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통합형 어미 '-습니다'류의 통시적 형성과 형태 분석 / 정언학 1
I. 서론 1
II. '-습니다'류의 사적 형성 4
III. 청자 높임 '-이-'의 분석 문제와 '-습-'의 이형태 22
IV. 결론 31
참고문헌 36
〈초록〉 38
〈Abstract〉 39
이 글에서 ‘습니다’의 형성은 ‘-??이다 > -??이다 > -??다 > -?늬다 > -습니다’의 변화 과정을 통하여 형성된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습니다’의 연원을 ‘-??니이다’에 두는 논의는 성립하기 어렵다고 보았다. ‘-?니-’가 ‘-?-’로 축약된다고 보는 것은 ‘ㄴ’ 탈락을 음운론적으로 설명할 수 없다. 또한 개화기에 ‘??니다’와 ‘??다’가 공존하므로 전자에서 후자로 바뀌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마찬가지 논리로 ‘-?더니이다’에서 ‘습디다’로의 변화를 설명하는 것은 어렵고 ‘-?더이다’에서 ‘습디다’로의 변화로 설명해야 한다고 보았다.
한편, ‘-습니다, -습디다, -리다’ 등에서 청자 높임의 ‘-이-’는 통시적 정보를 이용해 분석할 수 있을 뿐이지, 공시적으로는 분석될 수 없다고 보았다. 분석할 형태론적 근거가 없는 것이다. 그리고 현대 국어에서 확인되는 ‘-습-’의 이형태를 재분류해 보면 단일형의 ‘-삽/사오/잡/자오/오/으오-’ 및 중가형으로 ‘-사옵/자옵/옵/으옵-’이 있는데 이들은 의고체로서 한 계열이 된다. 중가형은 ‘-사오/자오/으오/오-’에 ‘-ㅂ-’이 재통합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하였다. 다른 한 계열로 구어체에서는 ‘-습/ㅂ-’(평서형, 의문형) 및 ‘-(으)ㅂ-’(청유형, 명령형)이 한 계열이 되는데, 이는 ‘-습/읍/ㅂ-’으로 간단히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두 계열의 구분은 ‘-습-’의 이형태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으로서 국어 교육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nsists that ‘-s?pnita’ has been formed through the process such as '-s?pn?ita > -s?pn?yita > -s?pn?yta > -s?pn?yta > -s?pnita'. However, it disagrees with the opinion which asserts that ‘-s?pnita’ was developed from ‘-s?pn?niita' because the deletion of 'n' in the change of '-n?ni-' > '-*n?y-' cannot be explained in the phonological viewpoint. Furthermore, '-s?pn?nita' and '-s?pn?yta' coexisted in the period of about 20th century, therefore it is untenable that '-s?pn?nita' changed to '-s?pn?yta'. In the same manner, it is difficult to explain the process such as '-s?pt?niita' to '-s?ptita'. Thus we should explain the change such as '-s?pt?ita > -s?ptita'.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교육과정, 수업, 평가에 대한 새로운 이해 :대화, 구성 공간, 그리고 탐구 | 윤준채 | pp.1-24 |
|
보기 |
국어과 교육내용 적정성에 대한 연구 | 송현정 | pp.25-55 |
|
보기 |
道德的 人間 育成과 國語 能力 | 方仁泰 | pp.57-77 |
|
보기 |
국어과 평가의 반성과 탐색 | 최미숙 | pp.79-105 |
|
보기 |
글쓰기에서의 내용 지식에 대한 개념 규정 | 서수현 | pp.107-128 |
|
보기 |
논술고사의 성격 및 타당성 고찰 | 이병민 | pp.129-162 |
|
보기 |
