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멸종위기 해양포유류(기각아목) 복원을 위한 실태조사 및 네트워크 구축 / 국립생물자원관 [편] 인기도
발행사항
[인천] : 국립생물자원관, 2010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형태사항
vii, 110 p. : 삽화, 도표, 사진 ; 30 cm
제어번호
MONO1201107980
주기사항
[연구기관]: 한국환경생태연구소
연구책임자: 이한수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목차

제1장 과업개요 11

1.1. 과업의 배경 11

1.2. 과업의 목적 11

1.3. 과업의 범위 12

1.4. 과업의 내용 12

1.5. 과업의 진행과정 13

제2장 과업수행방법 14

2.1. 국내·외 해양포유류(기각아목)에 대한 실태조사 14

2.1.1. 국내·외 서식종의 생물학적 특성 및 주요서식지의 생태환경 비교분석 14

2.1.2. 국내지역의 해양포유류(기각아목) 실태조사 14

2.1.3. 국외지역의 해양포유류(기각아목) 실태조사 17

2.1.4. 국내 해양포유류(기각아목) 혼획 실태조사 20

2.2. 국내 해양포유류(기각아목)의 유전자 분석을 통한 분류학적 고찰 21

2.2.1. 연구대상종 및 유전자 21

2.2.2. 염기서열 결정 및 분석 21

2.2.3. 계통분석 22

2.3. 해양포유류(기각아목) 보호를 위한 국제 네트워크 구축 23

2.3.1. 동아시아 일대 해양포유류(기각아목) 자료 확보 및 정보 교류를 위한 국제적 네트워크 구축 23

2.3.2. 국내·외 관계기관과의 협력 체계 구축 및 운영 23

제3장 국내·외 해양포유류(기각아목)에 대한 실태조사 24

3.1. 국내·외 서식종의 생물학적 특성 및 주요서식지의 생태환경 비교분석 24

3.1.1. 국내·외 서식종의 생물학적 특성 24

3.1.2. 주요서식지의 생태환경 분석 33

3.2. 국내 해양포유류(기각아목) 실태조사 37

3.2.1. 울릉도·독도 37

3.2.2. 백령도 41

3.2.3. 기타 국내 해안 일대 해양포유류 서식 실태 49

3.3. 국외 해양포유류(기각아목) 실태조사 53

3.3.1. 일본 북해도 53

3.3.2. 러시아 연해주·사할린 61

3.4. 국내 해양포유류(기각아목) 혼획 실태조사 75

3.4.1. 해양포유류(기각아목) 혼획 신고 현황 75

3.4.2. 최근 10년간 해양포유류(기각아목) 혼획 현황 81

제4장 국내 해양포유류(기각아목)의 유전자 분석을 통한 분류학적 고찰 86

4.1. 연구 대상종 및 유전자 86

4.2. 유전자별 계통분석 결과 88

4.2.1. Mitochondrial control region 88

4.2.2. cytb 90

4.2.3. COI 91

4.3. 종내 및 종간 유전거리 92

제5장 해양포유류(기각아목) 보호를 위한 국제 네트워크 구축 94

5.1. 일본 94

5.1.1. 일본 해양포유류(기각아목) 서식현황에 대한 의견 교환 94

5.1.2. 해양포유류(기각아목) 보호를 위한 국제 네트워크 구축 건 95

5.1.3. 일본 북해도수산연구소 기관현황 96

5.2. 러시아 100

5.2.1. 러시아 해양포유류(기각아목) 서식현황에 대한 의견 교환 100

5.2.2. 해양포유류(기각아목) 보호를 위한 국제 네트워크 구축 건 102

제6장 결론 및 제언 104

참고문헌 109

부록 111

부록 1. 국내 해양포유류의 혼획 현황(2001~2010. 6 현재) 113

부록 2. 멸종위기 해양포유류 연구교류를 위한 국제네트워크 협약서(러시아 제공) 118

표 1. 국내 해양포유류(기각아목) 현장조사 일정 15

표 2. 국외 해양포유류(기각아목) 현장조사 일정 18

표 3. 대상 유전자별 primer 염기서열 22

표 4. 울릉도·독도 인근에서 관찰되었던 해앙포유류(환경부, 2009) 38

표 5. 2006년 백령도 일대에서 관찰된 물범(Phoca largha) 현황(국토해양부, 2008) 42

