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한부모 가정 초등학생을 위한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 정선아 ; 하양숙 1

요약 1

Abstract 1

I. 서론 2

1. 연구의 필요성 2

2. 연구 가설 3

II. 연구방법 3

1. 연구 설계 3

2. 연구 대상 3

3. 측정도구 3

4. 연구진행 4

III. 연구결과 5

1. 연구 대상자들의 인구 통계학적 특징 5

2. 실험군과 대조군의 처지 전 자아존중감, 우울정도에 대한 동질성 검증 5

3. 가설 검증 5

IV. 논의 6

참고문헌 7

저자소개 9

초록보기

본 연구는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이 한부모 가정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은 본 프로그램에 동의한 두 개의 초등학교 한부모 가정 아동 중 지원자를 받아 A학교를 실험군(12명)으로, B학교를 대조군(13명)으로 임의 배정하고 프로그램 시작 전에 자아존중감과 우울 척도를 이용하여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군에게는 한부모 가정 초등학생을 위한 자아존감향상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실험처치는 실험군 12명을 6명씩 2집단으로 나누어 주 1회 40분씩 총 10회기를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종료 후 실험군, 대조군에게 자존감과 우울 척도를 이용하여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사후 검사에서 실험군 1명의 자료가 결측되어 최종 실험군 11명, 대조군 13명의 자료가 수집되었다. 연구결과 대조군 보다 실험군이 유의한 수준에서 자아존중감이 증가(z=-2.499, p<.012, ES(d)=0.7)하고, 우울이 감소(z=-2.145, p<.032, ES(d)=-0.4)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의 프로그램이 한부모 가정 초등학생들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testify the effect of self-esteem improvement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from single-parent families on their self-esteem and depression. Methods: The research design used in this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research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n=11) and a control group(n=13). Data were analysed by using Mann-Whinety U test, Wilcoxon Signed Ranks, Cohen's d with SPSS(PASW)18.0 program. Resul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cores for self-esteem(z=-2.499, p<.012, ES(d)=0.7) and depression(z=-2.145, p<.032, ES(d)=-0.4) in experimental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self-esteem improvement program should be used with elementary school children from single-parent families to help them and to improve their psycho-social adaptation.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가상 3D 콘텐츠의 실시간 방송 시스템을 위한 효율적인 어플리케이션 가상화 기법 장수민, 김원영, 유재수 pp.1-9

보기
3D Magnetic Ball을 이용한 필기체 인식 향상 Coding System 심규승, 이재홍, 이병엽 pp.10-19

보기
비-전용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맵-리듀스 처리 성능 최적화를 위한 효율적인 데이터 재배치 알고리즘 류은경, 손인국, 박준호, 복경수, 유재수 pp.20-27

보기
효율적 범위 검색을 위한 플래시 메모리 기반 B+-트리 임성채, 박창섭 pp.28-38

보기
웹 접근성을 고려한 스마트 워크 지원 연구과제 관리 시스템 구현 구승환, 안경석, 이광모, 최성진 pp.39-48

보기
모바일 오피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폰 레코딩 시스템 강의선, 김정훈 pp.49-57

보기
이창동 영화 탐구 : <초록물고기>, <박하사탕>, <오아시스>를 중심으로 서인숙 pp.58-71

보기
뮈르제 소설 <보헤미안의 생활 정경>과 푸치니 오페라 <라보엠>의 비교를 통한 오페라 담론의 창작 원리 연구 김학민, 김정호 pp.72-80

보기
고려 <청산별곡>과 조선 <강보>의 관계 정경란 pp.81-91

보기
말레이시아 청소년과 성인들의 한류 의식 비교 조금주, 장원호 pp.92-101

보기
독일 로젠탈社의 디자인매니지먼트에 대한 고찰 송현수, 최성운 pp.102-110

보기
디자인 경영 전략이 산업공예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종선 pp.111-120

