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미얀마 띨라와항 등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검토용역 : 보고서 / 해양수산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해양수산부, 2017
청구기호
387.109591 -18-1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x, 342 p. (일부접지), 도판 [3] p. : 삽화, 도표, 지도 ; 30 cm
제어번호
MONO1201851407
주기사항
[용역기관]: (주)혜인이엔씨, (주)아라기술
사업책임기술자: 송인철
부록: 1. 과업수행경위 첨부자료 ; 2. 참여기술자 명단
부록/보유자료:미얀마 띨라와항 등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검토용역 [전자자료]  바로보기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미얀마 띨라와항 13번선석 개발계획 조감도

미얀마 신민항 개발계획 조감도

미얀마 심해항 개발계획 조감도

제출문

목차

제1장 총설 26

1.1. 과업의 개요 27

1.1.1. 과업의 목적 27

1.1.2. 과업의 위치 27

1.1.3. 과업의 범위 28

1.2. 과업수행 현황 29

1.2.1. 과업수행 경위 및 향후추진 일정 29

1.2.2. 과업기간 29

1.2.3. 과업수행 업체 29

1.3. 과업수행 흐름도 30

1.4. 과업수행 결과 요약 31

1.4.1. 추진배경 31

1.4.2. 기본방향 31

1.4.3. 평면배치계획 38

1.4.4. 항만시설물 설계 41

1.4.5. 건설 공사비 45

1.4.6. 경제성 및 재무성 분석 46

1.4.7. 사업화 방안 49

제2장 사업추진 배경 및 여건분석 50

2.1. 사업의 배경 및 필요성 분석 51

2.1.1. 사업추진 배경 검토 51

2.1.2. 사업추진 필요성 51

2.2. 사업의 개발여건 분석 56

2.2.1. 국가 개황 분석 56

2.2.2. 경제 및 재정여건 분석 59

2.2.3. 관련계획 조사 및 관련계획간 연계성 분석 62

2.2.4. 관련법률 조사 및 검토 76

2.2.5. 대내·외 여건분석 87

2.2.6. 시장 및 수요조사 88

2.2.7. 사업의 위험요소 예측 92

제3장 기초 자료 조사 95

3.1. 자연 조건 조사 96

3.1.1. 지형 및 지세 96

3.1.2. 기상 조건 97

3.1.3. 해상조건 99

3.2. 인문·사회 현황조사 100

3.3. 산업 및 경제현황 조사 106

3.3.1. 양곤지역 공업단지 122

3.3.2. 인프라 현황 129

3.4. 미얀마 항만 현황 조사 132

3.5. 현지조사 147

제4장 수요예측 및 기능정립 162

4.1. 개요 163

4.2. 기존 실적자료 분석 163

4.2.1. 양곤항 기존 실적자료 163

4.3. 주요 경제지표 분석 167

4.4. 물동량 예측 기본방향 168

4.4.1. 기본방향 168

4.4.2. 물동량 예측 범위 169

4.4.3. 물동량 예측 방법 169

4.4.4. 물동량 예측자료의 한계 171

4.5. 컨테이너화물 물동량 예측 171

4.5.1. 컨테이너 물동량 처리실적 171

4.5.2. 컨테이너 물동량 예측 172

4.6. 비컨테이너화물 물동량 예측 178

4.6.1. 비컨테이너 물동량 처리실적 178

4.6.2. 비컨테이너 물동량 예측 179

4.7. 하역능력 산정 183

4.7.1. 기본방향 183

4.7.2. 기존부두의 하역능력 검토 183

4.7.3. 신항만 하역능력 산정 185

4.8. 신항만 개발규모 검토 193

4.8.1. 기본방향 193

4.8.2. 컨테이너부두 개발규모 검토 194

4.8.3. 비컨테이너 개발규모 검토 195

4.8.4. 신항만별 개발규모 검토 결과 197

4.9. 항만 배후단지 개발규모 검토 198

제5장 대상항만의 타당성 분석 199

5.1. 기본방향 200

5.2. 개발여건 분석 201

5.2.1. 개발여건 201

5.3. 평면배치계획 수립 204

5.3.1. 물동량 예측결과 및 개발규모 204

5.3.2. 띨라와항 평면배치계획 207

5.3.3. 신민항 평면배치계획 209

5.3.4. 심해항 평면배치계획 212

5.4. 항만시설계획 215

5.4.1. 설계기준 215

5.4.2. 띨라와항 시설계획 224

5.4.3. 신민항 시설계획 238