표 6. 2007년 백령도 일대에서 관찰된 물범(Phoca largha) 현황(국토해양부, 2008) 43

표 7. 2008년 백령도 일대에서 관찰된 물범(Phoca largha) 현황(국토해양부, 2008) 44

표 8. 국내 해안에서 관찰된 물개(Callorhinus ursinus) 현황(2009. 10∼2010. 8) 51

표 9. 백령도를 제외한 국내 해안 일대 물범(Phoca largha) 서식 현황(2009. 9∼2010. 8) 51

표 10. 백령도를 제외한 국내 해안 일대 물범(Phoca largha) 발견 사례(2001. 12∼2009. 9) 52

표 11. 북해도 내 큰바다사자(Eumetopias jubatus)의 주요 도래지 54

표 12. 일본 해안에 도래하는 물범(Phoca largha)의 과거와 현재 분포 특성 비교 55

표 13. 일본 홋카이도 연안에 도래하는 큰바다사자(Eumetopias jubatus) 현황파악을 위한 항공기 조사 56

표 14. 오호츠크 해에서 물범류의 상업적 포획 현황(1995∼2000) 62

표 15. 항공기 조사로 파악한 오호츠크 해의 물범류 현황(1968∼1990) 62

표 16. 혼획 신고된 해양포유류(기각아목) 현황(2009. 10∼2010. 6) 76

표 17. 2010년 1월 25일 혼획된 해양포유류 기본정보(국립문화재연구소 자료제공) 76

표 18. 2010년 2월 6일 혼획된 해양포유류 기본정보 77

표 19. 2010년 2월 17일 혼획된 해양포유류 기본정보 77

표 20. 2010년 2월 18일 혼획된 해양포유류 기본정보 79

표 21. 2010년 3월 15일 혼획된 해양포유류 기본정보 80

표 22. 2010년 7월 8일 혼획된 해양포유류 기본정보 80

표 23. 연도별 해양포유류(기각아목) 혼획 현황(2001∼2010) 81

표 24. 월별 해양포유류(기각아목) 혼획 현황(2001∼2010) 82

표 25. 유전자 분석에 활용된 종 정보 86

표 26. 유전자별 염기서열 분석 현황 87

표 27. 분석에 사용된 종정보 88

표 28. 물개(Callorhinus ursinus)의 Mitochondrial control region 유전자의 종내 유전거리 93

표 29. 물개(Callorhinus ursinus)의 cytb 유전자의 종내 유전거리 93

표 30. 물개(Callorhinus ursinus)의 COI유전자의 종내 유전거리 93

그림 1. 과업의 진행과정 흐름도. 13

그림 2. 울릉도 일대 해양포유류 조사경로. 15

그림 3. 독도 일대 해양포유류 조사경로. 16

그림 4. 백령도 일대 해양포유류 조사경로. 17

그림 5. 일본 북해도 해양포유류 조사경로. 18

그림 6. 러시아 연해주 해양포유류 조사경로. 19

그림 7. 러시아 사할린 해양포유류 조사경로. 19

그림 8. 물개(Callorhinus ursinus)의 complete Mt DNA 모식도. 21

그림 9. 1694∼1975년 바다사자(Zalophus japonicus) 분포범위(해수도감, 2010 수정). 25

그림 10. 일본 역사박물관에 소장된 바다사자(Zalophus japonicus) 성체 수컷(위)과 암컷(아래)의 두개골과 하악골 표본(Satoshi et al., 2009). 26

그림 11. 큰바다사자(Eumetopias jubatus) 분포범위(해수도감, 2010 수정). 27

그림 12. 물개(Callorhinus ursinus) 분포범위(해수도감, 2010). 28

그림 13. 물범(Phoca largha) 분포범위(해수도감, 2010 수정). 29

그림 14. 고리무늬물범(Pusa hispida) 분포범위(해수도감, 2010). 30

그림 15. 일본 국립자연과학박물관에 소장된 고리무늬물범(Pusa hispida)의 두개골과 하악골 표본(Satoshi et al., 2009). 31

그림 16. 일본 국립자연과학박물관에 소장된 흰띠백이물범(Histriophoca fasciata) 성체 수컷의 두개골과 하악골 표본(Satoshi et al., 2009). 31

