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지표수와 지하수의 통합모델링은 지속가능한 수자원과 수질개선에 대한 점증하는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점차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준분포형 유역유출모형인 SWAT과 완전분포형 지하수 모형인 MODFLOW의 통합모형을 무심천 유역에 적용하여 유역단위의 수문과정을 재생하였다. 모의결과 2001-2004년의 관측수문곡선과 모의유량수문곡선간의 적합이 잘 나타나는 한편 계산된 지하수위 분포와 관측지하수위와의 보정결과도 양호하게 나타났다. 통합모형은 서로 다른 기간의 강수평균이 하천유출, 침루, 함양, 지하수 유출의 동적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데도 활용되었다. 나아가, 월별강수와 각 수문성문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함양량의 시공간적 변동성을 분석하기 위한 종합적인 모의를 수행한 결과, 수문성분 상호간에 높은 상관성을 보이며 소유역경사, 토지이용, 토양종류 같은 유역특성의 비균질성이 함양량의 공간변화에 주요 원인인 것으로 확인됐다. 통합모형은 시공간적으로 변동하는 유역단위의 지표수와 지표하 수문과정을 전반적으로 잘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tegrated modelling of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has become important to satisfy the growing demands for sustainable water resources and improved water quality. In this study, the integrated model of the semi-distributed watershed model, SWAT and the fully-distributed groundwater flow model, MODFLOW is applied to Musim river basin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its applicability to reproduce watershed-scale hydrological processes. This objective is accomplished by first demonstrating good agreement between the simulated discharge hydrographs with the measured hydrographs for the period of 2001-2004 while simultaneously calibrating the calculated groundwater level distribution to observation wells. Next, the integrated model is used to evaluate the effect of different temporal precipitation averages on hydrodynamic processes of streamflow, percolation, recharge and groundwater discharge. Moreover, comprehensive simulations are performed to present the relationships between monthly precipitation and each hydrological component, and to analyze the temporal-spatial variability of recharge. The results show that the components are highly interrelated, and that the heterogeneity of watershed characteristics such as subbasin slope, land use, soil type causes a significant spatial variation of recharge. Overall it is concluded that the model is capable of reproducing the temporally and spatially varied surface and subsurface hydrological processes at the watershed scale.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소하천 환경조성사업의 평가를 위한 소하천자연도 평가 | 안태진 | pp.359-372 |
|
|
배수밀도와 수원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 배수구조에 대한 해석 | 김주철 ;김재한 | pp.373-382 |
|
|
댐의 홍수조절에 의한 경제적 효과분석 | 최승안 ;이충성 ;심명필 ;김형수 | pp.383-396 |
|
|
MOUSE 모형을 이용한 관거 내 고형물 퇴적량 산정 | 이재수 | pp.397-407 |
|
|
관거 내 고형물 퇴적량 산정식 개발 | 이재수 | pp.409-418 |
|
|
지표수-지하수 통합모형을 이용한 무심천 유역의 수문과정 해석 | 김남원 ;정일문 ;이정우 ;원유승 | pp.419-430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2002) 지하수 관리 기본계획, 건설교통부 | 미소장 |
2 | (2006) 완전연동형 SWAT- MODFLOW 모형을 이용한 지표수-지하수 통합 유출모의, | 미소장 |
3 | (2004a) 완전 연동형 SWAT- MODFLOW 결합모형, (Ⅰ) 모형의 개발, | 미소장 |
4 | (2004b) 완전 연동형 SWAT- MODFLOW 결합모형, (Ⅱ) 모형의 적용, | 미소장 |
5 | (2006) 시공간적 변동성을 고려한 무심천 유역의 지하수 함양량 추정, | 미소장 |
6 | (1993) Journal of Hydrology, | 미소장 |
7 | (1995) Continuous-time water and sediment- routing model for large basin., | 미소장 |
8 | (1999) MIKE SHE Water Movement User Manual, | 미소장 |
9 | (2003) WEP Model의 개발과 적용, | 미소장 |
10 | (1988) Techniques of Water Resources Investigations Report, | 미소장 |
11 | (1997) Water Resource Evaluation and Integrated Hydrologic Model of the Central Northern Tampa Bay Region, Clearwater Florida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