5.4.4. 심해항 시설계획 254

5.5. 항만운영시스템 수립 279

5.5.1. 전제조건 279

5.5.2. 하역장비 운영계획 280

5.5.3. 인력 운영계획 283

5.6. 건설계획 수립 285

5.6.1. 띨라와항 건설계획 285

5.6.2. 신민항 건설계획 288

5.6.3. 심해항 건설계획 291

제6장 경제성 및 재무성 분석 294

6.1. 경제성 분석 기준 및 방법 295

6.1.1. 경제성 분석의 전제 조건 295

6.1.2. 비용-편익 분석(B/C Analysis) 297

6.2. 경제성 분석 299

6.2.1. 편익의 추정 299

6.2.2. 경제성 분석 315

6.2.3. 민감도 분석 316

6.3. 띨라와항 재무성 분석 319

6.3.1. 띨라와항 일반가정 319

6.3.2. 띨라와항 투자계획 320

6.3.3. 띨라와항 운영수입 322

6.3.4. 띨라와항 운영비용 323

6.3.5. 띨라와항 재무성 분석 결과 325

6.3.6. 띨라와항 민감도 분석 326

6.4. 신민항 재무성 분석 327

6.4.1. 신민항 일반가정 327

6.4.2. 신민항 투자계획 328

6.4.3. 신민항 운영수입 330

6.4.4. 신민항 운영비용 331

6.4.5. 신민항 재무성 분석 결과 334

6.4.6. 신민항 민감도 분석 335

6.5. 심해항 재무성 분석 336

6.5.1. 심해항 일반가정 336

6.5.2. 심해항 투자계획 337

6.5.3. 심해항 운영수입 339

6.5.4. 심해항 운영비용 340

6.5.5. 심해항 재무성 분석 결과 343

6.5.6. 심해항 민감도 분석 343

제7장 사업화 방안 345

7.1. BIZ Model 검토 346

7.1.1. 기본방향 346

7.1.2. 개발여건 검토 346

7.2. 투자리스크 분석 및 저감방안 347

7.3. 사업화 방안 검토 348

7.3.1. 국내 및 수원국 기업체의 참여 가능성 검토 348

7.3.2. 국내·외 재무적 투자자 참여 가능성 검토 351

7.3.3. 사업추진 방식 제시 354

7.4. 사업모델 구상 362

7.4.1. 사업추진 방안 362

7.4.2. 사업모델 검토 363

7.4.3. 미얀마 신투자법을 고려한 연계방안 및 세제혜택 365

7.4.4. 각 항별 사업모델 검토 366

7.5. 결론 371

7.5.1. 사업화 방안 371

부록 372

1. 과업수행경위 첨부자료 372

2. 참여기술자 명단 408

〈표 1.1.1〉 예비 타당성 분석 28

〈표 1.1.2〉 기술적 타당성 검토 28

〈표 1.1.3〉 경제적·재무적 타당성 분석 28

〈표 1.1.4〉 성과품 제출 28

〈표 1.2.1〉 과업수행 경위 29

〈표 1.2.2〉 과업수행 업체 29

〈표 1.4.1〉 미얀마 컨테이너 물동량 예측결과 35

〈표 1.4.2〉 미얀마 비컨테이너 물동량 예측결과 35

〈표 1.4.3〉 단계별 개발규모 37

〈표 1.4.4〉 띨라와항 건설공사비 45

〈표 1.4.5〉 신민항 건설공사비 45

〈표 1.4.6〉 심해항 단계별 건설공사비 46

〈표 1.4.7〉 띨라와항 경제성 분석결과 46

〈표 1.4.8〉 띨라와항 재무성 분석결과 47

〈표 1.4.9〉 신민항 경제성 및 재무성 분석결과 47

〈표 1.4.10〉 심해항 경제성 분석결과 48

〈표 1.4.11〉 심해항 재무성 분석결과 48

〈표 2.1.1〉 미얀마 전력산업 개발 장기계획 54

〈표 2.2.1〉 미얀마 국가개요 56

〈표 2.2.2〉 한-미얀마 관계 58

〈표 2.2.3〉 EDCF 지원현황 58

〈표 2.2.4〉 주요 경제지표 59

〈표 2.2.5〉 미얀마의 국경무역 지대 60

〈표 2.2.6〉 최근 4년간 국경무역동향 61

〈표 2.2.7〉 짜욱퓨 신항 프로젝트 개요 63

〈표 2.2.8〉 칼르가욱 신항 프로젝트 개요 64

〈표 2.2.9〉 다웨이 신항 프로젝트 개요 65

〈표 2.2.10〉 양곤신도시 건설 계획 개요 68

〈표 2.2.11〉 띨라와 경제특구 개요 69

〈표 2.2.12〉 짜욱퓨 프로젝트 개요 72

〈표 2.2.13〉 다웨이 프로젝트 개요 73

〈표 2.2.14〉 미얀마 철도청의 중장기 개발 추진 프로젝트 74

〈표 2.2.15〉 미얀마 경제정책 75

〈표 2.2.16〉 미얀마 투자법 변경 내용 비교 76

〈표 2.2.17〉 신 투자법에 명시된 MIC 승인이 필요한 사업 79

〈표 2.2.18〉 경제특구법 주요 변동사항 81

〈표 2.2.19〉 주요 법률 및 관련기관 85

〈표 2.2.20〉 소득세목 85

