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園林복원을 위한 전통공간 조성기법연구 : 명승 제40호 : 담양 소쇄원 / 조사·집필: 나명하, 이근영, 이원호, 김재웅, 김동현, 이창훈 인기도
발행사항
대전 : 국립문화재연구소 자연문화재연구실 천연기념물센터, 2015
청구기호
712.60951 -16-3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207 p. : 삽화, 표 ; 28 cm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29907013
제어번호
MONO1201618269
주기사항
부록: 1. 소쇄원 48영시 ; 2. 소쇄원 30영시 ; 3. 소쇄원 항공사진
참고문헌: p. 180-181
CD-ROM으로도 이용가능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의 '2015 한·중·일 명승의 보존·관리 협력을 위한 정책개발연구 결과로 작성되었음
이용가능한 다른 형태자료:원림 복원을 위한 전통공간 조성기법 연구  바로보기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1장. 연구의 개요 8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

2. 연구의 대상 및 범위 11

1) 연구대상지 11

2) 연구의 범위 13

3. 관련 연구 동향 15

1) 원림(園林)의 개념 15

2) 조경학 분야 17

3) 경관분석학 분야 19

4) 국ㆍ한문학 분야 20

5) 소결 22

2장. 외부공간과의 관련성 24

1. 별서와 본가와의 관계 25

2. 주변 원림과의 관계 27

1) 소쇄원 주변의 원림문화 27

2) 소쇄원과 주변 원림과의 관계 31

3장. 내부공간의 조영 36

1. 입지 37

2. 공간구성 39

1) 정밀 지형분석을 통한 공간 분류 41

2) 3D 스캔을 통한 소쇄원의 지형분석 49

3. 수계 63

4. 건조물 67

1) 광풍각 67

2) 제월당 69

3) 초정 71

5. 식재 72

1) 소쇄원 식재현황 72

2) 문헌자료와의 비교 88

3) 식생경관의 변천 92

6. 점경물 102

4장. 경관의 특성 111

1. 경관변화양상 112

1) 공간구성 변화의 시기설정 112

2) 공간구성 변화 과정 113

3) 공간변화과정의 특성 134

2. 정사영상 촬영결과 136

5장. 관련인물로 본 가치인식 143

1. 소쇄원 관련 문헌 144

2. 소쇄원 관련 인물 148

3. 소쇄원 관련 시문의 분석 156

1) 대상 156

2) 내용 158

4. 시문에서 나타나는 공간 인식 162

5. 소결 167

6장. 결론 171

참고문헌 177

[부록] 181

1. 소쇄원 48영시 182

2. 소쇄원 30영시 190

별첨CD 부록 196

항공사진 198

3D 스캔 200

도면 201

스틸사진 202

판권기 204

표 1-1. 대상지 개요 11

표 2-1. 소쇄원 주변의 원림 28

표 2-2. 소쇄원과 주변 원림들의 경관특성 34

표 3-1. 소쇄원 내 식재된 수목의 성상 및 수종 73

표 3-2. 소쇄원내 구역별 수목 실측 목록 82

표 3-3. 소쇄원 48영시에 출현한 수목 89

표 3-4. 소쇄원 48영, 소쇄원도와 현재의 식재현황 비교 91

표 3-5. 시기별 소쇄원 내 식재수종비교 93

표 3-6. 소쇄원에 나타나는 점경물의 현존 유무 102

표 4-1. 소쇄원 48영시의 시제 118

표 4-2. 소쇄원 30영시의 시제 122

표 4-3. 시기별 변화에 따른 경관구성요소 134

표 4-4. 지점별 수직부감 촬영결과 138

표 5-1. 소쇄원 사실 목차 146

표 5-2. 소쇄원 관련 시문의 저자정보 및 인물관계 150

표 5-3. 소쇄원 시문에서 나타나는 경관조합의 유형 158

표 5-4. 소쇄원 시문에서 나타나는 대상 및 내용 160

그림 1-1. 광풍각 전경 10

그림 1-2. 명승 제40호 담양 소쇄원 문화재 지정구역도(문화재청) 11

그림 1-3. 소쇄원 항공사진 12

그림 1-4. 소쇄원 내부 전경 14

그림 2-1. 소쇄원과 과거 창암촌 일대 26

그림 2-2. 소쇄원 주변 원림의 위치 29

그림 2-3. 소쇄원 30

그림 2-4. 환벽당 30

그림 2-5. 식영정 30

그림 2-6. 면앙정 30

그림 2-7. 송강정 30

그림 2-8. 명옥헌 30

그림 2-9. 풍암정 30

그림 2-10. 성산계류탁열도 31

그림 3-1. 지승 (地乘) 38

그림 3-2. 광여도 (廣輿圖) 38

그림 3-3. 해동지도 (海東地圖) 38

그림 3-4. 1872 지방도 38

그림 3-5. 소쇄원 공간배치도 39

그림 3-6. 소쇄원 단면도 41

그림 3-7. 소쇄원 지형분석도와 항공사진 오버랩 결과 42

그림 3-8. 소쇄원도 내 A구역 43

그림 3-9. 광풍각에서 바라본 소쇄원 내부의 계류 44

그림 3-10. 애양단 일대에서 바라본 소쇄원 45

그림 3-11. 제월당 내부에서 조망되는 모습 46

