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7
I. 서론 9
II. 연구의 목적 및 방법 11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1
2. 연구 목적 13
3. 연구 방법 및 대상 15
1) 연구 방법 15
2) 연구 참여자 및 연구 과정 16
III. 이론적 논의 22
1. 선행 연구 검토 22
2. 이주의 '여성화'와 다문화 사회 26
1) 이주의 '여성화'와 젠더 관계 26
2) 초국가 이주와 이주여성의 정체성 27
3) 다문화주의와 이주민의 모국문화 표출ㆍ유지 31
3. 사회문화 적응 개념 및 유형 33
1) 문화적응 개념 33
2) 문화적응 유형 35
3) 베리의 문화적응 이론 검토 36
4. 이론 적용 및 연구모델 42
IV. 조선족ㆍ필리핀 출신 이주여성에 대한 개괄 46
1. 한국 입국 및 결혼 과정 46
2. 한국에 대한 사전 정보 51
3. 한국생활과 문화적 차이 53
1) 한국음식 및 식습관 54
2) 한국어의 어려움 56
3) 시집과의 관계 및 가부장적인 가족문화 60
4) 부정적이고 차별적 시선 62
5) 자녀교육 65
6) 한국인들의 성향과 행동 67
V. 이주여성의 모국문화 표출 및 유지에 관한 욕구 68
1. 모국문화 표출ㆍ유지에 관한 욕구 및 유지 수준 68
1) 조선족 출신 이주여성 68
(1) 모국음식 68
(2) 모국언어 사용 70
(3) 자녀양육 73
(4) 모국관련 이야기가 화제가 될 때 75
(5) 모국 방문 경험 78
(6) 모국의 특정 가치관 고수 79
2) 필리핀 출신 이주여성 81
(1) 모국음식 81
(2) 모국언어 사용 83
(3) 자녀양육 85
(4) 모국관련 이야기가 화제가 될 때 87
(5) 모국 방문 경험 88
(6) 모국인과의 네트워크 90
2. 모국문화 표출ㆍ유지의 제한 93
1) '표현하지 않기' : 부정적인 시선과 편견으로 인한 표현 기회의 제한 93
2) “여기 살고 있기 때문에” 94
3) '한국문화'와 '한국가족' 중심적인 가족구조 96
4) 표현할 수단과 경로의 부재 및 정보 접근성의 부족 97
5) '별로 생각하지 않음' : 문화적 권리에 대한 인식 부재 100
3. 소결 101
VI. 이주여성의 문화적 정체성 105
1. 이주여성 자신의 정체성 106
1) '동화' 지향적 정체성 : 보다 '한국적 한국적'인 정체성 추구 107
(1) 정착기간에 따른 정체성의 '한국화' 107
(2) 이주의 목적에 따른 정체성의 '한국화' 111
(3) 자녀로 인한 정체성의 '한국화' : '어머니'로서의 정체성 113
2) '통합' 지향적 정체성 : 모국 정체성 유지 + 한국적 정체성 수용 115
2. 자녀의 정체성 121
3. 소결 125
VII. 분석 결과 및 제언 127
1. 분석 결과 127
2. 제언 129
VIII. 결론 131
참고문헌 132
Abstract 142
[표 1] 연구 참여자 개괄 20
[표 2] 이주민의 문화적응 전략 38
[표 3] 이주민에 대한 정착사회의 문화접변 태도 39
[표 4] 문화적응 과정에 영향을 주는 구체적인 요인 40
[표 5] 심리적 문화적응의 구체적인 특징 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