〈표 3.1.1〉 기상개요 97

〈표 3.1.2〉 월별기온 98

〈표 3.1.3〉 월별풍속 98

〈표 3.1.4〉 강우량 98

〈표 3.1.5〉 띨라와항 조위표 99

〈표 3.1.6〉 파테인 및 탄드웨 지역 조위표 99

〈표 3.2.1〉 미얀마 연방정부 22개 부처 100

〈표 3.2.2〉 미얀마 전체 인구 현황 102

〈표 3.2.3〉 양곤시 지역별 인구 103

〈표 3.2.4〉 미얀마 행정 구역 105

〈표 3.3.1〉 미얀마 산업별 GDP 현황 106

〈표 3.3.2〉 미얀마 수출입 실적 106

〈표 3.3.3〉 미얀마 쌀 수출 현황 108

〈표 3.3.4〉 미얀마 산림 분포 현황(연도별) 109

〈표 3.3.5〉 티크와 하드우드의 벌목 및 수출현황(연도별) 109

〈표 3.3.6〉 수산물 수출 상위 10개 품목(2003~2015) 110

〈표 3.3.7〉 연도별 수산물 생산 현황 110

〈표 3.3.8〉 미얀마 주요 자원 보유 현황 111

〈표 3.3.9〉 미얀마 원유, 천연가스 생산량 112

〈표 3.3.10〉 미얀마 주요 경제 지표 113

〈표 3.3.11〉 NLD당의 경제 개혁 세부공약 114

〈표 3.3.12〉 외국인 투자액의 국가별, 산업별 비중 115

〈표 3.3.13〉 미얀마 연도별 외국인투자 유치액 116

〈표 3.3.14〉 연도별·국가별 대 미얀마 투자 동향 116

〈표 3.3.15〉 회계연도별 미얀마 투자 동향 117

〈표 3.3.16〉 우리나라의 연도별 미얀마 투자 통계 117

〈표 3.3.17〉 우리나라 주요 투자기업 현황 118

〈표 3.3.18〉 미얀마 교역 추이 119

〈표 3.3.19〉 미얀마 10대 수출 대상국 119

〈표 3.3.20〉 미얀마 10대 수입 대상국 119

〈표 3.3.21〉 미얀마 연도별 수출입 추이 120

〈표 3.3.22〉 미얀마 주요 품목별 수출 현황 121

〈표 3.3.23〉 양곤지역 공업단지 122

〈표 3.3.24〉 기타지역 공업단지 128

〈표 3.3.25〉 미얀마 진행 및 주요 건설/인프라 프로젝트 129

〈표 3.3.26〉 지역별 철도노선 현황 131

〈표 3.3.27〉 미얀마 철도프로젝트 현황 131

〈표 3.4.1〉 미얀마 항만 현황 132

〈표 3.4.2〉 양곤내항 부두별 시설현황 134

〈표 3.4.3〉 양곤내항 컨테이너 터미널 규모 및 하역장비 제원 134

〈표 3.4.4〉 띨라와 지역 개발현황 137

〈표 3.4.5〉 띨라와 지역의 각 구역별 터미널 개발 현황 138

〈표 3.4.6〉 띨라와지역 컨테이너 터미널 규모 및 하역장비 제원 139

〈표 3.4.7〉 미얀마 항만청(MPA) 준설 지침 141

〈표 3.4.8〉 양곤강 연간 항로 유지준설량 141

〈표 3.4.9〉 Number of Vessels Calling 143

〈표 3.4.10〉 미얀마 소유 선박 144

〈표 3.4.11〉 양곤항 주요 처리화물 144

〈표 3.4.12〉 Cargo handling statement of Each terminal for 2015~16 Fiscal year 144

〈표 3.4.13〉 양곤항 컨테이너 처리실적 144

〈표 3.4.14〉 양곤항 일반화물 처리실적 145

〈표 3.4.15〉 양곤내항 터미널 시설 현황 145

〈표 3.4.16〉 컨테이너 하역능력 146

〈표 3.4.17〉 띨라와 지역 터미널 시설 현황 146

〈표 3.4.18〉 컨테이너 하역능력 146

〈표 3.5.1〉 띨라와항 현황 148

〈표 3.5.2〉 단슨지역 현황 150

〈표 3.5.3〉 응야욕지역 현황 153

〈표 3.5.4〉 탄드웨 지역 현황 156

〈표 3.5.5〉 간이수심측량 장비 159

〈표 3.5.6〉 띨라와항 간이수심측량 결과 160

〈표 4.2.1〉 터미널별 저장능력(2015~2016) 163

〈표 4.2.2〉 터미널별 물동량 처리실적(2015~2016) 164

〈표 4.2.3〉 연도별 컨테이너 처리실적 165

〈표 4.2.4〉 연도별 일반화물 처리실적 166

〈표 4.3.1〉 주요 경제지표 167

〈표 4.4.1〉 물동량 예측 169

〈표 4.5.1〉 양곤항 컨테이너화물 처리실적 추이 171

〈표 4.5.2〉 벵골만 인근 항만의 물동량 처리실적과 연평균 성장률 175

〈표 4.5.3〉 미얀마 국민총생산(GDP) 및 미얀마 인구 중장기 예측치 176

〈표 4.5.4〉 양곤항 컨테이너 물동량과 GDP 및 인구수와의 다중 회귀분석 결과 176

〈표 4.5.5〉 컨테이너 물동량 예측 결과 177

〈표 4.6.1〉 양곤항 비컨테이너화물 처리실적 추이 (2006년~2016년) 178