그림 3-12. 소쇄원 내원 중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제월당 46

그림 3-13. 내부공간의 위계 47

그림 3-14. 소쇄원 내부 3D 스캔 작업 49

그림 3-15. 담양 소쇄원 스캔작업 전경 49

그림 3-16. 담양 소쇄원 스캔데이터 현황 50

그림 3-17. 점 데이터 노이즈 제거 전(우측아래)과 후 51

그림 3-18. 3point 지정 후 파일 정합 52

그림 3-19. 정합 후 오차율 53

그림 3-20. 'Refine'을 이용한 오차 조정 결과 53

그림 3-21. 5mm 샘플링(Sampling) 결과물 54

그림 3-22. 점데이터 정합을 통한 소쇄원 평면도 55

그림 3-23. 폴리곤 데이터 정합을 통한 소쇄원 평면도 56

그림 3-24. 3D 실측을 통한 소쇄원 평면도 57

그림 3-25. 3D 실측을 통한 소쇄원 조감도 결과물 58

그림 3-26. 3D 스캔을 통한 광풍각 분석 결과 59

그림 3-27. 3D 스캔을 통한 제월당 분석 결과 60

그림 3-28. 3D 스캔을 통한 대봉대 분석 결과 61

그림 3-29. 3D 스캔을 통한 오곡문 분석 결과 62

그림 3-30. 나무홈통을 따라 상지로 유입되는 수계 64

그림 3-31. 상지와 하지의 연결수로 64

그림 3-32. 상지와 연결된 하지 64

그림 3-33. 소쇄원 내부의 수경요소 66

그림 3-34. 광풍각 평면도 67

그림 3-35. 광풍각 전면 68

그림 3-36. 광풍각에서 바라본 소쇄원 내부 전경 68

그림 3-37. 제월당 평면도 69

그림 3-38. 제월당 내부 현판 70

그림 3-39. 초정 전경 71

그림 3-40. 제월당과 화계 권역 74

그림 3-41. 제월당과 화계 식재현황 75

그림 3-42. 광풍각과 계류 권역 76

그림 3-43. 광풍각 계류권역 식재현황 77

그림 3-44. 대봉대 권역 78

그림 3-45. 대봉대권역 식재현황 79

그림 3-46. 고암정사 부훤당 터 추정지 80

그림 3-47. 고암정사 부훤당 터 추정지 식재현황 81

그림 3-48. 소쇄원 식재현황도 87

그림 3-49/그림 4-49. 소쇄원도에서 확인되는 수종현황 90

그림 3-50. 소쇄원 내부의 식생경관 92

그림 3-51. 1983년 소쇄원 식재배치도 95

그림 3-52. 1999년 소쇄원 식재배치도 97

그림 3-53. 1953년 제월당 전면의 화단 99

그림 3-54. 현재 제월당 전경 99

그림 3-55. 소쇄원 내부 노송 100

그림 3-56. 외부에서 바라본 현재 소쇄원 식생 100

그림 3-57. 담장 상부의 고사목과 활엽수의 수관 100

그림 3-58. 담장 상부 고사목 제거 100

그림 3-59. 1983년 제월당에서 바라본 소쇄원 전면부 식생 101

그림 3-60. 현재 제월당에서 바라본 전면부 식생 101

그림 3-61. 소쇄원도에 나타나는 점경물의 위치 103

그림 3-62. 현존하는 소쇄원 내 점경물 상세 사진 104

그림 3-63. 투죽위교 전경 105

그림 3-64. 투죽위교 상부의 시멘트 구조물 현황 105

그림 3-65. 오곡문 담장 105

그림 3-66. 단절된 형태의 오곡문 105

그림 3-67. 1983년과 현재 소쇄원 암반 일대의 비교 106

그림 3-68. 1983년과 현재 오곡문 주변 약작의 비교 107

그림 3-69. 이끼제거 및 주변정리 전 각자바위 108

그림 3-70. 각자바위 이끼제거 및 주변정리 108

그림 3-71. 암반부 균열에 의해 확인이 어려운 글자 상세 108

그림 3-72. 광풍각 전면부의 각자바위 108

그림 4-1. 고암정사와 부훤당 일대 양씨종가 건조물 (원 안) 127

그림 4-2. 제월당과 광풍각 사이의 축대 128

그림 4-3. 소쇄원 남측 죽림 일대의 석축과 담장 128

그림 4-4. 축대만 남아 있는 대봉대 권역 128

그림 4-5. 1983년 소쇄원 배치도 130

그림 4-6. 1999년 소쇄원 배치도 132

그림 4-7. 소쇄원 외원 및 영향권역 135

그림 4-8. 비행 후 기체상태 모니터링 결과 136

그림 4-9. Waypoint촬영을 위한 비행경로 분석결과 137

그림 4-10. 소쇄원 내부 DSM추출 결과 140

그림 4-11. 정사영상 모니터링 결과 141

그림 5-1. 소쇄원 관련 시문 작자의 관계도 149

그림 5-2. 소쇄원 각자 탁본 152

그림 5-3. 소쇄원 관련 시문에서 나타나는 교유관계별 소쇄원의 가치인식 162

그림 5-4. 소쇄원 관련 시문에서 나타난 교유관계별 주요 대상 163

그림 5-5. 소쇄원 시문에 나타난 교유관계별 소쇄원에서의 감회 165

그림 5-6. 소쇄원 시문에 나타난 교유관계별 소쇄원에서의 향유행위 166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166389 712.60951 -16-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166390 712.60951 -16-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