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세계 최고의 대한민국 의료시스템 붕괴의 한복판에 서다

‘의료 대공황, 의료개혁인가? 의료붕괴인가?’
의료대란 1년의 기록! 의사들의 항변, 의사를 변호하다

여전히 의료 정책을 둘러싼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의대 정원 확대를 둘러싼 갈등은 단순한 숫자의 문제가 아니라, 국민 건강과 직결된 의료 시스템의 근본적인 문제다. 하지만 이 중요한 논의 속에서 국민들은 충분한 설명을 듣지 못한 채 혼란과 불안 속에 놓여 있다.

이런 상황에서 출간되는 『가운혁명』은 감정적 대립을 넘어, 의료의 본질과 미래를 냉철하게 분석하고자 하는 책이다. 이 책은 총 4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 <의료 소멸을 알리는 의료붕괴의 서막 – 의료 개악과 전공의 사직>편에서는 ‘왜 전공의는 사직했을까?’ 등 6개의 민감한 주제를 다룬다, 2장 <의료개혁인가, 의료붕괴인가?>편에서는 ‘의료계의 뉴노말 – 어떻게 될 것인가?’ 등 11개 주제를, 3장 <가운혁명 – 역사에 남을 숭고한 청년들의 저항>편에서는 ‘전공의 ’사직‘과 그 ’나비효과‘, 그리고 ’각성‘’ 등 12개 주제로 의료정원 이천 명 증원 등 여러 현안 문제들을 다룬다. 마지막 4장 <대한민국 의료의 청사진>편에서는 ‘대한민국 의료개혁’은 필요한가?‘ 등 9개 주제로 한국 의료 제도와 시스템에 대해 대안을 제시한다.

특히 이 책은 비의료인의 시각에서 의료 문제를 객관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의료계 내부의 이해관계를 넘어, 국민 전체의 입장에서 의료 시스템이 직면한 현실을 바라보며, 의료 정책이 국민의 건강과 삶에 미치는 영향을 심도 있게 분석한 책이다.

최근 지방과 필수 의료 분야에서 심각한 의료 공백이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단순히 의대 정원을 늘리는 것이 해결책이 될 수 있을까? 의료 시스템과 환경 개선 없이 의사 수만 증가한다면,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는 과연 무엇일까? 이 책은 이념과 진영논리, 그리고 이해관계를 떠나 의료의 본질적 문제를 고민하며, 근본적인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다.

저자는 이제는 의료를 둘러싼 진짜 문제를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 왜 지방과 필수 의료가 붕괴하고 있는가?
- 의료 시스템 개혁 없이 단순한 정원 확대가 해결책이 될 수 있는가?
- 지속 가능한 의료 구조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의료는 특정 직군만의 문제가 아니라, 국민 모두의 삶과 직결된 문제다. 『가운혁명』의 저자김달현 대표는 이 책이 의료계와 국민이 함께 고민하고 토론할 수 있는 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 나아가 이 책을 통해 국민들이 의료 정책의 본질을 이해하고, 보다 건강한 사회를 만들어가는 길을 함께 모색해 보고자 한다.

젊은 의사들의 ‘가운혁명’은 끝나지 않았다
숭고한 비폭력 저항의 기록!

의료대란이 시작된 후, 저자는 단순한 논쟁을 넘어 ‘객관적인 통찰’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의료계 내부 문제를 잘 모르는 일반 국민들은 정부와 언론이 제시하는 ‘의대 정원 확대’라는 단순한 프레임을 받아들이기 쉽다. 하지만, 의료 시스템의 복잡성과 현실적인 문제를 분석해 보면, 이는 단순히 ‘기득권을 지키려는 의사들의 반발’이 아니라, 더 깊은 구조적 문제에서 비롯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저자는 비의료인으로서 의료정책을 바라보며, 정부의 개입이 어떤 방식으로 의료시장의 질서를 흔들고 있는지, 그리고 그로 인해 결국 국민들이 어떤 피해를 보게 될지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고자 했다. 이 책은 특정 집단의 이익을 대변하는 것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의료 시스템이 올바르게 작동하려면 어떤 방향으로 가야 하는지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의사들이 국민들의 지지를 얻으려면, 단순히 자신들의 고충을 이야기하는 것을 넘어, 의료 정책의 변화가 국민 개개인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설득력 있게 설명하고 공감을 얻어야 한다. ‘기득권 의사’라는 이미지가 아닌, 청년 의사들이 처한 현실과 이들이 왜 20년 동안 몸담았던 현장을 떠날 수밖에 없었는지를 국민들이 이해할 때, 비로소 의료개혁에 대한 제대로 된 논의가 가능해질 것이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의료대란을 하나의 정책 이슈가 아니라, 대한민국 사회 전체의 문제로 바라보는 시각을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