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기적 세계적인 관심을 모았던 체세포핵이식 배아복제줄기세포 연구의 탄생에서 퇴조와 혼돈에 이르기까지 그 과정을 되짚어 보면서, 한국인만이 유독 이 기술에 과잉기대를 보이며 다 걸기를 하는 원인을 분석한다. 요인 중 하나인 생명과 치료제에 대한 우리 국민의 잘못된 믿음이 어디에 근거한 것인가를 천착한다. 그것은 전통철학인 유교에 대한 잘못된 해석에서 비롯된 남아선호사상과, 고도의 압축 경제성장이 빚은 낙태문화에 기인한 것이다. 미국의 1970년대 낙태 합법화 이후 강대국의 개도국에 대한 인구조절 압력이 이 땅에 만연한 낙태와 죽음의 문화, 생명경시풍조를 낳게 되었고 살아있는 인간생명인 대량의 난자와 배아 파기 실험을 용인하는 분위기를 조장하게 됐다. 우리나라가 시험관아기(IVF) 시술 수준이 세계 최고가 된 것은, 배아나 태아와 같은 생명을 활용한 연구가 세계에서 가장 자유롭게 허용되고 있는 국내 현실을 반영한다. 또 그러한 현실이 배아복제줄기세포 연구를 끊임없이 자극하고 견인하는 실질적인 동인이 되고 있음을 간파해야 한다. 배아연구 찬성론자들이 주장하는 초기 인간생명관은 반대론자들의 반박하는 논거에 의해 모두 허구임이 드러났다.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은 선진화하는 과학기술과는 대조적으로, 외국에 비해 형편없이 뒤쳐져 있는 이 땅의 생명윤리의식 수준과 생명문화를 그대로 합법적으로 보호하고 조장하는 제도적 장치다. 저널리즘의 기본윤리에 입각해, 사회의 공기로서, 권력과 부조리를 감시하고 견제해야 할 언론이 오히려 상업주의에 경도된 나머지, 황우석 사태와 같은 비윤리적인 연구를 부추기고 호도하고 있다. 끝으로 부정직하고 부도덕한 연구윤리가 문제다. 이 땅에 황우석 사태가 재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황우석과 그 주변 인물들이 연구윤리를 어떻게 저버리고 어떠한 무리수를 감행해 왔는지 되새겨 볼 필요가 있다. 진정한 과학기술선진국은 그에 걸맞은 국민의 생명윤리 의식 수준의 확보가 전제돼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국가가 개개인의 행의 그 자체만을 문제 삼아 일일이 규제하고 처벌하는 것으로 끝나서는 안 된다. 그 보다는 사회 전체가 다각적인 면에서 인간생명 존중의식을 새롭게 다져나가는 등 근본적인 처방이 요구된다. 우선 황우석을 비롯한 사건 당사자들의 솔직한 자기반성과 사과가 있어야 한다. 집단의 이해관계를 떠나 누구든지 각자가 처한 일터에서 철저한 생명존중의식을 바탕으로 ‘덕 윤리’를 실천할 것을 선서해야 한다. 전문인들은 생명보호를 위한 양심선언을 하고 학회와 협회는 비윤리적 연구에 대한 모라토리엄을 선포해야 한다. 정부는 낙태를 묵인하는 ‘모자보건법’의 해당 조항과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을 완전 철폐 혹은 전면 재개정해야 한다. 언론인들은 진실보도를 위한 매스컴의 기본 윤리 선언을 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어려서부터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 인간생명의 근원과 그 소중함에 대해 깊이 성찰하고 올바른 생명 관을 정립하는 것이 중요하다.