보기
경찰 정체성 접근론에 관한 논의 박한호, 김성환 pp.121-129

보기
지역활성화를 위한 커뮤니티 비즈니스 도입방안 :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민규, 류상일, 이석표, 강형기 pp.130-142

보기
정치가와 관료측면에서 한국 중앙부처의 조직재편에 관한 연구 : 이명박 정부의 관료조직 재편성 사례를 중심으로 류상일, 이민규 pp.143-154

보기
자기성장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도덕성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허정철 pp.155-163

보기
사회참여가 노인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일영 pp.164-177

보기
노년기 부부갈등이 황혼이혼과 범죄충동에 미치는 영향 강신성, 임왕규 pp.178-192

보기
가족스트레스와 가족탄력성이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재가요양서비스 부양가족을 대상으로 손병일, 정민숙 pp.193-203

보기
부모 양육태도, 사회적 지지 및 강인성이 자녀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정은선, 이자영 pp.204-215

보기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셀프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용두, 정민숙 pp.216-226

보기
한부모 가정 초등학생을 위한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정선아, 하양숙 pp.227-235

보기
한국 청소년의 학교폭력 경험과 심리적 안녕 : 주관적 행복감과 자살충동을 중심으로 김경미, 염유식, 박연민 pp.236-247

보기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종운, 김지현 pp.248-259

보기
남성노인의 성역할정체감 유형 연구 고성희, 김명애, 박은아 pp.260-269

보기
어머니의 직업활동이 선천성 근육사경에 미치는 영향 김기전, 송브라이언병 pp.270-280

보기
후쿠시마 원전 사고 후 방사선 및 원전에 대한 인식 분석 김창수, 김동현, 김정훈 pp.281-287

보기
Digital tomosynthesis imaging of the chest : comparison of patient exposure dose and image quality between default setting and use additional filter Kye-sun Kim, Sung-Min Ahn, Sung-Chul Kim pp.288-294

보기
청주시 일부 중학생들의 치과공포도와 치과공포 요인 심연수, 김아현, 안소연 pp.295-304

보기
QLF-D를 이용한 청각장애 청소년의 구강상태에 관한 조사 김창숙 pp.305-311

보기
간호시뮬레이션 학습시나리오의 개발 및 평가 : 응급실 내원 간경화증 환자사례를 중심으로 강희영, 김은정, 오윤정 pp.312-321

보기
외국인 환자의 국내 병원 서비스 이용 만족도 이황, 이원재, 최광일 pp.322-333

보기
입원 암환자의 죽음준비와 죽음불안 권향숙, 서인선, 김현경 pp.334-343

보기
미국 연방정책금리 조정효과가 국내 국고채시장에 미치는 영향 박재환, 김천규 pp.344-354

보기
증권회사 PB의 개별 특성이 영업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의 지원의 조절 효과에 관한 연구 신재영, 하규수 pp.355-368

보기
소셜커머스 웹사이트의 정보구성요소 : 상품, 가격, 서비스, 판매원 정보를 중심으로 박민정 pp.369-381

보기
CEO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기업의 위기관리 차이에 관한 연구 홍한국, 우보현, 이봉구 pp.382-391

보기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한 무시멘트 경화체의 반응 특성 박선규, 권성준, 김윤미, 이상수 pp.392-399

보기
현장 임계간격을 이용한 다지 회전교차로 분석 박순용, 김동녕, 정준화 pp.400-409

보기
시공단계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고층건물의 해석시스템 개발 이태규 pp.410-417

보기
청소년 운동선수의 성별과 경력에 따른 지각된 코칭행동과 사회적 행동의 차이 이경선 pp.418-428

보기
명승 문화재의 경관자원 발굴을 위한 조망지점 분석 : 해남 달마산 미황사 일원(명승 제59호)을 중심으로 이원호, 김재웅 pp.429-439

보기
코퍼스에 기반한 문학텍스트 분석 하명정 pp.440-447

보기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을 통해 배우는 공감각의 감성적 표현 연구 이진, 이승연 pp.448-454