〈표 4.6.2〉 미얀마 국민총생산(GDP) 및 미얀마 인구 중장기 예측치 181

〈표 4.6.3〉 양곤항 비컨테이너 물동량과 GDP 및 인구수와의 다중 회귀분석 결과 181

〈표 4.6.4〉 비컨테이너 물동량 예측 결과 182

〈표 4.7.1〉 양곤항 기존 컨테이너부두 하역능력 184

〈표 4.7.2〉 양곤항 기존 비컨테이너부두 하역능력 184

〈표 4.7.3〉 UNCTAD의 평가지표 185

〈표 4.7.4〉 UNCTAD의 평가지표 186

〈표 4.7.5〉 터미널 능력 추정을 위한 적용 수준 188

〈표 4.7.6〉 선석연장 및 항만실태 반영식 별 능력산정 방법 비교 189

〈표 4.7.7〉 시뮬레이션에 사용하는 변수 191

〈표 4.7.8〉 신민항/심해항 항만하역능력 산정방안 191

〈표 4.7.9〉 미얀마 신항만의 항만하역능력 산정 결과 193

〈표 4.8.1〉 제1안 컨테이너부두 소요규모 검토결과 194

〈표 4.8.2〉 제2안 컨테이너부두 소요규모 검토결과 194

〈표 4.8.3〉 비컨테이너 화물 종류별 비율 및 개발선석 산정결과 195

〈표 4.8.4〉 제1안 비컨테이너부두 소요규모 검토결과 196

〈표 4.8.5〉 제2안 비컨테이너부두 소요규모 검토결과 196

〈표 4.8.6〉 신항만별 개발규모 검토 결과 197

〈표 4.9.1〉 항만물동량의 항만배후단지 경유비율 198

〈표 4.9.2〉 항만배후단지 소요규모 산정결과 198

〈표 5.2.1〉 신민항 개발입지 여건 분석 202

〈표 5.2.2〉 심해항 개발입지 여건 분석 203

〈표 5.3.1〉 미얀마 컨테이너 물동량 예측결과 204

〈표 5.3.2〉 미얀마 비컨테이너 물동량 예측결과 204

〈표 5.3.3〉 물동량 예측 및 개발선석 205

〈표 5.3.4〉 개발규모 검토 205

〈표 5.3.5〉 개발규모 검토 206

〈표 5.3.6〉 단계별 개발규모 206

〈표 5.4.1〉 기준조위 215

〈표 5.4.2〉 설계조위 215

〈표 5.4.3〉 잔류수위 216

〈표 5.4.4〉 설계파랑 및 조류속 216

〈표 5.4.5〉 설계풍속 216

〈표 5.4.6〉 대상선박 제원 216

〈표 5.4.7〉 선박의 접안력 및 견인력 217

〈표 5.4.8〉 곡주설치 간격 217

〈표 5.4.9〉 단위체적 중량 217

〈표 5.4.10〉 상재하중 217

〈표 5.4.11〉 토질재료 강도정수 218

〈표 5.4.12〉 토사 지반정수 218

〈표 5.4.13〉 허용 안전율 218

〈표 5.4.14〉 사석층의 허용지지력 218

〈표 5.4.15〉 사면굴착 경사 219

〈표 5.4.16〉 마찰계수 219

〈표 5.4.17〉 대상지역별 지진대 220

〈표 5.4.18〉 적용 설계법 221

〈표 5.4.19〉 강도감소계수 221

〈표 5.4.20〉 하중조합 221

〈표 5.4.21〉 설계기준 강도 222

〈표 5.4.22〉 재료의 특징 222

〈표 5.4.23〉 철근 콘크리트 봉강 222

〈표 5.4.24〉 보정계수 223

〈표 5.4.25〉 마루높이 산정기준 224

〈표 5.4.26〉 띨라와항 마루높이 결정 224

〈표 5.4.27〉 국제기준에 의한 항로수심 기준 225

〈표 5.4.28〉 띨라와항 피복재 소요중량 산정결과 226

〈표 5.4.29〉 띨라와항 단면형식 구상 226

〈표 5.4.30〉 띨라와항 토류벽 단면형식 구상 229

〈표 5.4.31〉 선회장의 규모 230

〈표 5.4.32〉 선박의 견인력 232

〈표 5.4.33〉 계선주의 배치간격 232

〈표 5.4.34〉 대상선박 제원 233

〈표 5.4.35〉 띨라와항 접안에너지 산정결과 233

〈표 5.4.36〉 방충재 형식 비교 234

〈표 5.4.37〉 방충재 배치간격 234

〈표 5.4.38〉 준설공법 비교 235

〈표 5.4.39〉 토질별 준설사면 안정경사 236

〈표 5.4.40〉 토질별 여굴 두께 236

〈표 5.4.41〉 여유폭 237

〈표 5.4.42〉 마루높이 산정기준 238

〈표 5.4.43〉 신민항 마루높이 결정 238

〈표 5.4.44〉 국제기준에 의한 항로수심 기준 239

〈표 5.4.45〉 신민항 피복재 소요중량 산정결과 240

〈표 5.4.46〉 신민항 단면형식 구상 240

〈표 5.4.47〉 대상선박 제원 243

〈표 5.4.48〉 제반기준에 의한 필요 항로폭 243

〈표 5.4.49〉 항로폭 결정 244

〈표 5.4.50〉 선회장의 규모 244

〈표 5.4.51〉 선박의 견인력 247

〈표 5.4.52〉 계선주의 배치간격 247