언어영재성 판별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 ,1 :평가 준거 및 기준 산출을 위한 이론적 검토 | 최지현 ;이충우 ;이정숙 | pp.163-195 |
|
보기 |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in India :an overview | Neerja Singh | pp.197-214 |
|
보기 |
남한과 북한의 언어 문화에 관한 고찰 | 이주행 | pp.215-244 |
|
보기 |
20세기 언어 연구에서의 주요 쟁점에 대하여 | 전정례 | pp.245-274 |
|
보기 |
신조 감탄사 및 의성어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박철주 | pp.275-315 |
|
보기 |
통합형 어미 '-습니다'류의 통시적 형성과 형태 분석 | 정언학 | pp.317-356 |
|
보기 |
副詞形 語尾 '-게' 構成의 統辭·意味 機能에 대하여 | 李潤夏 | pp.357-403 |
|
보기 |
'비유' 를 통한 자아 탐색하기, 그 통합적 교육 방안 | 한귀은 | pp.405-435 |
|
보기 |
김수영 시에 나타난 '탈식민적 언어'의 양가성 | 배개화 | pp.437-468 |
|
보기 |
현대 고부갈등 해결을 위한 <우렁색시>의 문학치료적 가능성 탐색 :영화 <올가미>, mbc <현장기록: 사람잡은 시집살이>와의 비교를 통하여 | 서은아 | pp.469-500 |
|
보기 |
다중결연구조의 양상과 의미 :<창란호연록> <청백운> <임화정연>을 중심으로 | 조광국 | pp.501-527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영욱, (1995) 문법형태의 역사적 연구, 박이정 | 미소장 |
2 | 서정목, (19881994) 한국어 청자 대우 등금의 형태론적 해석 에 재록, | 미소장 |
3 | 서정목, (19901994) 한국어 청자 대우 등금의 형태론적 해석 에 재록, | 미소장 |
4 | 서정목, (1994) 국어 통사 구조 연구Ⅰ, 서강대학교 출판부 | 미소장 |
5 | 서정목, (2001) 현대국어 ‘오오체’ 어미의 형태론적 해석, | 미소장 |
6 | 서태룡, (1993) 문법형태소의 중가와 기본의미의 중가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연구회 편 문학과 지성사, | 미소장 |
7 | 국어 대우법의 통시적 이해 | 소장 |
8 | 이승욱, (1973) 국어문법 체계의 사적 연구, 일조각 | 미소장 |
9 | 이승희, (2004) 국어의 청자높임법에 대한 통시적 연구, | 미소장 |
10 | 이유기, (2001) 중세국어와 근대국어 문장종결형식의 연구, 역락 | 미소장 |
11 | 이현규, (1995) 국어 형태 변화의 원리, 영남대학교출판부 | 미소장 |
12 | 이현희, (1982가) 국어의 의문법에 대한 통시적 연구, | 미소장 |
13 | 이현희, (1982나) 국어 종결어미의 발달에 대한 관견, | 미소장 |
14 | 현대국어 경어법의 체계 | 소장 |
15 | 임홍빈, (1985) 현대의 {--}과 예사높임의 ‘-오’에 대하여 ‘형태소핵’의 개념 정립을 위하여 에 재록, | 미소장 |
16 | 임홍빈, (1998) 국어 문법의 심층 1 - 문장 범주와 굴절, 태학사 | 미소장 |
17 | 장요한, (2003) 19세기말에서 20세기초의 {--}에 대한 연구, | 미소장 |
18 | 장윤희, (2002) 중세국어 종결어미 연구, 태학사 | 미소장 |
19 | 최전승, (1978) 국어 i-umlaut 현상의 통시적 고찰, | 미소장 |
20 | 한동완, (1988) 청자 경어법의 형태 원리 - 선어말어미 {-이-}의 형태소 정립을 통해 -, | 미소장 |
21 | 한동완, (2002) 제주방언 청자 경어법의 형태 원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 미소장 |
22 | 허 웅, (1989) 16세기 우리 옛말본, 샘 문화사 | 미소장 |
23 | 허 웅, (1995) 20세기 우리말의 형태론, 샘 문화사 | 미소장 |
24 | 황문환, (2002) 16, 17세기 언간의 상대경어법, 태학사 | 미소장 |
25 | 이 논문은 2006 2에 투고 접수된 논문으로 2006 17에 심사를 완료하고 2006 18에 편집위원회 심의를 거쳐 게재가 확정됨,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