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민통선 이북지역의 토지피복 및 인삼 재배면적 변화 분석 : 파주시와 연천군을 중심으로 / 박은진 ; 남미아 1
요약 1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3
1. 연구대상지 3
2. 토지피복 및 인삼 재배면적 4
3. 민통선지역 내 인삼 재배지의 현장 확인 및 조사 4
결과 및 고찰 4
1. 민통선지역 토지피복 변화 4
2. 인삼 재배면적의 변화 5
3. 인삼 재배지의 위치 및 경관구조 특성에 따른 유형 7
4. 환경적 영향 예측과 향후 연구 7
LITERATURE CITED 9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Release strategy for the red fox(Vulpes vulpes) restoration project in Korea based on population viability analysis | Hwa-Jin Lee, Bae-Keun Lee, Gu-Hui Kwon, Chul-Un Chung | pp.417-428 |
|
보기 |
Changes in body size in a land-locked population of sweet smelt Plecoglossus altivelis(pisces: osmeridae),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a fishway in lake Okjeong, Korea | Myeong-Hun Ko, Jong-Young Park | pp.429-436 |
|
보기 |
보령 대천천의 어류상과 어류 군집 특성 | 송미영, 정승윤, 김경환, 백재민, 이완옥 | pp.437-448 |
|
보기 |
해발고도에 따른 백두대간 신갈나무군락 특성 연구 : 향로봉에서 깃대배기봉 구간을 대상으로 | 정보광, 오충현 | pp.449-461 |
|
보기 |
부산광역시 금정산 소나무림 식생구조 연구 | 이경재, 곽정인, 곽남현, 장종수 | pp.462-472 |
|
보기 |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팔영산지구의 식생구조 | 강현미, 최송현, 박석곤 | pp.473-485 |
|
보기 |
월악산국립공원 용하구곡의 식생구조 및 관리방안 | 백승준, 강현경, 김선화 | pp.487-497 |
|
보기 |
오대산의 소황병산늪과 질뫼늪의 토양 특성 및 습지 연대 분석 | 임성환, 최성철, 황정숙, 최덕균, 추연식 | pp.498-506 |
|
보기 |
민통선 이북지역의 토지피복 및 인삼 재배면적 변화 분석 : 파주시와 연천군을 중심으로 | 박은진, 남미아 | pp.507-515 |
|
보기 |
도시지역의 녹지경관 조망이 도시민의 스트레스 완화에 미치는 영향 | 김정호, 김원태, 윤용한 | pp.516-523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Kang, S.W., D. Kim, Y. Kim, Y. Kim and O. Kim(2010) An Illustrated Guide to Ginseng Cultivation. Korea Agriculture Information Institute, Seoul, 429pp. (in Korean) | 미소장 |
2 | Kim, K.G.(2010) DMZ, the Land for Peace and Life. Dream Media, Seoul, 471pp. (in Korean) | 미소장 |
3 | Kim, K.H.(2009) Regional Econonmic Boostering Strategies through Community Festivals: Case Studies on the Paju Ginseng and the Jangdan Soybean Festivals. Master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70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 미소장 |
4 | Kim, S.H., J.H. Kim and J.G. Kim(2011) Classification of small irrigation ponds in western Civilian Control Zone in Korea.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3(2) : 275-289. | 미소장 |
5 |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1997) Study on Simultaneous Accomplishment of Ecosystem Conservation and Vitalization of Local Community. Ministry of Environment, Seoul, 285pp. (in Korean) | 미소장 |
6 |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2006)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Infrastructure of Imjin River Basin and Inter-Korean Cooperation for Agricultural Development.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255pp.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 미소장 |
7 | Ministry of Environment(2011a) Nomination for the Korea DMZ Biosphere Reserve. 174pp. | 미소장 |
8 | Ministry of Environment(2011b) Preparation of Guidelines for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the DMZ Area. 191pp. (in Korean) | 미소장 |
9 |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unpublished data) Noh, Y.H., T.J. Kwon and J.W. Park(1990) Study on development strategies of the Civilian Control Zone. Journal of Environmental Studies Vol 26:1-44. (in Korean) | 미소장 |
10 | Park, E.J., M. Nam and M.S. Park(2012) DMZ Eco Peace Villages: Basic Survey and Development Plans. Gyeonggi Research Institute Rep. 2012-05, 164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 미소장 |
11 | Son, J.K., N.C. Kim and B. Kang(2010) The type classification and function assessment at small palustrine wetland in rural areas. J. Korean Env. Res. Tech. 13(6): 117-13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