〈표 5.4.53〉 대상선박 제원 248

〈표 5.4.54〉 신민항 접안에너지 산정결과 248

〈표 5.4.55〉 방충재 형식 비교 249

〈표 5.4.56〉 방충재 배치간격 249

〈표 5.4.57〉 준설공법 비교 250

〈표 5.4.58〉 토질별 준설사면 안정경사 251

〈표 5.4.59〉 토질별 여굴 두께 251

〈표 5.4.60〉 여유폭 252

〈표 5.4.61〉 신민항 준설토 발생량 252

〈표 5.4.62〉 마루높이 산정기준 254

〈표 5.4.63〉 심해항 마루높이 결정 254

〈표 5.4.64〉 국제기준에 의한 항로수심 기준 255

〈표 5.4.65〉 브레브너&도넬리 공식에 의한 피복석 크기 256

〈표 5.4.66〉 다니모토 공식에 의한 피복석 크기 256

〈표 5.4.67〉 심해항 피복재 소요중량 산정결과 256

〈표 5.4.68〉 심해항 단면형식 구상 257

〈표 5.4.69〉 심해항 토류벽 형식 검토 260

〈표 5.4.70〉 방파제 마루높이 산정방법 261

〈표 5.4.71〉 심해항 방파제 마루높이 결정 261

〈표 5.4.72〉 심해항 방파제 피복재 소요중량 산정결과 262

〈표 5.4.73〉 심해항 방파재 단면형식 검토 263

〈표 5.4.74〉 배후지의 중요도를 고려한 허용월파량 265

〈표 5.4.75〉 심해항 방파호안 마루높이 결정 266

〈표 5.4.76〉 심해항 방파호안 피복재 소요중량 산정결과 266

〈표 5.4.77〉 심해항 방파호안 단면형식 검토 267

〈표 5.4.78〉 대상선박 제원 269

〈표 5.4.79〉 제반기준에 의한 필요 항로폭 269

〈표 5.4.80〉 항로폭 결정 270

〈표 5.4.81〉 선회장의 규모 270

〈표 5.4.82〉 선박의 견인력 272

〈표 5.4.82〉 계선주의 배치간격 272

〈표 5.4.83〉 대상선박 제원 273

〈표 5.4.84〉 심해항 접안에너지 산정결과 273

〈표 5.4.85〉 방충재 형식 비교 274

〈표 5.4.86〉 방충재 배치간격 274

〈표 도4.87〉 준설공법 검토 275

〈표 5.4.88〉 토질별 준설사면 안정경사 276

〈표 5.4.89〉 토질별 여굴 두께 276

〈표 5.4.90〉 여유폭 277

〈표 5.4.91〉 심해항 단계별 준설토 발생량 278

〈표 5.4.92〉 심해항 단계별 매립계획 278

〈표 5.5.1〉 컨테이너 크레인 소요대수 산정 280

〈표 5.5.2〉 트랜스퍼 크레인 소요대수 산정 280

〈표 5.5.3〉 야드 트랙터 소요대수 산정 281

〈표 5.5.4〉 리치스태커 소요대수 산정 282

〈표 5.5.5〉 하버크레인 소요대수 산정 282

〈표 5.5.6〉 포크리프트 소요대수 산정 283

〈표 5.5.7〉 신민항, 심해항 컨&비컨 운영준비기간 인력 운영계획 283

〈표 5.5.8〉 컨부두 및 비컨부두 통합 운영인력 284

〈표 5.5.9〉 신민항 및 심해항 컨테이너부두 운영인력 284

〈표 5.5.10〉 신민항 및 심해항 비컨테이너부두 운영인력 284

〈표 5.6.1〉 사업비 분류 285

〈표 5.6.2〉 건설공사비 286

〈표 5.6.3〉 총사업비 286

〈표 5.6.4〉 예정공정표 287

〈표 5.6.5〉 연차별 투자사업비 287

〈표 5.6.6〉 사업비 분류 288

〈표 5.6.7〉 건설공사비 289

〈표 5.6.8〉 총사업비 289

〈표 5.6.9〉 예정공정 290

〈표 5.6.10〉 연차별 투자사업비 290

〈표 5.6.11〉 사업비 분류 291

〈표 5.6.12〉 건설공사비 292

〈표 5.6.13〉 총사업비 292

〈표 5.6.14〉 예정공정표 293

〈표 5.6.15〉 연차별 투자사업비 293

〈표 6.1.1〉 비용-편익분석을 위한 전제 조건 296

〈표 6.2.1〉 항만별 개발계획 299

〈표 6.2.2〉 시멘트 화물 예상처리물동량 300

〈표 6.2.3〉 컨테이너 화물 예상처리물동량 300

〈표 6.2.4〉 비컨테이너 화물 예상처리물동량 301

〈표 6.2.5〉 항만 건설사업의 편익항목 302

〈표 6.2.6〉 연도별·선형별 1일 용선료 추이 및 평균 305

〈표 6.2.7〉 띨라와항의 부선에 의한 하역능력 추정 305

〈표 6.2.8〉 신민항의 부선에 의한 하역능력 추정 306

〈표 6.2.9〉 심해항의 부선에 의한 하역능력 추정 306

〈표 6.2.10〉 띨라와항 단위당 재항비용절감효과 산정 307

〈표 6.2.11〉 신민항 단위당 재항비용 절감효과 산정 307

〈표 6.2.12〉 심해항 단위당 재항비용 절감효과 산정 308

