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통합형 어미 '-습니다'류의 통시적 형성과 형태 분석 / 정언학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어교육학회, 2006.10.30
수록지명
국어교육. 제121호 (2006. 10), pp.317-356
자료실
[서울관] 전자자료,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07019742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통합형 어미 '-습니다'류의 통시적 형성과 형태 분석 / 정언학 1

I. 서론 1

II. '-습니다'류의 사적 형성 4

III. 청자 높임 '-이-'의 분석 문제와 '-습-'의 이형태 22

IV. 결론 31

참고문헌 36

〈초록〉 38

〈Abstract〉 39

초록보기 더보기

이 글에서 ‘습니다’의 형성은 ‘-??이다 > -??이다 > -??다 > -?늬다 > -습니다’의 변화 과정을 통하여 형성된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습니다’의 연원을 ‘-??니이다’에 두는 논의는 성립하기 어렵다고 보았다. ‘-?니-’가 ‘-?-’로 축약된다고 보는 것은 ‘ㄴ’ 탈락을 음운론적으로 설명할 수 없다. 또한 개화기에 ‘??니다’와 ‘??다’가 공존하므로 전자에서 후자로 바뀌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마찬가지 논리로 ‘-?더니이다’에서 ‘습디다’로의 변화를 설명하는 것은 어렵고 ‘-?더이다’에서 ‘습디다’로의 변화로 설명해야 한다고 보았다.

한편, ‘-습니다, -습디다, -리다’ 등에서 청자 높임의 ‘-이-’는 통시적 정보를 이용해 분석할 수 있을 뿐이지, 공시적으로는 분석될 수 없다고 보았다. 분석할 형태론적 근거가 없는 것이다. 그리고 현대 국어에서 확인되는 ‘-습-’의 이형태를 재분류해 보면 단일형의 ‘-삽/사오/잡/자오/오/으오-’ 및 중가형으로 ‘-사옵/자옵/옵/으옵-’이 있는데 이들은 의고체로서 한 계열이 된다. 중가형은 ‘-사오/자오/으오/오-’에 ‘-ㅂ-’이 재통합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하였다. 다른 한 계열로 구어체에서는 ‘-습/ㅂ-’(평서형, 의문형) 및 ‘-(으)ㅂ-’(청유형, 명령형)이 한 계열이 되는데, 이는 ‘-습/읍/ㅂ-’으로 간단히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두 계열의 구분은 ‘-습-’의 이형태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으로서 국어 교육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nsists that ‘-s?pnita’ has been formed through the process such as '-s?pn?ita > -s?pn?yita > -s?pn?yta > -s?pn?yta > -s?pnita'. However, it disagrees with the opinion which asserts that ‘-s?pnita’ was developed from ‘-s?pn?niita' because the deletion of 'n' in the change of '-n?ni-' > '-*n?y-' cannot be explained in the phonological viewpoint. Furthermore, '-s?pn?nita' and '-s?pn?yta' coexisted in the period of about 20th century, therefore it is untenable that '-s?pn?nita' changed to '-s?pn?yta'. In the same manner, it is difficult to explain the process such as '-s?pt?niita' to '-s?ptita'. Thus we should explain the change such as '-s?pt?ita > -s?ptita'.