보기
지능형 로봇 아이로비큐(IrobiQ)를 활용한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개발 현은자, 이하원, 연혜민 pp.455-466

보기
웹 기반 마이크로티칭 시스템 개발 권숙진, 정효정, 조항철 pp.467-475

보기
콘텐츠 품질 향상을 위한 교원연수 이러닝 콘텐츠 분석 김용 pp.476-484

보기
예비보육교사의 보육교사적성이 교사전문성인식과 보육효능감 및 다문화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배문조, 박세정 pp.485-494

보기
한국인 학습자의 영어 모음 발화 연구 이계윤, 초미희 pp.495-503

보기
e-Learning기본간호실습 콘텐츠를 이용한 자기주도학습이 간호학생의 지식, 자신감,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조현숙, 박은영, 최정실 pp.504-514

보기

참고문헌 (3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http://whttp://www.index.go.kr/egams/stts/jsp/ potal/stts/PO_STTS_IdxMain.jsp?idx_cd=1578 미소장
2 오승환, 저소득 결손가족 청소년의 적응 결정요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1. 미소장
3 조인희, 집단미술치료가 이혼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미소장
4 보건복지부,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프로그램, 서울:보건복지부, 2006. 미소장
5 Attachment and Adolescent Psychosocial Functioning 네이버 미소장
6 Anxiety and Depression in Young Children of Divorce 네이버 미소장
7 배주미, 아동 및 청소년의 우울증상과 인지변인의지속성과 상호예측: 18개월 추적연구, 연세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00. 미소장
8 The Stress of Early Adolescents and the Effects of Selected Ecosystemic Protective Factors on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Adjustments 소장
9 Effect of Family Flexibility on the Idea of Adolescents Suicide - The Senior Year of High school Boys - 소장
10 신성희, 회복력 요인을 중심으로 한 이혼가정 아동의 적응모형구축,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06. 미소장
11 조성암, 이혼가정아동의 심리적 부적응 수준에따른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차이, 계명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04. 미소장
12 M. Rogenberg,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미소장
13 Why do people need self-esteem? Converging evidence that self-esteem serves an anxiety-buffering function. 네이버 미소장
14 Does low self-esteem predict depression and anxiety? A meta-analysis of longitudinal studies. 네이버 미소장
15 이선화, 집단미술치료가 부자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미소장
16 강순남, 자기성장프로그램이 한부모가족 아동의자아존중감 향상과 부적응 행동 감소에 미치는효과,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미소장
17 박설미, 놀이 중심의 이야기치료 프로그램이 한부모 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미소장
18 정현숙, 유계숙, 가족관계, 서울:신정, 2002. 미소장
19 전병재,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연세논촌, 제1권, pp.107-124, 1974. 미소장
20 A. T. Beck and M. Kovacs, An Empirical-Clinical Approach toward a Definition of Childhood Depression in Childhood : Diagnosis, Treatment and Conceptual Models, Raven Press, pp.1-25, 1977. 미소장
21 Development of the Korean form of the Kovacs'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네이버 미소장
22 정선아, 자아성장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미소장
23 study on the early child education program of anti-bias for single parent family 소장
24 J. Cohen,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second ed.),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8. 미소장
25 최영미, 한부모가정 반편견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기표현력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미소장
26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of Children in Low-Income and Single-Parent Family 소장
27 최혜신, 새터민 아동의 미술치료 단일 사례연구-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미소장
28 신주은,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한부모 가정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11. 미소장
29 김혜린,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 가정 아동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미소장
30 Comparison of the effect of maum meditation program on the depression, anxiety and self-esteem of the children and the juveniles 소장
31 Cognitions and stress: direct and moderating effects on depressive versus externalizing symptoms during the junior high school transition. 네이버 미소장
32 Low self-esteem prospectively predicts depression in adolescence and young adulthood.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