〈표 6.2.13〉 잡화와 벌크화물의 접안하역과 부선하역 요금 비교 309

〈표 6.2.14〉 컨테이너화물(20형)의 접안하역과 부선하역 요금 비교 309

〈표 6.2.15〉 띨라와항 단위당 하역비용 절감효과 310

〈표 6.2.16〉 신민항 단위당 하역비용 절감효과 310

〈표 6.2.17〉 심해항 단위당 하역비용 절감효과 311

〈표 6.2.18〉 띨라와항 건설의 연간 발생 편익 추이 312

〈표 6.2.19〉 신민항 건설의 연간 발생 편익 추이 313

〈표 6.2.20〉 심해항 건설의 연간 발생 편익 추이 314

〈표 6.2.21〉 시나리오별 띨라와항 건설의 경제성 분석 결과 315

〈표 6.2.22〉 신민항 및 심해항 건설의 경제성 분석 결과 316

〈표 6.2.23〉 띨라와항 할인율에 대한 민감도 분석(증가하는 경우만) 317

〈표 6.2.24〉 띨라와항 사업비의 변동에 대한 민감도 분석(증가하는 경우만) 317

〈표 6.2.25〉 띨라와항 물동량의 변동에 대한 민감도 분석(감소하는 경우만) 317

〈표 6.2.26〉 할인율에 대한 민감도 분석 318

〈표 6.2.27〉 사업비의 변동에 대한 민감도 분석 318

〈표 6.2.28〉 물동량의 변동에 대한 민감도 분석 318

〈표 6.3.1〉 띨라와항 개발 가정 319

〈표 6.3.2〉 띨라와항 총투자비 320

〈표 6.3.3〉 띨라와항 부대비 320

〈표 6.3.4〉 부보대상금액 321

〈표 6.3.5〉 띨라와항 금융기관 차입금 주요가정 321

〈표 6.3.6〉 띨라와항 재원조달계획 321

〈표 6.3.7〉 띨라와항 운영수입 내역(30년 평균) 322

〈표 6.3.8〉 떨라와항 운영수입 내역(30년 합계) 322

〈표 6.3.9〉 띨라와항 항만사업의 예상물동량 322

〈표 6.3.10〉 띨라와항 사용료 단가 323

〈표 6.3.11〉 띨라와항 운영비용 내역(30년 평균) 323

〈표 6.3.12〉 띨라와항 운영비용 내역(30년 합계) 323

〈표 6.3.13〉 띨라와항 인원 구성 324

〈표 6.3.14〉 띨라와항 연봉 기준 324

〈표 6.3.15〉 운영비 적용기준 324

〈표 6.3.16〉 띨라와항 운영설비내역 및 구입대수 325

〈표 6.3.17〉 띨라와항 재무성검토 결과 325

〈표 6.3.18〉 띨라와항 하역료 상승률에 따른 민감도 분석 326

〈표 6.3.19〉 신민항 임대가격에 따른 민감도 분석 326

〈표 6.4.1〉 신민항 개발 가정 327

〈표 6.4.2〉 신민항 총투자비 328

〈표 6.4.3〉 신민항 부대비 328

〈표 6.4.4〉 부보대상금액 329

〈표 6.4.5〉 신민항 금융기관 차입금 주요가정 329

〈표 6.4.6〉 신민항 재원조달 계획 329

〈표 6.4.7〉 신민항 운영수입 내역(30년 평균) 330

〈표 6.4.8〉 신민항 운영수입 내역(30년 합계) 330

〈표 6.4.9〉 신민항 항만사업의 예상물동량 331

〈표 6.4.10〉 신민항 사용료 단가 331

〈표 6.4.11〉 신민항 운영비용 내역(30년 평균) 331

〈표 6.4.12〉 신민항 운영비용 내역(30년 합계) 332

〈표 6.4.13〉 신민항 인원구성 332

〈표 6.4.14〉 신민항 연봉기준 332

〈표 6.4.15〉 운영비용 적용 기준 333

〈표 6.4.16〉 신민항 운영설비내역 및 구입대수 333

〈표 6.4.17〉 신민항 재무성 분석 결과 334

〈표 6.4.18〉 신민항 하역료 상승률에 따른 민감도 분석 335

〈표 6.4.19〉 신민항 임대가격에 따른 민감도 분석 335

〈표 6.5.1〉 심해항 개발 가정 336

〈표 6.5.2〉 심해항 총투자비 337

〈표 6.5.3〉 심해항 부대비 337

〈표 6.5.4〉 부보대상금액 338

〈표 6.5.5〉 심해항 금융기관 차입금 주요가정 338

〈표 6.5.6〉 심해항 재원조달 계획 338

〈표 6.5.7〉 심해항 운영수입 내역(30년 평균) 339

〈표 6.5.8〉 심해항 운영수입 내역(30년 합계) 339

〈표 6.5.7〉 심해항 항만사업의 예상물동량 340

〈표 6.5.8〉 심해항 사용료 단가 340

〈표 6.5.9〉 심해항 운영비용 내역(30년 평균) 340

〈표 6.5.10〉 심해항 운영비용 내역(30년 합계) 341

〈표 6.5.11〉 심해항 인원구성 341

〈표 6.5.12〉 심해항 연봉기준 341

〈표 6.5.13〉 운영비용 적용 기준 342

〈표 6.5.14〉 심해항 운영설비내역 및 구입대수 342

〈표 6.5.15〉 심해항 재무성 분석 결과 343

〈표 6.5.16〉 심해항 하역료 상승률에 따른 민감도 분석 344