In addition, it insists that the Hearer Honorific '-i-' in '-s?pnita, -s?ptita, -rita' can be analyzed only by using diachronic information, but it cannot be analyzed synchronically because there is no morphological ground. Besides, when we re-sort the allomorphs of '-s?p-', there are simple forms such as '-sap/sao/cap/cao/(?)o-' and double forms such as '-saop/caop/(?)op-', and these forms belong to a single paradigm as archaism. And the double forms of archaism can be analyzed as the reintegration forms of '-p-' and '-sao/cao/?o/o-'. '-s?p/p-'(Declarative, Interrogative) and '-(?)p-'(Propositive, Imperative) belong to one paradigm in a colloquial style, and these can be briefly represented as '-s?p/p/?p-'. The division of these two paradigms will be able to applied to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교육과정, 수업, 평가에 대한 새로운 이해 :대화, 구성 공간, 그리고 탐구 윤준채 pp.1-24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국어과 교육내용 적정성에 대한 연구 송현정 pp.25-55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道德的 人間 育成과 國語 能力 方仁泰 pp.57-77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국어과 평가의 반성과 탐색 최미숙 pp.79-105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글쓰기에서의 내용 지식에 대한 개념 규정 서수현 pp.107-128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논술고사의 성격 및 타당성 고찰 이병민 pp.129-162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언어영재성 판별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 ,1 :평가 준거 및 기준 산출을 위한 이론적 검토 최지현 ;이충우 ;이정숙 pp.163-195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in India :an overview Neerja Singh pp.197-214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남한과 북한의 언어 문화에 관한 고찰 이주행 pp.215-244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20세기 언어 연구에서의 주요 쟁점에 대하여 전정례 pp.245-274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신조 감탄사 및 의성어에 대한 비판적 고찰 박철주 pp.275-315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통합형 어미 '-습니다'류의 통시적 형성과 형태 분석 정언학 pp.317-356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副詞形 語尾 '-게' 構成의 統辭·意味 機能에 대하여 李潤夏 pp.357-403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비유' 를 통한 자아 탐색하기, 그 통합적 교육 방안 한귀은 pp.405-435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김수영 시에 나타난 '탈식민적 언어'의 양가성 배개화 pp.437-468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현대 고부갈등 해결을 위한 <우렁색시>의 문학치료적 가능성 탐색 :영화 <올가미>, mbc <현장기록: 사람잡은 시집살이>와의 비교를 통하여 서은아 pp.469-500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다중결연구조의 양상과 의미 :<창란호연록> <청백운> <임화정연>을 중심으로 조광국 pp.501-527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참고문헌 (2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1995), 『문법 형태의 역사적 연구』, 박이정. 미소장
2 한국어 청자 대우 등급의 형태론적 해석 네이버 미소장
3 PP-333處理의 복숭아 光合成에 미치는 效果 소장
4 (1994),『국어통사구조연구 1』,서강대학교 출판부. 미소장
5 현대국어 '오오체' 어미의 형태론적 해석 소장
6 (1993), 「문법형태소의 중가와 기본의미의 중가」,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안벙희선생 회갑기념논총),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연구회... 미소장
7 국어 대우법의 통시적 이해 소장
8 (1973), 국어문법체계의 사적 연구, 일조각. 미소장
9 국어의 청자높임법에 대한 통시적 연구 소장
10 (2001), 『중세국어와 근대국어 문장종결형식의 연구』, 역탁. 미소장
11 (1995), 『국어 형태 변화의 원리』, 영남대학교출판부. 미소장
12 (1982) 「국어의 의문법에 대한 통시적 연구」 『국어연구』52 국어연구회 미소장
13 國語 終結語尾의 發達에 대한 管見 네이버 미소장
14 현대국어 경어법의 체계 소장
15 (1985),현대의 { -습-}과 예사높임의 ‘- 오’에 대하여 : ‘형태소핵’의 개념 정립을 위하여」, 임홍빈(1998)에 재록, pp. 171~229. 미소장
16 (1998),『국어문법의 심층1 - 문장범주와 굴절』, 태학사. 미소장
17 19세기말에서 20세기초의 {-[삽]-}에 대한 연구 소장
18 (2002), 중세국어 종결어미 연구, 태학사. 미소장
19 國語 i-Umlaut現象의 通時的 考察 네이버 미소장
20 청자경어법의 형태 원리 : 선어말어미 {-이-}의 형태소 정립을 통해 소장
21 濟州方言 聽者 敬語法의 형태 원리 소장
22 (1989), 『16세기 우리 옛말본』,샘문화사. 미소장
23 (1995), 『20세기 우리말의 형태론』, 샘문화사 미소장
24 「16, 17세기 언간의 상대경어법」, 『국어학총서』 35, 태학사, 2002. 미소장
25 Grammaticalization: A Conceptual Framework by Bernd Heine; 네이버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