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몽골의 침략과 고려 무인정권 및 삼별초의 '島嶼海洋戰略' : 그 동아시아적 의의 / 姜鳳龍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東洋史學會, 2011.06.30
수록지명
東洋史學硏究 =Journal of Asian historical studies. 제115집 (2011년 6월), pp.55-99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1096909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몽골의 침략과 고려 무인정권 및 삼별초의 '도서해양전략' : 그 동아시아적 의의 / 姜鳳龍 1

1. 머리말 1

2. 무인정권의 '도서해양전략' 운용 4

1) 최씨집권기의 '도서해양전략' 4

2) '도서해양전략' 복원 시도와 몽골의 견제 15

3. 삼별초의 '도서해양전략' 계승 18

1) 진도 삼별초의 '도서해양전략'과 일본과의 연대 시도 18

2) 제주도 삼별초의 '도서해양전략'과 오키나와 이주 문제 27

4. 고려말 '공도'와 '도서해양전략'의 종언 33

5. 맺음말 39

[요약] 44

초록보기 더보기

Facing invasion by the Mongol Empire in 1231, Goryeo immediately relocated its capital from Gaegyeong to Ganghwa Island and moved its people there for safety (called "ip-bo", 入保). Goryeo's move to Ganghwa Island exploited the Mongols weakness: attacking over water. As the relocation mainly aimed to secure the sea route by using the island as a strategic foothold with which repel the Mongols, the strategy can be called the “Island-Marine Military Strategy”. The initial Mongolian military strategy had ravaged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The second military operation, launched in1250s, focused on attacking the coastal areas and islands of Goryeo to little effect. Thus, the Mongolians intensified the pressure on Goryeo by alternating between armed incursions and peace talks. The Goryeo scholars who had insisted on peace with Mongolia gained greater influence, and Goryeo struck peace with the Mongo Empire in 1270, whereby the capital was moved back to Gaegyeong.

However, some military officials, in what was known as the “Sambyeolcho” (a special capital defense unit), refused to surrender and relocated to certain islands (Jin Island and Jeju Island) off the southern shore of the Korean peninsula. They brought the nearby islands and coastal regions under their control and continued to resist the Mongolians for another three years by re-launching the ‘"Island-Marine Military Strategy." The end to their resistance came with the capture of Jeju Island in 1273 by the Mongolians. However, the Sambyeolcho forces and their sympathizers had not been completely annihilated. Some of the Sambyeolcho forces escaped from Jeju Island and reached Okinawa, while local forces stationed around other islands and coastal regions remained a considerable threat to the Mongolians and Goryeo. In response, the Mongols and Goryeo took the drastic action of ordering "Gongdo"(moving people off the islands) in order to drive out the remaining forces of the rebellion from the islands and coastal regions.