〈표 6.5.17〉 심해항 임대가격에 따른 민감도 분석 344

〈표 7.2.1〉 정치적 위험과 리스크 저감 방안 347

〈표 7.2.2〉 비정치적 위험과 리스크 저감 방안 347

〈표 7.2.3〉 불가항력적 위험과 리스크 저감 방안 347

〈표 7.3.1〉 국내기업의 미얀마 진출현황 348

〈표 7.3.2〉 외국인투자법 주요 내용 349

〈표 7.3.3〉 신투자법 주요 내용 349

〈표 7.3.4〉 PF 대상사업 350

〈표 7.3.5〉 투자의사결정의 기본개념 351

〈표 7.3.6〉 의사결정 절차 351

〈표 7.3.7〉 일반적인 위험의 종류 352

〈표 7.3.8〉 위험 요인별 헤징방안 352

〈표 7.3.9〉 인도네시아 파이톤 발전소 사업의 위험 헤징 방안 353

〈표 7.3.10〉 공공사업의 발주형태 354

〈표 7.3.11〉 민관협력사업의 종류 354

〈표 7.3.12〉 우리나라의 해외 PPP사업 진출 사례 355

〈표 7.3.13〉 사업 추진 단계별 문제점 356

〈표 7.3.14〉 ODA지원 사업 분야 358

〈표 7.3.15〉 EDCF 지원 절차 358

〈표 7.3.16〉 PPP 관련 분야별 지원 금액(1998년~2008년) 360

〈표 7.3.17〉 ADB의 국가별 PPP적용 방식(1998년~2008년) 360

〈표 7.4.1〉 공적개발원조(ODA) 및 대외협력기금(EDCF) 적용시 장단점 363

〈표 7.4.2〉 대외협력기금 지원 절차 및 세부내용 363

〈표 7.4.3〉 민간투자 적용시 장단점 364

〈표 7.4.4〉 민간투자 추진절차 364

〈표 7.4.5〉 외국 자본 단계별 사업 추진 절차 365

〈표 7.4.6〉 띨라와항 시나리오별 공사비 366

〈표 7.4.7〉 띨라와항 사업성 검토 366

〈표 7.4.8〉 신민항 경제성 분석 결과 367

〈표 7.4.9〉 신민항 시나리오별 공사비 367

〈표 7.4.10〉 신민항 재무성 분석 결과 367

〈표 7.4.11〉 심해항 경제성 분석 결과 369

〈표 7.4.12〉 심해항 시나리오별 공사비 369

〈표 7.4.13〉 심해항 사업성 검토 369

〈그림 1.1.1〉 과업위치도 27

〈그림 1.3.1〉 과업수행 흐름도 30

〈그림 1.4.1〉 타당성 분석 대상 위치 32

〈그림 1.4.2〉 띨라와지역 및 SEZ 현황 33

〈그림 1.4.3〉 신민항 위치도 34

〈그림 1.4.4〉 심해항(응야욕지역) 위치도 35

〈그림 1.4.5〉 컨테이너 부두 개발규모 및 시기 36

〈그림 1.4.6〉 비컨테이너 부두 개발규모 및 시기 37

〈그림 1.4.7〉 띨라와항 평면배치계획 38

〈그림 1.4.8〉 신민항 평면배치계획 39

〈그림 1.4.9〉 심해항 평면배치계획 40

〈그림 1.4.10〉 띨라와항 접안시설 표준단면도 41

〈그림 1.4.11〉 띨라와항 수역시설 계획평면도 41

〈그림 1.4.12〉 신민항 접안시설 표준단면도 42

〈그림 1.4.13〉 신민항 수역시설 계획평면도 42

〈그림 1.4.14〉 심해항 접안시설 표준단면도 43

〈그림 1.4.15〉 심해항 방파제 표준단면도 43

〈그림 1.4.16〉 심해항 방파호안 표준단면도 44

〈그림 1.4.17〉 심해항 수역시설 계획평면도 44

〈그림 2.1.1〉 띨라와항 사업대상 위치도 52

〈그림 2.1.2〉 기수행 물동량 예측 및 개발선석 52

〈그림 2.1.3〉 심해항 후보지 대상 위치도 53

〈그림 2.1.4〉 석탄발전소 지원항만 입지검토 54

〈그림 2.1.5〉 신민지역 대상위치 55

〈그림 2.2.1〉 짜욱퓨 신항 개발위치 및 개발계획 63

〈그림 2.2.2〉 칼르가욱 신항 개발위치 및 개발계획 64

〈그림 2.2.3〉 다웨이 신항 개발위치 및 개발계획 65

〈그림 2.2.4〉 The Great Yangon for 2040의 구조 계획 67

〈그림 2.2.5〉 The Great Yangon for 2040의 개발 비전 68

〈그림 2.2.6〉 Class A 구역 단계별 개발개요 및 투자진행현황 70

〈그림 2.2.7〉 띨라와 경제특구 토지이용 시나리오 71

〈그림 2.2.8〉 짜욱퓨 경제특구 조감도 72

〈그림 2.2.9〉 다웨이 경제특구 개발 개요 73

〈그림 3.1.1〉 미얀마 지도 96

〈그림 3.3.1〉 양곤 산업공단 위치 약도 123

〈그림 3.3.2〉 미얀마의 도로망 및 철도망 현황 130

〈그림 3.4.1〉 양곤항 개발연혁 133

〈그림 3.4.2〉 양곤내항 주요항만시설위치도 134

〈그림 3.4.3〉 Htedan 터미널 개요 135

