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Purpose : Vitamin D deficiency is a public health problem in many countries. There has been a reappearance of rickets from vitamin D deficiency in recent decades as a result of multiple factors. One of the factors is breast feed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clinical presentation of rickets in breastfed infants.
Methods : Retrospective review of patients presenting to Ajou University hospital between 2003 and 2008 with rickets caused by vitamin D deficiency during breast feeding.
Results : Seventeen patients (10 boys and 7 girls) were diagnosed with vitamin D deficiency. There were six in the asymptomatic and eleven in the symptomatic patien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8.5?.5 months. The mean 25-hydroxycholecalciferol was 3.55?.88 ng/mL. 25-hydroxycholecalciferol levels were below 5 ng/mL in 13 patients. The mean serum alkaline phosphatase was 765.53?63.9 IU/L, the mean intact parathyroid hormone was 231.6?25.7 pg/mL. All except 3 patients were showed cupping and fraying of metaphysis.
Conclusion : Breast feeding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rickets. We recommend vitamin D supplementation of all breastfed infants to prevent rickets. Supplementation should begin within the first 2 months of life. Also, we hope to initiate further research and debate about guideline of vitamin D supplementation.
목 적:최근 들어 여러 선진국에서 비타민 D 결핍에 의한 구루병이 증가하고 있다. 연령, 일조량, 환경 오염, 생활 습관 등 여러 인자가 관련이 있지만 모유수유율의 증가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본 연구는 구루병이 발생한 모유수유아를 대상으로 임상적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2003년 3월부터 2008년 5월까지 아주대학교 병원 소아과를 방문하여 모유 수유 중에 비타민 D 결핍성 구루병으로 진단, 치료하였던 환아 1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성별, 진단시 연령, 임상증상, 혈액검사 및 방사선학적 소견을 후향적인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17명의 평균 연령은 8.5±0.5개월(2-26개월)이었다. 혈액 검사에서 25-OHD3의 평균 농도는 3.5±1.9 ng/mL (1.2-9.0 ng/mL)으로 17명 모두 비타민D 결핍증을 보였고 총 알칼리인산분해효소(alkaline phosphatase)는 765.5±563.9 IU/L로 정상 범위보다 증가 되었고 부갑상선 호르몬(PTH)은 231.6±225.7 pg/mL로 역시 증가 되어 있었다. 칼슘은 6.2±0.9 mg/dL로 정상범위보다 낮았으며 17명의 환아 중 저칼슘혈증의 첫 증상으로서 9명의 환아는 경련을 하였고, 2명은 손발경축(capopedal spasm)을 보였다. 그 외 6명의 환아는 상기도 감염(3명), 급성 위장관염(2명), 바이러스성 간염(1명)으로 내원하였다가 우연히 구루병으로 진단되었다. 17명 모두 모유수유를 하고 있었고, 이 중 9명에서(52%) 철결핍빈혈이 동반되었다. 방사선학적 검사에서 17명중 14명(82%)이 손목 골간단에 cupping 및 fraying 소견을 보였고 1명에서는 흉부 방사선 검사에서 구루병 염주를 보였다.