그림 17. 흰띠백이물범 (Histriophoca fasciata) 분포범위(해수도감, 2010 수정). 32

그림 18. 긴턱수염물범 (Erignathus barbatus) 분포범위(해수도감, 2010). 33

그림 19. 산책로가 조성된 해안. 39

그림 20. 자연해안이 보존되는 구간. 39

그림 21. 서도에서 본 동도의 전경. 39

그림 22. 해양포유류가 휴식하기 알맞은 암반. 39

그림 23. 독도 선착장(좌) 주변과 서도 해안(우)의 모습. 41

그림 24. 해안 조사 및 해양포유류 뼈화석이 묻혀 있는 서도의 동굴(우)의 모습. 41

그림 25. 백령도 콩돌해안의 모습. 45

그림 26. 백령도 해군초소에서 바라 본 물범바위 앞 해안. 45

그림 27. 물범바위에서 휴식중인 물범(Phoca largha)의 모습(2010. 5. 12). 46

그림 28. 해안에서 유영 중인 물범(Phoca largha)의 모습(2010. 5. 12). 47

그림 29. 청문조사 장면. 47

그림 30. 물범(Phoca largha) 배설물 채취 장면. 47

그림 31. 백령도 물범(Phoca largha) 조사 및 배설물 시료 채취모습(2010. 7. 13). 49

그림 32. 하늬해변(좌)과 홍안여(우)에서 관찰된 물범(Phoca largha). 49

그림 33. 물범바위(좌)와 두무진(우)에서 관찰된 물범(Phoca largha). 49

그림 34. 항공기를 이용한 북해도 큰바다사자(Eumetopias jubatus) 조사지역(K. Hattori et al., 2009). 57

그림 35. 일본 북해도 해양포유류 현장조사 모습. 59

그림 36. 해양포유류 휴식지로 알려진 Hamamasu 해안의 모습. 59

그림 37. Hamamasu 해안 바위섬에서 휴식중인 큰바다사자(Eumetopias jubatus). 60

그림 38. 러시아의 개체인식표 24번을 부착한 큰바다사자(Eumetopias jubatus)의 모습. 60

그림 39. 큰바다사자(Eumetopias jubatus)의 상륙을 막기 위한 폴대. 60

그림 40. 큰바다사자(Eumetopias jubatus) 고기를 이용한 쿠키. 60

그림 41. 큰바다사자(Eumetopias jubatus) 개체인식표 24번 부착지점(Iony 섬) 및 일본에서 관찰된 지점(Hamamasu)의 위치. 61

그림 42. 러시아의 큰바다사자(Eumetopias jubatus) 및 물개(Callorhinus ursinus) 집단서식지(Alexey, 2009). 64

그림 43. Robben 섬의 큰바다사자(Eumetopias jubatus) 개체군 변화(1; 1년 이상 된 개체, 2; 어린 개체). 65

그림 44. 2005년 쿠릴열도 큰바다사자(Eumetopias jubatus) 번식지에서 태어난 어린개체 현황(Alexey, 2009). 65

그림 45. Robben 섬의 물개(Callorhinus ursinus) 개체군 변화(Alexey, 2009). 66

그림 46. 겨울철 긴턱수염물범(Erignathus barbatus)(좌)과 고리무늬물범(Pusa hispida)(우)의 최대 밀집 지역(Alexey, 2009). 67

그림 47. 오호츠크 해 연안의 서식지에서 관찰된 물범(Phoca largha)의 최대 개체수 현황(Alexey, 2009). 68

그림 48. 겨울철 물범(Phoca largha)(좌)과 흰띠백이물범(Histriophoca fasciata)(우)의 최대 밀집 지역(Alexey, 2009). 70

그림 49. 네벨스크 항구 방파제(좌)와 해안 전경. 72

그림 50. 코르사코프 해안의 전경. 72

그림 51. 아코츠케 해안의 전경(좌)과 해안 배후 투나이차 호수. 73

그림 52. 스타로두브스코예 해안 전경. 73

그림 53. 러시아 사할린 해양포유류 조사 모습. 73

그림 54. 코르사코프 해안에서 휴식 중인 물범(Phoca largha)(좌)과 유영하는 물범의 모습(우). 74

그림 55. 코르사코프 해변에서 발견된 고래류의 두개골. 74

그림 56. 스타로두브스코예 해안 암반에서 휴식 중인 물범(Phoca largha)의 모습. 74

그림 57. 스타로두브스코예 연어잡이 그물 주변에서 휴식 중인 물범(Phoca largha). 75

그림 58. 2010년 2월 17일 혼획된 물개(Callorhinus ursinus)의 모습. 78

그림 59. 2010년 2월 18일 혼획된 물범(Phoca largha)의 모습. 79

그림 60. 해양포유류(기각아목) 혼획 지역 현황(2001∼2010). 81

그림 61. 연도별 해양포유류(기각아목) 혼획 현황(2001∼2010). 82

그림 62. 월별 해양포유류(기각아목) 혼획 현황(2001∼2010). 83

그림 63. 강원지역 해양포유류 취식 선호 어종의 유통판매 현황. 84

그림 64. 강원지역 12월∼4월간 해양포유류 취식 선호 어종별의 유통 현황(2001∼2010). 85

그림 65. Mitochondrial control region 염기서열 분석에 의한 계통수. 89

그림 66. Liaodong Bay와 국내샘플의 Mitochondrial control region의 alignment 90

그림 67. cytochrome b 유전자에 의한 계통수. 91

그림 68. COI 유전자에 의한 계통수. 92

그림 69. 북해도수산연구소의 큰바다사자(Eumetopias jubatus) 연구내용 발표. 96

그림 70. 북해도수산연구소에서의 해양포유류(기각아목) 국제 네트워크 추진 회의 모습. 96

그림 71. 러시아 극동 과학아카데미 해양생물박물관에서 네트워크 협의 추진 모습. 102

그림 72. 러시아 극동 과학아카데미 해양생물박물관의 해양포유류 전시관 모습. 103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33909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전자자료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