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수자원분야에서 관측최대강수량은 주로 지점최대 강수량에 의해 평가되어 왔으나, 엄밀한 의미에서 강수량이라 함은 면적평균강수량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면적평균강수량은 관측호우의 DAD(rainfall Depth-Area-Duration) 분석을 통하여 계산된 추정치이고, 이로부터 대상면적-지속기간별 면적평균강수량 또는 최대관측강수량을 산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역을 수문학적으로 동질하다고 가정하여 호우중심의 DAD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로부터 면적-지속기간별 최대관측강수량의 연도별 변화를 고찰하였다. 또한, 면적-지속기간별로 구성된 시계열로부터 확률강수량을 산정하여, 면적별 IDF와 관측최대강수량의 특성에 대하여 논하였다.

Mainly, observed maximum rainfall has been evaluated by point rainfall, but actually it should be considered by means of average areal rainfall. Average areal rainfall is an estimated value computed through DAD(rainfall Depth-Area-Duration) analysis. By using this value, an average and maximum areal rainfall according to area-duration relationship could be computed. In this study, we assume that the whole Korea region is hydrologically homogeneous, and then analyze using the storm-centered DAD(moving-area DAD) method for the past century data. From this analysis, we evaluate the yearly variation of observed maximum areal rainfall through area-duration relationship. And we also construct an IDF(rainfall Intensity-Duration-Frequency) curve by using the annual time series data which is composed of maximum areal rainfall. The characteristics of IDF and observed maximum areal rainfall is also evaluated.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기존 농업용 저수지에서의 유효저수량의 평가 안태진 ;조동호 ;이상호 ;최계운 ;윤용남 pp.353-361

교각이 설치된 월류형 여수로에서의 흐름에 대한 수치모의 김대근 ;이재형 ;서일원 pp.363-373

FLOW-3D에 의한 파샬플륨 흐름 해석 오병동 ;김경호 ;이환기 ;안상도 pp.375-386

혼합사로 구성된 하천에서 하상변동 및 유사의 입도분포 계산을 위한 수치모형 개발 장창래 ;정관수 ;김재한 pp.387-395

소유역의 강수에 의한 지하수 함양량 산정 배상근 ;이승현 pp.397-406

GIS와 GCUH를 이용한 돌발홍수 기준우량 산정의 타당성 검토 연구 신현석 ;김홍태 ;박무종 pp.407-424

20세기 우리나라 관측최대강수량의 특성 김남원 ;원유승 pp.425-435

호우이동을 고려한 DAD 분석방법 김남원 ;원유승 pp.437-448

참고문헌 (2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2000) 한국의 주요 호우, 1999년도 수자원관리기법개발연구조사보고서 제2권, 별책 제1권, 건설교통부 미소장
2 (2000) 한국 가능최대강수량 추정, 미소장
3 (2000) 한국 확률강우량도 작성, 미소장
4 (1988) 한국 가능최대강수량추정, 미소장
5 (1999) 자기우량기록지, 미소장
6 (1988) 고정시간 간격과 임의의 지속기간 최대우량간의 환산계수, 미소장
7 (1998) 수문관측현황과 개선방향-수위 우량관측을 중심으로 , 미소장
8 (2004) 호우이동을 고려한 DAD 분석방법, 미소장
9 (1995) 강우빈도분석시 내외삽 오차에 대한 고찰, 미소장
10 (1993) 기후변화가 수문과 수자원에 미치는 영향, 미소장
11 (1994) 우리나라 강수의 장기변동 특성 분석 국제수문개발계획 연구보고서, 미소장
12 (1986) 우리나라의 최대가강수량 빈도계수 산정에 관한 연구, 미소장
13 (1976) 낙동강유역의 최대 DAD에 관하여, 미소장
14 (1986) 하천유역의 설계 홍수량 결정을 위한 PMP의 산정 및 적용, 미소장
15 (1970) 우리나라 호우의 최대 DAD분석, 미소장
16 (1999) 지속기간별 강우자료의 적정분포형 선정을 통한 확률강우강도식의 유도, 미소장
17 Handbook on the principles of hydrology: D. M. Gray (ed. in-chief): Ottawa 1, Canadian National Committee for the International Hydrological Decade, No. 8 building, Carling Avenue, 1970. $10. (Available from: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Canada, Montreal Road, Ottawa 7) 네이버 미소장
18 (1990) Analysis and estimation of distributions using linear com- binations of order statistics Journal of Royal Statistical Society, 미소장
19 (1993) Some Statistics Useful in Regional Frequency Analysis, 미소장
20 (1986) Manual for Estimation of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미소장
21 (1989) Statistical Distribution for Flood Frequency Analysis,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