조체 - 가/다/자 82

〈그림 5-5〉 문화부바탕체, SM신명조체, 윤명조체 겹쳐보기 - 서/이/하 83

〈그림 5-6〉 문화부바탕체, SM신명조체, 윤명조체 - 서/이/하 84

〈그림 5-7〉 문화부바탕체, SM신명조체, 윤명조체 겹쳐보기 - 수/로/보 85

〈그림 5-8〉 문화부바탕체, SM신명조체, 윤명조체 - 수/로/보 86

〈그림 5-9〉 문화부바탕체, SM신명조체, 윤명조체 겹쳐보기 - 는/용/을 87

〈그림 5-10〉 문화부바탕체, SM신명조체, 윤명조체 - 는/용/을 88

〈그림 5-11〉 문화부바탕체, SM신명조체, 윤명조체 겹쳐보기 - 야/에/여 89

〈그림 5-12〉 문화부바탕체, SM신명조체, 윤명조체 - 야/에/여 90

〈그림 5-13〉 문화부바탕체, SM신명조체, 윤명조체 겹쳐보기 - 각/면/련 91

〈그림 5-14〉 문화부바탕체, SM신명조체, 윤명조체 - 각/면/련 92

〈그림 5-15〉 문화부바탕체, SM신명조체, 윤명조체 겹쳐보기 - 잦/컴/램 93

〈그림 5-16〉 문화부바탕체, SM신명조체, 윤명조체 - 잦/컴/램 94

〈그림 5-17〉 문화부바탕체, SM신명조체, 윤명조체 겹쳐보기 - 퓨/균/였 95

〈그림 5-18〉 문화부바탕체, SM신명조체, 윤명조체 - 퓨/균/였 96

〈그림 5-19〉 문화부바탕체, SM신명조체, 윤명조체 겹쳐보기 - 의/화/된 97

〈그림 5-20〉 문화부바탕체, SM신명조체, 윤명조체 - 의/화/된 98

〈그림 5-21〉 문화부바탕체, SM신명조체, 윤명조체 겹쳐보기 - 궐/원/윙 99

〈그림 5-22〉 문화부바탕체, SM신명조체, 윤명조체 - 궐/원/윙 100

〈그림 5-23〉 최정순 한글 글꼴과 디지털 글꼴 비교 101

〈그림 5-24〉 국정교과서체, SM신명조체, 윤명조체 비교 102

〈그림 5-25〉 문화부바탕체, SM신명조체, 윤명조체 비교 103

초록보기 더보기

이 논문은 최정순 한글디자인에 대한 연구 논문이다. 최정순은 한글 글꼴의 역사 중에서 제 3기 새활자 시대(1864~1949) 후기에 태어나 제 4기 원도활자 시대(1950~1980년대)부터 제 5기 디지털 시대(1990~현재)까지 한글 글꼴 개발자로 활약했다. 한글 글꼴을 개발하기 위한 기본적인 환경이 갖추어지지 못한 열악한 조건 속에서 최정순은 1956년 국정교과서체, 1992년 교과서용 문화부 바탕체, 다수의 신문서체 등 많은 한글 글꼴을 개발하였다.

최정순 한글디자인의 연구에 앞서서 1장에서는 최정순의 삶을 통해 그의 서체 개발자로서의 장인정신을 알리고 현재 한글디자이너의 면담을 통해 한글 글꼴 디자이너로서 최정순을 알아본다. 2장에서는 한글 글꼴 변화 역사를 문헌자료를 통해 시대별로 그 특징을 살펴본다.

특히 최정순이 활발히 활동했던 원도활자 시대를 크게 도입 보급기(1950~1959), 원도 개발기(1960~1979), 기술 개발기(1980~1990)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195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최정순이 개발한 시기에 따라 1954년 국정교과서체, 1956년 평화당서체, 1960~1985년 다수의 신문용서체, 1992년 문화부바탕체를 알아보았다. 4장에서는 최정순이 원도개발의 기본이 되었다고 주장하는 1909년 백학성체와 1950, 1960년 국정교과서체, 1992년 문화부바탕체를 중심으로 첫닿자, 홀자, 받침글자의 형태적 특성으로 비교 분석하고 조합규칙, 공간과 비례의 구조적 특성을 비교 분석했다. 5장에서는 최정순 한글 글꼴이 디지털 글꼴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고자 최정순의 한글 글꼴인 문화부바탕체와 SM신명조체와 윤명조체의 형태적 특성을 비교 분석했다. 이 연구를 통해 최정순의 생애에 대해 정리하고 미래의 디지털 시대 글꼴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자 했다.

최정순의 한글 글꼴은 국정교과서체, 문화부바탕체, 다수의 신문용서체를 개발하면서 한글 글꼴의 조형적 토대를 만드는 데 기여했다. 연구자가 1909년 백학성체, 1950~1960년 최정순의 국정교과서체와 1990년 문화부바탕체를 형태적으로 비교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점차 형태적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먼저, 백학성체에 비해 부리, 상투, 귀, 맺음 부분이 국정교과서체가 더욱 변별성이 있고 간결하다. 둘째, 백학성체에 비해 최정순의 국정교과서체는 세로줄기보다 가로줄기가 가늘다. 셋째, 국정교과서체의 닿자, 홀자, 받침의 비례, 크기, 위치가 조정되어 균형과 공간 안배가 안정적이다. 예로 첫닿자의 크기가 백학성체보다 크다. 그리고 닿자 'ㅇ' 'ㅁ'의 경우 정원이나 정각이 아닌 타원이나 직각이 많다. 각 낱자들이서로 떨어져 있어 가독성이 뛰어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국정교과서체와 문화부바탕체를 비교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구조적인 기본 바탕은 같지만 발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첫째, 삐침, 이음보의 기울기가 국정교과서체는 직선으로 꺽였지만 문화부바탕체는 곡선으로 부드럽다. 둘째, 첫닿자나 받침이 'ㅈ' 'ㅊ'의 경우 국정교과서체는 꺾임지읒을 사용하고 문화부바탕체로 오면서 갈래지읒을 사용한다. 셋째로 첫부리, 꼭짓점, 상투, 맺음 부분이 더 세밀하고 날카롭다. 특히 1992년대 문화부바탕체는, 동시대 서체의 기준을 마련해 한글 글꼴의 기본형을 만드는 데 큰 기여를 했다.

오늘날 한글 글꼴을 개발하는 함에 있어 초기 한글 글꼴의 형태적 기반을 닦은, 최정순의 한글 글꼴을 돌아보는 일은 의미 있는 작업이 될 것이다. 연구자는 최정순의 생애와 그가 개발한 한글 글꼴의 종류와 그 형태적·구조적 특성을 비교 분석했다. 최정순의 한글 글꼴을 돌아보는 작업이 앞으로의 디지털 글꼴의 질적, 양적 성장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