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논문은 한국 제조업 기업의 특허 자료를 이용하여 기업의 특성들이 해외 특허 출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기업의 국내특허, 해외출원특허, 기업의 재무통계를 서로 연결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기술수준, 수출, 규모 등의 변수를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1999년부터 2018년까지 20년동안 제조업 기업이 출원한 국내특허와 해외특허를 분석하였는데, 이 기간 동안 국내출원 뿐만 아니라 해외출원 특허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고, 국내 출원 특허 대비 해외 출원 특허 건수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제조업 중에서는 ICT, 자동차, 화학산업에서 특허출원 건수가 많고, 특히 ICT산업에서 특허수가 압도적으로 많다.
패널회귀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특허가 증가할수록 해외출원이 증가하고, 또 매출액이나 수출액이 클수록 해외특허출원이 증가한다. 둘째, 일반산업들은 평균적으로 국내특허출원 증가시 약 41~43% 정도 해외출원이 증가함에 비해, 특허집약산업인 ICT, 화학, 자동차 산업에서는 일반산업보다 해외특허출원 증가율이 더 높다. 마지막으로, 시간이 흐름에 따라 국내 특허출원 증가에 따른 해외 특허출원의 탄력성이 증가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기업의 해외특허출원 경향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업의 해외출원에 대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제조업 기업의 특성이 해외 특허 출원에 미치는 영향 분석 = Determinants of overseas patent applications : the case of Korean manufacturing companies | 김태기, 백운, 오근엽 | p. 1-25 |
|
|
정부 R&D 지출 효과 분석을 위한 동태일반균형(DSGE) 모형 개발 = A DSGE model for the government R&D expenditure | 심명규, 이동진 | p. 27-58 |
|
|
경제성장과 적정 소득불균등 = Economic growth and income inequality | 강종구 | p. 59-102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수동(1998), “한국 산업재산권 출원의 결정요인”, 서울: 한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 국제경제연구 | 미소장 |
2 | 김태기(2002), “한국 R&D투자와 특허의 상관관계 분석”, 『경영논총』, 제27권, 35-54. | 미소장 |
3 | 김태기․장선미(2004), “기업의 연구개발투자가 특허에 미치는 영향: 한국 제조업기업을 대상으로”, 『기술혁신연구』, 제12권 제1호, 1-24. | 미소장 |
4 | 성태경(2003), “기업의 기술혁신 활동 결정요인: 자원기반 관점에서 본 탐색적 연구”, 『기술혁신연구』, 제10권 제2호, 69-90. | 미소장 |
5 | 오근엽․김태기․Maskus(2003), “한국특허보호가 특허생산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제연구』, 제11권, 71-93. | 미소장 |
6 | 오준병(2012), “특허출원 및 심사청구의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 미소장 |
7 | 이원경(2000), “포아송 회귀모형을 통한 국내 특허의 생산함수 추정”, 서울: 연세대학교박사학위 논문. | 미소장 |
8 | 조인제(1966), “WTO 출범이 특허와 실용신안 출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특허법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9 | 특허청(2021), 『해외 특허출원이 중소 제조기업의 성장 및 수출에 미치는 효과 분석』 | 미소장 |
10 | 한국지식재산연구원(2017), 『기술혁신형 기업의 해외특허 전략』. | 미소장 |
11 | 한국지식재산연구원(2020), 『중소기업 해외특허 지원사업의 정책효과 제고를 위한실증분석』. | 미소장 |
12 | Acs, Z. J. and Auderetsch, D. B.(1988), “Innovation and Firm Size in Manufacturing”, Technovation, 7, 197-210. | 미소장 |
13 | Bannò, M.(2016), “Propensity to Patent by Family Firms”, Journal of Family Business Strategy, 7(4), 38-248. | 미소장 |
14 | Barros, H. M.(2015), “Exploring the Use of Patents in a Weak Institutional Environment: The Effects of Innovation Partnerships, Firm Ownership, and New Management Practices”, Technovation, 45-46, 63-77. | 미소장 |
15 | Bound, J., Cummins, C., Griliches, Z., Hall, B. H., and Jaffe, A.(1984), “Who Does R&D and Who Patents?”, R&D, Patents, and Productivity, 21-54. | 미소장 |
16 | Cockburn, I. and Griliches, Z.(1988), “Industry Effects and Appropriability Measures in the Stock Market’s Valuation of R&D and Patents”, American Economic Review, 78(2), 419-23. | 미소장 |
17 | Cohen, W. M., Nelson, R. R., and Walsh, J. O.(2000), Protecting Their Intellectual Assets: Appropriability Conditions and Why U.S. Manufacturing Firms Patent(or not), NBER Working Paper, 7552. | 미소장 |
