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시공간적 변동성을 고려한 무심천 유역의 지하수 함양량 추정 / 김남원 ; 정일문 ; 원유승 ; 이정우 ; 이병주 1
ABSTRACT 1
요약문 1
1. 서론 2
2. SWAT 모형을 이용한 지하수 함양량 산정 방법 2
3. SWAT 모형의 입력자료 구축 4
3.1. 대상유역 현황 4
3.2. 수문자료 구축 4
3.3. 지형자료 구축 4
4. 모형의 적용결과 및 고찰 6
4.1. 물수지 분석 6
4.2. 유출량의 평가 6
4.3. 지하수 함양량의 시공간적 분포 7
5. 결론 10
사사 10
참고문헌 10
지하수 함양량을 정확하게 산정하는 것은 지하수계의 적절한 관리를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국내에서 주로 사용되는 지하수 함양량 추정방법은 지하수위 변동법, 기저유출 분리법, 연단위 물수지 분석법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은 집중형 개념을 기반으로 하거나 국지적인 규모로 다뤄지기 때문에 기후조건, 토지이용, 토양조건, 수리지질학적 비균질성에 의한 함양량의 시공간적 변동성을 반영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역내의 토양 및 토지이용에 따른 비균질성을 반영할 수 있는 SWAT 모형을 이용하여 시공간적 변동성을 고려한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SWAT 모형은 유역내 일단위 지표면 유출량, 증발산량, 토양저류량, 함양량, 지하수유출량 등의 수문성분을 계산할 수 있는 모형이다. 본 연구에서는 SWAT 모형을 미호천 유역의 최상류인 무심천 유역에 적용하였다. 2001년-2004년까지의 기간동안 지하수 함양량을 포함한 유역의 일단위 수문성분들을 모의하였으며, 유역출구점에서의 실측 일유출자료와 모의 일유출자료의 비교를 통해서 모의결과의 유효성을 검토하였다. 지하수 함양량의 시공간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 지하수 함양량의 변동성은 토지이용도 뿐만 아니라, 유역경사와 같은 지형인자에도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매립지반의 화학적 불균질성이 침출수 이동에 미치는 영향 | 이근상 | pp.1-8 |
|
보기 |
시공간적 변동성을 고려한 무심천 유역의 지하수 함양량 추정 | 김남원 ;정일문 ;원유승 ;이정우 ;이병주 | pp.9-19 |
|
보기 |
부산시 회동저수지 집수분지 내 국도도로변 퇴적물의 미량원소 오염 및 존재형태 | 이평구 ;강민주 ;염승준 ;이인경 ;박성원 ;이욱종 | pp.20-34 |
|
보기 |
황화철(FeS, FeS₂)을 이용한 헥사클로로에탄의 환원적 분해반응과 표면특성에 관한 연구 | 박상원 ;김성국 ;허재은 | pp.35-42 |
|
보기 |
유전자 재조합 균주를 환경에 적용하기 위한 (동결) 건조 및 활성회복 조건 최적화 | 고경석 ;김명희 ;공인철 | pp.43-50 |
|
보기 |
국내 자생 포플러나무에 의한 디젤오염토양 정화특성 연구 | 장순웅 | pp.51-58 |
|
보기 |
극 저준위 액체섬광계수기를 이용한 지하수 중 라돈(^222^Rn) 측정법 연구 | 김용제 ;조수영 ;윤윤열 ;이길용 | pp.59-66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구민호, 이대하, 2002, 지하수위 변동법에 의한 지하수 함양량 산정의 수치해석적 분석, 지질학회지, 38(3), 407-420 | 미소장 |
2 | The Development of Fully Coupled SWAT-MODFLOW Model (Ⅱ) Evaluation of Model | 소장 |
3 | 이동률, 1995 ,지하수 감수곡선을 이용한 지하수 함양량 추정과 장기 갈수량 예측,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 미소장 |
4 | A new tritium interface method for determining the recharge rate of deep groundwater in the Bavarian Molasse basin ![]() |
미소장 |
5 | Regional estimation of base flow and ground-water recharge in the Upper Mississippi river basin ![]() |
미소장 |
6 | Horton, R.E., 1939, Analysis of runoff-plat experiments with varying infiltration capacity, Transac. Amer. Geophys. Union, 20, 693-711 | 미소장 |
7 | Estimating ground-water recharge from stream hydrographs ![]() |
미소장 |
8 | Combining the soilwater balance and water-level fluctuation methods to estimate natural groundwater recharge: Practical aspects ![]() |
미소장 |
9 | The Use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or Interpreting Ground Water Hydrographs ![]() |
미소장 |
10 | Neitsch, S.L., Arnold, J.G., Kiniry, J.R., and Williams, J.R., 2001,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The theoretical documentation (version 2000), U. S.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 미소장 |
11 | Groundwater Recharge Assessment via Grid-based Soil Moisture Route Modeling | 소장 |
12 | Venetis, C., 1962, A study of recession of unconfined aquifers, Bull. Int. Assoc. Hydrol. Sci., 14(4), 119-125 | 미소장 |
13 | Fetter, C.W., 1994, Applied Hydrogeology, Prentice Hall | 미소장 |
14 | Estimating generalized soil-water characteristics from texture ![]() |
미소장 |
15 | 구민호, 김용제, 2003, 침투 모델을 이용한 국내의 기후환경에서 발생하는 지하수 함양 특성 분석, 지질학회지, 39(2), 249-261 | 미소장 |
16 | Estim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from Precipitation in a Small Basin | 소장 |
17 | AUTOMATED METHODS FOR ESTIMATING BASEFLOW AND GROUND WATER RECHARGE FROM STREAMFLOW RECORDS ![]() |
미소장 |
18 | Sharma, M.L., 1989, Groundwater Recharge, Balkema, Brookfield, VT, p. 323 | 미소장 |
19 | 박창근, 1996, 우리나라 지하수 개발가능량 추정 :1.개념정립과 기법의 개발, 지하수환경, 3(1), 15-20 | 미소장 |
20 | Theis, C.W., 1937, Amount of groundwater recharge in the southern high plains, Transac. Amer. Geophys. Union, 18, 564 | 미소장 |
21 | 이도훈, 2002, 지하수 순환을 고려한 장기유출 특성 해석, 지표수 수문성분 해석 기술개발 1차년도 연구보고서,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사업 2-2-1과제, p. 89-95 | 미소장 |
22 | Statistical analysis of hydrographs and water-table fluctuation to estimate groundwater recharge ![]() |
미소장 |
23 | Rutledge, A. T., 1998, Computer programs for describing the recession of groundwater recharge and for estimating mean groundwater recharge and discharge from stream records-Update, U.S. Geological Survey Water Resources Investigations Report 98-4148, p. 44 | 미소장 |
24 | A comprehensive surface-groundwater flow model ![]() |
미소장 |
25 | Quantitative analysis of springs ![]() |
미소장 |
26 | Barnes, B.S., 1939, The structure of discharge recession curves, Transac. Amer. Geophys. Union 20, 721-725 | 미소장 |
27 | Sangrey, D.A., Harrop-Williams, K.O., and Klaiber, J.A., 1984, Predicting groundwater response to precipitation, ASCE, J. Geotech. Eng., 11(7), 957-975 | 미소장 |
28 | A validation of the 3 H/ 3 He method for determining groundwater recharge ![]() |
미소장 |
29 | Johnston, K.H., 1977, A predictive method for groundwater levels, Master's Thesis, Cornell' University, Ithaca, N. Y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0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