〈그림 3.4.4〉 Asia World Port Terminal(Ahlone) 개요 135

〈그림 3.4.5〉 MIP 터미널 개요 136

〈그림 3.4.6〉 Sule Pagoda 터미널 개요 136

〈그림 3.4.7〉 Bo Aung Kyaw 터미널 개요 136

〈그림 3.4.8〉 MITT 터미널 개요 139

〈그림 3.4.9〉 양곤강 항로 140

〈그림 3.4.10〉 양곤강 항만운영 현황 142

〈그림 3.5.1〉 1차 현지조사 지역 147

〈그림 3.5.2〉 띨라와항 No. 12, 13, 14 대상위치 148

〈그림 3.5.3〉 띨라와항 이동경로 149

〈그림 3.5.4〉 띨라와항 현장사진 149

〈그림 3.5.5〉 단슨지역 대상위치 150

〈그림 3.5.6〉 단슨지역 이동경로 151

〈그림 3.5.7〉 단슨지역 현장사진 152

〈그림 3.5.8〉 응야욕지역 대상위치 153

〈그림 3.5.9〉 응야욕지역 이동경로 154

〈그림 3.5.10〉 응야욕지역 현장사진 155

〈그림 3.5.11〉 탄드웨 지역 대상위치 156

〈그림 3.5.12〉 탄드웨 지역 이동경로 157

〈그림 3.5.13〉 탄드웨 지역 현장사진 158

〈그림 3.5.14〉 띨라와 지역 측량위치 및 현장사진 159

〈그림 3.5.15〉 띨라와지역 간이수심측량 결과 161

〈그림 4.2.1〉 터미널별 저장능력(2015~2016) 163

〈그림 4.2.2〉 터미널별 물동량 처리실적(2015~2016) 164

〈그림 4.2.3〉 연도별 컨테이너 처리실적 165

〈그림 4.2.4〉 연도별 일반화물 처리실적 166

〈그림 4.5.1〉 미얀마 국내총생산(GDP)과 양곤항의 컨테이너 물동량 추이 172

〈그림 4.5.2〉 컨테이너 물동량 예측 결과 177

〈그림 4.6.1〉 미얀마 GDP와 양곤항 비컨테이너 물동량의 증가 추이(2006년~2016년) 179

〈그림 4.6.2〉 비컨테이너 물동량 예측 결과 182

〈그림 4.7.1〉 컨테이너 적정하역능력 산정절차 187

〈그림 4.7.2〉 컨테이너/비컨테이너 적정하역능력 산정절차(시뮬레이션) 192

〈그림 5.1.1〉 타당성 분석 대상 위치 200

〈그림 5.2.1〉 떨라와지역 및 SEZ 현황 201

〈그림 5.3.1〉 띨라와지역 법선기준(미얀마 항만청) 207

〈그림 5.3.2〉 띨라와항 평면배치계획 208

〈그림 5.3.3〉 신민항 평면배치계획 211

〈그림 5.3.4〉 심해항 평면배치계획 214

〈그림 5.4.1〉 미얀마 지지대 220

〈그림 5.4.2〉 접안시설 표준단면도(연결교량구간) 227

〈그림 5.4.3〉 접안시설 표준단면도(일반구간) 228

〈그림 5.4.4〉 입선접안에 필요한 수역 231

〈그림 5.4.5〉 띨라와항 수역시설 계획평면도 231

〈그림 5.4.6〉 접안시설(컨테이너부두) 표준단면도 241

〈그림 5.4.7〉 접안시설(비컨테이너부두) 표준단면도 242

〈그림 5.4.8〉 입선접안에 필요한 수역 245

〈그림 5.4.9〉 좌현 횡접안(바람이 선수에 있을 경우) 246

〈그림 5.4.10〉 신민항 수역시설 계획평면도 246

〈그림 5.4.11〉 준설 계획평면도 253

〈그림 5.4.12〉 매립 계획평면도 253

〈그림 5.4.13〉 기초사석과 근고사석을 위한 안전계수 256

〈그림 5.4.14〉 접안시설(컨테이너부두) 표준단면도 258

〈그림 5.4.15〉 접안시설(비컨테이너부두) 표준단면도 259

〈그림 5.4.16〉 방파제 표준단면도 264

〈그림 5.4.17〉 허용 월파유량 그래프 265

〈그림 5.4.18〉 방파호안 표준단면도 268

〈그림 5.4.19〉 입선접안에 필요한 수역 271

〈그림 5.4.20〉 심해항 수역시설 계획평면도 271

〈그림 5.4.21〉 준설계획 평면도 277

〈그림 5.4.22〉 매립계획 평면도 278

〈그림 5.5.1〉 하역장비 279

〈그림 6.2.1〉 품목별 편익산정 기준 303

〈그림 6.2.2〉 품목별 편익산정 기준 304

〈그림 7.3.1〉 인도네시아 파이톤 발전소 금융 조달 구조 353

〈그림 7.3.2〉 ODA 체계 및 구조 357

〈그림 7.3.3〉 ADB 제안 절차 359

〈그림 7.5.1〉 사업추진 방식 제안 371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434180 387.109591 -18-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434181 387.109591 -18-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