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한부모 가정 초등학생을 위한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 정선아 ; 하양숙 1
요약 1
Abstract 1
I. 서론 2
1. 연구의 필요성 2
2. 연구 가설 3
II. 연구방법 3
1. 연구 설계 3
2. 연구 대상 3
3. 측정도구 3
4. 연구진행 4
III. 연구결과 5
1. 연구 대상자들의 인구 통계학적 특징 5
2. 실험군과 대조군의 처지 전 자아존중감, 우울정도에 대한 동질성 검증 5
3. 가설 검증 5
IV. 논의 6
참고문헌 7
저자소개 9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http://whttp://www.index.go.kr/egams/stts/jsp/ potal/stts/PO_STTS_IdxMain.jsp?idx_cd=1578 | 미소장 |
2 | 오승환, 저소득 결손가족 청소년의 적응 결정요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1. | 미소장 |
3 | 조인희, 집단미술치료가 이혼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미소장 |
4 | 보건복지부,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프로그램, 서울:보건복지부, 2006. | 미소장 |
5 | Attachment and Adolescent Psychosocial Functioning ![]() |
미소장 |
6 | Anxiety and Depression in Young Children of Divorce ![]() |
미소장 |
7 | 배주미, 아동 및 청소년의 우울증상과 인지변인의지속성과 상호예측: 18개월 추적연구, 연세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00. | 미소장 |
8 | The Stress of Early Adolescents and the Effects of Selected Ecosystemic Protective Factors on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Adjustments | 소장 |
9 | Effect of Family Flexibility on the Idea of Adolescents Suicide - The Senior Year of High school Boys - | 소장 |
10 | 신성희, 회복력 요인을 중심으로 한 이혼가정 아동의 적응모형구축,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06. | 미소장 |
11 | 조성암, 이혼가정아동의 심리적 부적응 수준에따른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차이, 계명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04. | 미소장 |
12 | M. Rogenberg,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 미소장 |
13 | Why do people need self-esteem? Converging evidence that self-esteem serves an anxiety-buffering function. ![]() |
미소장 |
14 | Does low self-esteem predict depression and anxiety? A meta-analysis of longitudinal studies. ![]() |
미소장 |
15 | 이선화, 집단미술치료가 부자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 미소장 |
16 | 강순남, 자기성장프로그램이 한부모가족 아동의자아존중감 향상과 부적응 행동 감소에 미치는효과,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미소장 |
17 | 박설미, 놀이 중심의 이야기치료 프로그램이 한부모 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미소장 |
18 | 정현숙, 유계숙, 가족관계, 서울:신정, 2002. | 미소장 |
19 | 전병재,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연세논촌, 제1권, pp.107-124, 1974. | 미소장 |
20 | A. T. Beck and M. Kovacs, An Empirical-Clinical Approach toward a Definition of Childhood Depression in Childhood : Diagnosis, Treatment and Conceptual Models, Raven Press, pp.1-25, 1977. | 미소장 |
21 | Development of the Korean form of the Kovacs'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 |
미소장 |
22 | 정선아, 자아성장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미소장 |
23 | study on the early child education program of anti-bias for single parent family | 소장 |
24 | J. Cohen,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second ed.),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8. | 미소장 |
25 | 최영미, 한부모가정 반편견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기표현력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미소장 |
26 |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of Children in Low-Income and Single-Parent Family | 소장 |
27 | 최혜신, 새터민 아동의 미술치료 단일 사례연구-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미소장 |
28 | 신주은,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한부모 가정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11. | 미소장 |
29 | 김혜린,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 가정 아동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미소장 |
30 | Comparison of the effect of maum meditation program on the depression, anxiety and self-esteem of the children and the juveniles | 소장 |
31 | Cognitions and stress: direct and moderating effects on depressive versus externalizing symptoms during the junior high school transition. ![]() |
미소장 |
32 | Low self-esteem prospectively predicts depression in adolescence and young adulthood. ![]()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