18 | Cohen, W. M. and Merrill, S. A.(eds)(2004), Patents in the Knowledge-based Economy,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 미소장 |
19 | Fontana, R., Nuvolari, A., Shimizu, H., and Vezzulli, A.(2013), “Reassessing Patent Propensity: Evidence from a Dataset of R&D Awards, 1977-2004”, Research Policy, 42(10), 1780-1792. | 미소장 |
20 | Gesing, J., Antons, D., Piening, E. P., Rese, M., and Salge, T. O.(2015), “Joining Forces or Going it Alone? On the Interplay among External Collaboration Partner Types, Interfirm Governance Modes, and Internal R&D”,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32(3), 424-440. | 미소장 |
21 | Ginarte, J. C. and Park, W. G.(1997), “Determinants of patent rights: A cross-national study”, Research Policy, 26(3), 283-301. | 미소장 |
22 | Griliches, Z.(1990), “Patent Statistics as Economic Indicators: A Survey”,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28, 1661-1707. | 미소장 |
23 | Griliches, Z., Pakes, A., and Hall, B. H.(1986), The Value of Patents as Indicators of Inventive Activity, NBER Working Paper, 2083. | 미소장 |
24 | Hall, B. H. and Ziedonis, R. H.(2001), “The Patent Paradox Revisited: Firm Strategy and Patenting in the U.S. Semiconductor Industry, 1979-1995”, RAND Journal of Economics, 32(1), 101-128. | 미소장 |
25 | Huang, W. L., Feeney, M. K., and Welch, E. W.(2011),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Determinants of Patent Production of Academic Scientists and Engineers in the U. S.”, Science & Public Policy, 38(6), 463-479. | 미소장 |
26 | Levin, R., Kievorick, A., Nelson, R. R., and Winter, S. G.(1987), “Appropriating the returns from industrial R&D”, Brookings Papers on Economic Activity, 3, 783-820. | 미소장 |
27 | Madsen, J.(2008), “Economic Growth, TFP Convergence and the World Export of Ideas: A Century of Evidence”, Scandinavian Journal of Economics, 110(1), 145-167. | 미소장 |
28 | Nicholas, T.(2010), “The Role of Independent Invention in US Technological Development, 1880-1930”, The Journal of Economic History, 70(1), 57-82. | 미소장 |
29 | Pakes, A. and Griliches, Z.(1980), “Patents and R&D at the Firm Level: A First Report”, Economic Letters, 5(4), 377-381. | 미소장 |
30 | Pakes, A. and Griliches, Z.(1984), “Patents and R&D at the Firm Level: A First Look”, In Griliches ed. R&D”, Patents, and Productivity, 55-72. | 미소장 |
31 | Pérez-Luño, A. and Valle-Cabrera, R.(2011), “How Does the Combination of R&D and Types of Knowledge Matter for Patent Propensity?”, Journal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Management, 28(1-2), 33-48. | 미소장 |
32 | Sakakibara, M. and Branstetter, L.(2003), “Measuring the Impact of US Research Consortia”, Managerial and Decision Economics, 24(23), 51-56. | 미소장 |
33 | Schmookler, J.(1966), Invention and Economic Growth, Harva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34 | da Silva, P. B., Silva-Mann, R., da Santos, C.(2019), “Determinants of Companies' Propensity to Patent”, International Journal of Innovation Education and Research, 7(7), 213-226. | 미소장 |
35 | da Silva, P. B. B., Silva-Man, R., and da Santos, C.(2019), “Propensity to Patent Brazilian Companies: Importance of Economic and Financial Perform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Engineering Research and Science, 6(3), 277-285. | 미소장 |
36 | Wu, C., Kim, T., and Oh, K.(2019), “Shift from Input-based Growth to Productivitybased Growth in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Asian Economic Journal, 33(4), 363-379.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