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학개론 =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trade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573537
382 -19-4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573538
382 -19-4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머리말
오늘날 전 세계 모든 국가들은 국경이 그 의미를 상실한 단일시장(single market) 시대를 맞이하여 그 어느 때보다도 개방적인 환경 하에서 자유로운 국제거래를 수행하면서 자국 경제를 이끌어가고 있다. 이즈음 세계경제경영환경은 국제경제 측면에서 WTO체제의 출범 이후 수많은 새로운 국제통상 이슈들이 등장하였고, 국제경영 측면에서는 기업의 해외진출 및 국제사업이 그 어느 때보다도 빈번하고 자유스럽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무역상무 측면에서는 Incoterms 2000이 제정?적용되는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예측이 불가능할 정도로 급변하고 있다. 이러한 급격한 환경변화는 우리로 하여금 국가나 기업적 차원에서 지구적인 경쟁(global competition)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경쟁력을 갖추도록 요구하고 있으며, 대학에서는 이에 부응할 수 있는 자질을 갖춘 학생들을 교육하여 배출하도록 요구받고 있다. 저자들은 우리 학생들이 이와 같은 급변하는 시대에 지구적인 경쟁력을 갖추어 지혜 있게 대응해나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무역이론, 국제경영, 무역상무 등의 국제거래관련 학문을 두루 섭렵하고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전제 하에서 본서를 집필하게 되었다. 저자들은 학생들이 추후 관련 내용을 보다 더 심도 깊게 공부하게 될 것이라는 점을 전제로 이 책이 무역학의 입문서로서의 역할을 다 할 수 있도록 각 분야의 기본적인 내용을 가능한 한 쉽게 그리고 간략하게 서술하고자 노력하였다. 이 책을 교재로, 무역학개론을 강의하고자 하는 교수님께서는 이와 같은 저자들의 기본적인 의도를 감안하여, 강의의 특성이나 강의시간 등에 따라 특정 부분을 좀 더 상세하게 강의하거나 또는 간략하게 강의할 수도 있고, 또 세 분야 중 어떤 특정 분야를 생략하거나 또는 내용을 더 추가하는 등의 방법을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