결 론:현재까지 모유는 여러 면에서 우수하고 분유에 비해 장점이 많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으나, 비타민 D 의 함유량이 우유에 비해 적기 때문에 구루병의 발생과 모유 수유율 증가와의 연관성에 대한 보고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모유수유시 적어도 생후 2개월부터 비타민D 보충이 필요하며 모유수유아에서의 비타민 D 결핍증에 대한 대규모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소아 청소년 비만 치료의 최신지견 | 정소정 | pp.136-142 |
|
|
비만의 유전학적 연구 | 양승 | pp.129-135 |
|
|
소아 갈색세포종의 임상적 특징 | 배화영, 신충호, 양세원 | pp.150-157 |
|
|
모유수유아에서의 비타민 D 결핍성 구루병 | 이해상, 임범택, 이효성, 황진순 | pp.158-162 |
|
|
특발성 저신장증 환아의 혈중 Insulin-like Growth Factor-I 및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3 농도 | 배원진, 정지미, 정우영 | pp.143-149 |
|
|
소아와 청소년기에 발생한 하시모토 갑상샘염의 장기 추적 관찰 시 임상적 특징 | 이정현, 유한욱 | pp.163-171 |
|
|
당뇨병성 신증의 조기 예측 인자로서의 혈중 cystatin C 및 β2-microglobulin의 유용성 | 채현욱, 신재일, 김범석, 김호성, 김덕희 | pp.177-183 |
|
|
소아에서 성장촉진대체요법으로 사용된 한약의 예측성인신장에 대한 영향 분석 | 정환희, 심계식 | pp.172-176 |
|
|
담낭결석이 있는 산모에서 태어난 Binder 증후군 환자 1례 | 이현재, 이강민, 김동호, 김동환, 이준아, 박경덕, 임중섭 | pp.188-192 |
|
|
5α-reductase 결핍증으로 진단된 쌍생아에서 발생한 성발달 장애 | 이상택, 성기혜, 변정림, 윤여민, 정소정 | pp.184-187 |
|
|
당뇨병 환아에서 청소년기에 발생한 심부전 1례 | 안호성, 박선주, 이은주, 김현지 | pp.193-197 |
|
|
체중증가를 동반한 갑상샘 과다증 1례 | 성기혜, 곽병옥, 정소정 | pp.203-206 |
|
|
급성 복통으로 나타난 소아 원발성 부갑상샘항진증 1례 | 남궁욱, 박인서, 손병관, 박신영, 김복기, 정수호, 김순기, 이지은 | pp.198-202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Weisberg P, Scanlon KS, Li R, Cogswell ME. Nutritional rickets among children in the United States: review of cases reported between 1986 and 2003. Am J Clin Nutr. 2004;80(6 suppl):1697S-705S. | 미소장 |
2 | The re-emerging burden of rickets: a decade of experience from Sydney. ![]() |
미소장 |
3 | Vitamin D-deficiency rickets among children in Canada ![]() |
미소장 |
4 | Kim SG, Cho AJ, Kim YK, Do SR, Lee KY. 2006 The survey on the national fertility, family health and welfare. 24th ed. Seoul: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6:310-8. | 미소장 |
5 | Vitamin D deficiency in children and its management: review of current knowledge and recommendations. ![]() |
미소장 |
6 | The total content of vitamin D in human milk and cow's milk. ![]() |
미소장 |
7 | Heinig MJ. Vitamin D and the breastfed infant: controversies and concerns. J Hum Lat 2003;19:247-9. | 미소장 |
8 | 25-hydroxyvitamin D levels among healthy children in Alaska. ![]() |
미소장 |
9 | Prevention of rickets and vitamin D deficiency: new guidelines for vitamin D intake. ![]() |
미소장 |
10 | Vitamin D deficiency in the 21st century: a persistent problem among Canadian infants and mothers. ![]() |
미소장 |
11 |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ant and childhood vitamin D deficiency in Australia and New Zealand: a consensus statement. ![]() |
미소장 |
12 | 1,25-dihydroxyvitamin D$_{3}$: A Novel Immunoregulatory Hormone ![]() |
미소장 |
13 | Intake of vitamin D and risk of type 1 diabetes: a birth-cohort study ![]() |
미소장 |
14 | Vitamin D intake is inversely associated with rheumatoid arthritis: Results from the Iowa Women's Health Study ![]() |
미소장 |
15 | 1,25-Dihydroxycholecalciferol prevents and ameliorates symptoms of experimental murine inflammatory bowel disease. ![]() |
미소장 |
16 | Wayse V, Yousafzai A, Mogale K, Filteau S. Association of subclinical vitamin D deficiency with severe acute lower respiratory infection in Indian children under 5y. Eur J Clin Nutr 2004;58:563-7. | 미소장 |
17 | Eight cases of incidentally diagnosed as subclinical rickets | 소장 |
18 | Subclinical rickets in breastfed infants | 소장 |
19 | The many faces of vitamin D deficiency rickets. ![]() |
미소장 |
20 | Diagnosis of subclinical rickets. ![]() |
미소장 |
21 | Sunshine exposure and serum 25-hydroxyvitamin D concentrations in exclusively breast-fed infants ![]() |
미소장 |
22 | Yu CK, Sykes L, Sethi M, Teoh TG, Robinson S. Vitamin D deficiency and supplementation during pregnancy. Clin Endocrinol In press 2008.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