In conclusion, the Mongol invasion of Goryeo in the 13th century, which had served as the foundation for their war against East Asia to conquer the Southern Song Dynasty and Japan, led to "Gongdo" following an almost 40 year-long struggle. In retrospect, this move appears to have been a prelude to the imminent “Haegeum” (ban on maritime activities) and the other examples of “Gongdo” seen in East Asia in the 14th century.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라시드 앗 딘(Rashīd al-Dīn, 1247-1318)의 『中國史』 속에 나타난 '中國' 認識 金浩東 pp.1-53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몽골의 침략과 고려 무인정권 및 삼별초의 '島嶼海洋戰略' :그 동아시아적 의의 姜鳳龍 pp.55-99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중국 근대의 형성과 문화 :세계화시대의 동아시아 담론 曺秉漢 pp.101-136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근대 동아시아사의 재구성을 위한 공간의 시점 河世鳳 pp.137-175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香山 妙善公主와 登州 善妙娘子 :觀音·龍神 설화와 한중 해양불교 교류 曺永祿 pp.177-205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北宋 神宗朝의 對外交易 政策과 高麗 金榮濟 pp.207-237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宋王朝 對安南國王 冊封의 形式과 論理 金成奎 pp.239-268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官箴書를 통해서 본 淸代 幕友와 法律運用 :汪輝祖의 사례를 중심으로 洪成和 pp.269-305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南京國民政府의 公債政策과 統一公債의 性格 再論 金志煥 pp.307-335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織田政權의 公家政策과 '王權' :1581年 馬揃를[실은 을] 中心으로 朴秀哲 pp.337-372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金鍾圓(1934-2009) 선생의 생애와 학문 曺秉漢 pp.373-386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참고문헌 (4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押海島의 번영과 쇠퇴 : 고대·고려시기의 압해도 소장
2 고대·중세초의 한·중 항로와 비금도 소장
3 한국 해양사의 전환 : '海洋의 시대'에서 '海禁의 시대'로 소장
4 강봉룡, 2005, 바다에 새겨진 한국사 , 한얼미디어, 178-179쪽) 미소장
5 Korea · China maritime route in ancient times and Huksan island 소장
6 姜在光, 2008, 「對蒙戰爭期 崔氏政權의 海島入保策과 戰略海島」 軍史 66 미소장
7 The Collapse of Choi Yui’s Political Power(崔竩政權) due to Acception of Peace Negotiations with Mongol(蒙古) 소장
8 蒙古·高麗의 兄弟盟約의 性格 소장
9 국립제주박물관, 2007, 탐라와 유구왕국 . 미소장
10 宮崎正勝, 1999, 정화의 남해 대원정 , 일빛, 131쪽 미소장
11 三別抄와 그의 亂에 就하야.完 소장
12 An Examination of the "KongDo" Policy in Ulleungdo and Dokdo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소장
13 羅鍾宇, 1994, 「홍건적과 왜구」 한국사 20, pp.395-398.) 미소장
14 Mutual Perceptions in the Koryo - Japan Relations 소장
15 南基鶴, 2003, 「중세 고려․일본 관계의 쟁점-몽골의 일본 침략과 왜구-」 일본학연구 17, 83-87쪽 참조. 미소장
16 月南寺址 眞覺國師碑)의 陰記 대한 一考察 네이버 미소장
17 고려의 대몽항쟁과 대장경 소장
18 石井正民, 1978, 「文永八年來日の高麗使について」 東京大學史料編纂所報 12. 미소장
19 손승철, 2010, 「조선시대 ‘空島政策’의 허구성과 ‘搜討制’ 분석」 이사부와 동해 창간호) 미소장
20 조선 초기 중앙정부의 경상도 해도정책을 통한 공도정책 재검토 소장
21 高麗 崔氏武人政權의 對蒙講和交涉에 대한 一考察 소장
22 尹龍爀, 1982, 「고려의 海島入保策과 戰略變化」 歷史敎育 32과 미소장
23 윤용혁, 1991 고려대몽항쟁사연구 , 일지사, 40-132쪽 참조. 미소장
24 三別抄 珍島政權의 성립과 그 展開 네이버 미소장
25 尹龍爀, 1994, 「삼별초의 제주 항전」 제주도연구 11 미소장
26 윤용혁, 2000, 고려 삼별초의 대몽항쟁 , 일지사, 108-111쪽. 미소장
27 오키나와 출토의 고려 기와와 삼별초 소장
28 尹龍爀, 고려 삼별초의 대몽항쟁 , 일지사, 245-246쪽. 미소장
29 麗蒙兄弟盟約과 초기 麗蒙關係의 성격 : 사료의 再檢討를 중심으로 소장
30 李承休 動安居士集 <雜著> 旦暮賦幷書. 미소장
31 高麗 對蒙抗爭期 講和論의 硏究 소장
32 高麗·元關係의 構造에 대한 硏究 : 소위'世祖舊制'의 분석을 중심으로 소장
33 李齊賢 櫟翁稗說 , 前集2. 미소장
34 이형구, 1989, 「고려 조선과 유구와의 문화교류」 두산깁택규박사 화갑기념 문화인류학논총 미소장
35 琉球에서 發見된「高麗瓦匠」在銘瓦 네이버 미소장
36 고려·조선과 류큐(琉球)의 물질문화교류 소장
37 高麗 기와제작기술의 琉球傳來 소장
38 최연식, 2010, 「三別抄 以前 珍島의 역사문화적 환경에 대한 검토」 13세기 동아시아 세계와 진도 삼별초 , 진도군․목포대박물관, 38-40쪽) 미소장
39 13세기 말 巨濟縣의 出陸 배경에 대한 검토 소장
40 The Position change of Chiso-seong(治所城) in the 13th~14th centuries 소장
41 高麗圖經 미소장
42 高麗史節要 미소장
43 高麗史 미소장
44 新增東國輿地勝覽 미소장
45 元高麗紀事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